목차
1. Result
2. Description
3. Discussion
4. Reference
2. Description
3.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광도가 0.005가 넘을 경우 탁도와 같은 실험 오차이므로 다시 한 번 Centrifuge을 하여 침전물을 확실히 가라 앉혀야 하는데 시간관계상 다시 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상등액을 취할 때 이물질이 들어갔을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상등액을 계속 취해 주고, 취해 주고 하다 보니깐 시료 자체의 양이 줄어들어 탁도가 높게 측정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구분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총인 (μg/L)
<10
10~20
>20~25
Chlorophyll-a (μg/L)
<4
4~10
>10
투명도 (m)
>3.7
2.0~3.7
<2.0
심수층의 DO포화도 (%)
>80
10~80
<10
< 참고 : 미국 EPA호수 수질 기준 >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보호청)에서 분류하고 있는 호수의 수질기준은 호수의 수질상태를 영양 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즉 호수를 빈영양호, 중영양호 및 오염이 심화된 상태의 부영양호의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 기준에 따라 홍지천 200ml와 시료 20ml + D.W.180ml, 그리고 시료 40ml + D.W.160ml의 영양 상태는 부영양 상태이며 오염이 심화된 상태이고 시료 10ml + D.W.190ml의 상태는 중영양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호소형
연평균 총인
농도(μg/L)
연평균 Chl-a
농도(μg/L)
최대 Chl-a
농도(μg/L)
연평균투명도
(m)
최소투명도
(m)
극빈영양
≤4.0
≤1.0
≤2.5
≥12.0
≥6.0
빈영양
≤10.0
≤2.5
≤8.0
≥6.0
≥3.0
중영양
10~35
2.5~8
8~25
6~3
3~2.5
부영양
35~100
8~25
25~75
3~1.5
1.5~0.7
과영양
≥100
≥25
≥75
≤1.5
≤0.7
< 참고 : OECD 호수 수질기준 >
우리나라도 가입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분류하고 있는 호수의 수질기준은 호수를 비연속계 및 연속계 즉, 두 가지의 다른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년평균 인농도, 클로로필-a, 투명도 등을 기준으로 극빈영양,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과영양상태의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가 실험한 결과 값을 이러한 OECD 수질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해보면 홍지천 200ml와 시료 20ml + D.W.180ml, 시료 40ml + D.W.160ml는 과영양이고, 시료 10ml + D.W.190ml는 중영양이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질 기준에 따라 영양 상태와 오염상태를 알아 볼 수 있다. 그러나 항상 표층의 한 기준만으로 호소를 분류하는 것은 위험하고, 가능한 한 모든 정보에 근거를 두고 판정할 필요가 있다.
4. Reference
미국 환경 보호국 http://www.epa.gov/korean/
경제협력개발기구 http://www.oecd.org/
인공호수 수질관리 연구보고서
실험날짜
담당 교수님
학번
이름
구분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총인 (μg/L)
<10
10~20
>20~25
Chlorophyll-a (μg/L)
<4
4~10
>10
투명도 (m)
>3.7
2.0~3.7
<2.0
심수층의 DO포화도 (%)
>80
10~80
<10
< 참고 : 미국 EPA호수 수질 기준 >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보호청)에서 분류하고 있는 호수의 수질기준은 호수의 수질상태를 영양 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즉 호수를 빈영양호, 중영양호 및 오염이 심화된 상태의 부영양호의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수질 기준에 따라 홍지천 200ml와 시료 20ml + D.W.180ml, 그리고 시료 40ml + D.W.160ml의 영양 상태는 부영양 상태이며 오염이 심화된 상태이고 시료 10ml + D.W.190ml의 상태는 중영양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호소형
연평균 총인
농도(μg/L)
연평균 Chl-a
농도(μg/L)
최대 Chl-a
농도(μg/L)
연평균투명도
(m)
최소투명도
(m)
극빈영양
≤4.0
≤1.0
≤2.5
≥12.0
≥6.0
빈영양
≤10.0
≤2.5
≤8.0
≥6.0
≥3.0
중영양
10~35
2.5~8
8~25
6~3
3~2.5
부영양
35~100
8~25
25~75
3~1.5
1.5~0.7
과영양
≥100
≥25
≥75
≤1.5
≤0.7
< 참고 : OECD 호수 수질기준 >
우리나라도 가입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분류하고 있는 호수의 수질기준은 호수를 비연속계 및 연속계 즉, 두 가지의 다른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년평균 인농도, 클로로필-a, 투명도 등을 기준으로 극빈영양, 빈영양, 중영양, 부영양, 과영양상태의 5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가 실험한 결과 값을 이러한 OECD 수질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해보면 홍지천 200ml와 시료 20ml + D.W.180ml, 시료 40ml + D.W.160ml는 과영양이고, 시료 10ml + D.W.190ml는 중영양이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질 기준에 따라 영양 상태와 오염상태를 알아 볼 수 있다. 그러나 항상 표층의 한 기준만으로 호소를 분류하는 것은 위험하고, 가능한 한 모든 정보에 근거를 두고 판정할 필요가 있다.
4. Reference
미국 환경 보호국 http://www.epa.gov/korean/
경제협력개발기구 http://www.oecd.org/
인공호수 수질관리 연구보고서
실험날짜
담당 교수님
학번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