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성 고분자 최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도성 고분자 최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3
가. 개발동기 3
나. 종이처럼 접어도 가동되는 박막 태양 전지 3
다. SKC, 터치패널용 투명전극필름 상용화 4

2. 기술 분석 5
가. 전도성 고분자의 개요 5
1) 전도성 고분자의 정의 5
2) 전도성 고분자의 원리 6
가) Band Theory 6
나) Free Electron Theory 6
다) 공액 이중결합 7
라) Doping 7
3) 전도성 고분자의 역사 8
가) 전도성 고분자 연구의 역사 8
나) 전도성 고분자의 발전계보 10
4) 전도성 고분자의 분류 11
5) 전도성 고분자의 종류 12
가) Polypyrrole 13
나) Polypyrrole/Polyaniline 16
다) Polyaniline 16
라) Polythiophene 17
6) 전도성 고분자의 특징 19
7) 전도성 고분자의 전자적 구조 20
8)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도 비교 22
9) 전도성 고분자의 응용분야 23
가) 바이오센서에의 응용 24
나) 그래핀 24
다) RFID용 전도성 잉크 28
라) 기타 28
나. 기술동향 29
1) 국내외 기술(제품)개발 동향 29
2) 국내외 특허출원 현황 30
가) 국내 전도성 고분자 출원 동향 31
나) 전도성 고분자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31
3. 시장 분석 32
가. 시장 동향 32
1) 기술(제품)의 시장현황 및 성장률 32
2) 기술(제품)의 향후 시장전망 34
나. 업계동향 36
1) 국내 업계동향 36
2) 해외업계동향 36

4. 전도성 고분자의 발전방향 37

5. 인스콘테크 공장견학 39

6. 결론 41

7. 참고문헌 42

본문내용

직결된다. 이러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보관온도유지와 유통기한 관리가 중요하다. 그러나 유통과정 중에 적정한 보관온도의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고, 따라서 보관 방법에 따라 유통기한 전에 이미 변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포장에 인쇄된 유통기한만 온전히 믿을 수도 없는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부패가 진행되면서 산도(pH)가 변하거나 특정물질이 발생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산도의 변화나 특정물질의 농도에 민감한 지시물질을 검출하거나, 온도 민감성 물질의 색상변화 등으로 식품의 신선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잘 알려진 식품의 신선도 측정 방법으로 전통적인 관능검사(경도, 탄력성 등의 이학적 검사), 세균학적 검사, 수소이온농도(pH) 측정, 휘발성 염기질소 측정, 아민류 분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람의 후각과 미각에 의존하거나, 실험방법이 복잡하여 현장성이 떨어지므로, 현장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자코(후각센서)와 같은 간편한 신선도 측정 방법들이 특허출원되기 시작하여 2007년까지 총 24건이 출원되었다. 그 중 두 건만 외국인에 의해 출원되어 내국인에 의한 출원이 약 92%를 차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소비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저렴한 가격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고, 생산유통단계에서 생산자, 판매인, 유통업자, 또는 검사기관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포장 식품 구매시에 소비자가 직접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냉동/냉장 식품 포장지에 태그(tag) 또는 라벨(label)의 형태로 부착되는 신선도 표시라벨이 특허출원되고 있다.
신선도 표시라벨은 유통기간 중 적정 온도 보관 이력, 포장 후 실제 경과시간, 제품의 현재 온도, 산도(pH) 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특허가 국내에서는 2002년에 최초로 출원되어 2007년까지 총 6건이 출원되었다. 이는 모두 내국인에 의한 출원이며, 그 중 두 건은 육류나 유제품의 포장지에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잉크가 포함된 라벨이 부착되어 구매시에 제품이 적정 온도로 보관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또 다른 두 건은 식품과 pH 민감성 물질 사이를 반투과성 필름으로 차단하고 식품의 변질과 함께 생성되는 이온성 물질이 반투과성 필름을 통해 pH 민감성 물질을 접촉하면 산도(pH)에 따라 상변화나 색상변화를 일으켜 식품의 신선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온도센서와 타이머, IC칩, 전자종이 표시패널 등으로 이루어진 RF 태그(Radio Frequency tag)를 포장지에 부착시켜, 식품이 생산되어 유통되는 순간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에 따라 온도센서가 측정하는 정보를 IC칩에 저장하고 그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선도 정보를 전자종이 표시패널에 표시 처리하는 방법이 출원되어 있다.
현재까지는 식품의 포장용기에 부착되어 소비자가 직접 신선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pH나 온도 민감성물질을 이용한 경우로 한정되었으나, 향후에는 저렴하고 간편한 일회용 전자코, 광화학센서, 광바이오센서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더욱 다양하고 정확성이 향상된 신선도 표시라벨의 개발이 기대된다.
인스콘테크 공장견학
최근 정전기 방지 및 전자파 차폐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전도성 고분자를 절연체 고분자 표면에 코팅하여 정전기 방지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투명 대전방지 고분자 시트 및 필름을 개발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정전기 방지 포장용 고분자는 폴리스티렌이나 폴리비닐에 카본블랙을 혼합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를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카본블랙을 섞은 경우는 카본입자가 불순물로 작용하여 제품을 오염시키고 검은색 불투명이기 때문에 포장 후 제품을 확인 할 수 없으며 카본 혼합에 따른 기저수지의 물성 약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거나 코팅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도성이 소멸되며 입자가 표면으로 blooming out 되어 제품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기술 개발에 의하여 얻어진 투명 전도성 고분자 시트 및 필름은 기저수지가 투명할 경우 550nm에서 투명도를 5%이하로 감소시키며 전도성 물질로 고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전도성을 가지며 기저고분자의 물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개발품은 전자부품 및 반도체 포장용 트레이, 캐리어 소재 및 정전기 방지를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 사용 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여 처리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장 운반 목적 외에 여러 가지 정전기 방지 처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폴리스티렌에 전도도가 높은 카본블랙을 넣으면 검정색을 띄게 되고 카본블랙이 떨어져 나오면서 회로에 들어가 전기를 통하게 해 쇼트가 일어나게 된다. 이를 탈리 현상이라고 하며 이것이 전도성 고분자 패키징의 생명이다. 이를 개발하는 과정 중 생각해낸 것이 투명한색을 띄는 전도성 고분자 이고, 스카이 블루색을 띄는 시트를 얇게 코팅해서 투명해보이게 만들어 투명전도성 고분자라고 명명하였고 일본에는 이미 녹색의 제품이 존재해 차별성이 있는 제품을 개발 한 것이다. 현재는 투명 전도성 고분자라는 이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Carrier Tape은 반도체를 운반 하는 것이다. 패키징 칩은 전부 이것을 이용해 운반되어 진다. 베이스필름 색 만들면 코팅했을 경우 발색되는 색이 되고 내츄럴 칼라 유지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장점이다.
Tray 홈은 과자인 쿠쿠다스 포장 모양에서 착안한 트레이로 비스듬한 홈 모듈 뽑을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모듈을 재료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카본블랙에 의한 불량이 날 경우 카본블랙 사용하지 않은 것을 찾게 되고 요즘엔 색상만 내기위해 안료를 넣어 블랙 색 내기도 한다.
코팅두께는 1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트레이를 만들 때의 생명은 층간 열팽창지수가 맞지 않으면 코팅 층이 깨져 표면에 크랙이 생기면 전도도가 안 나오게 되고, 전도도 맞추는 기술이 어렵다.
스페이스 테이프(인터

키워드

  • 가격4,8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1.07.01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