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종류와 서비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p.1

Ⅱ. 본론
1. SNS의 정의 ---------------------------------- p.1
2. SNS의 종류의 특징 및 기능 ----------------- p.1~3
1) Twitter -------------------------------- p.1~3
2) Facebook ------------------------------- p.3~4
3) 네이버 me2DAY -------------------------- p.4~5
4) 네이트 커넥트 ---------------------------- p.6
5) 다음 yozm -------------------------------- p.6
3. SNS와 스마트폰 ---------------------------- p.7~9
1) 긍정적인 효과 ---------------------------- p.7
2) 부정적인 효과 -------------------------- p.7~8
3) SNS에서 피해야 하는 7계명 -------------- p.7~8
4. SNS 현황 ---------------------------------- p.8~9

Ⅲ. 결론 ------------------------------------ p.9

본문내용

런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SNS는 이와 같은 인간의 심리적 욕구를 확실하게 충족시켜 주고 있다.
SNS는 사회적 측면에서 좀 더 목적성을 띈 의도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학생이나 일반인들뿐만이 아닌 정치, 경제계 인사들이나 기업 간부 등도 SNS를 사용하기 시작한 현상은 소통이 중시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딱딱하고 어려웠던 수직계층간의 소통이 간편하고 신속한 시스템을 통해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빠른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려 사업이나 연구 등에도 쉽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도 매우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부정적인 효과
허위사실 유포, 사회적 논란 야기
웹상에선 모든 사람들이 말 그대로 거미줄(web)처럼 얽혀있는 형태로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넓게 연관돼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새롭고 눈에 띄는 정보는 삽시간에 모든 사람에게 퍼져나간다. 문제는 그런 정보들 중 허위정보나 논란거리들도 많다는 것이다. 출처가 분명치 않지만 누구에게나 자극적인 정보들은 SNS를 타고 퍼져나가 어느 새 전 국민이 알게 되고 기정사실화 돼 버리기도 한다.
예) 지난 연평도 포격사건 당시 연평도 위성사진이라고 트위터에 떠돌던 사진은 바그다드의 위성사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곧 국내의 몇몇 언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으며 심지어는 CNN뉴스에서도 이 사진을 내보내는 등 어이없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물론 정보를 공유하는 사람이 많은 만큼 오류를 정정하는 사람들도 있었기에 금세 허위사실로 드러나긴 했지만 그 잠깐 사이에 엄청난 혼란을 야기한 것만으로도 그 효과가 대단함을 짐작할 수 있다.
피싱 (Phishing)
피싱(Phishing)은 개인정보(private date)와 낚시(fishing)의 조합어로,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 이를 이용하는 사기수법으로 소셜 네트워크의 사기 수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수법으로 이메일의 발신자 이름을 금융기관의 창구 주소로 한 메일을 무차별적으로 보내는 것이 있다. 메일 본문에는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안내문과 웹사이트로의 링크가 기재되어 있는데, 링크를 클릭하면 그 금융기관의 정규 웹사이트와 개인정보입력용 팝업 윈도가 표시된다.
메인윈도에 표시되는 사이트는 '진짜'이지만, 팝업 페이지는 '가짜'이다. 진짜를 보고 안심한 사용자가 팝업에 표시된 입력란에 인증번호나 비밀번호, 신용카드번호 등의 비밀을 입력·송신하면 피싱을 하려는 자에게 정보가 송신된다. URL에 사용되는 특수한 서식을 이용하여, 마치 진짜 도메인에 링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팝업 윈도의 어드레스바를 비표시로 하는 등 교묘한 수법을 이용하고 있어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3)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절대 피해야 하는 7계명
1. 개인 정보를 공개할 때 신중하게 생각하기
2. 각종 사진을 업로들 할 때 신중하게 생각하기
3. 값비싼 소지품 등 자랑 금지 : 범조의 표적물 노촐 효과가 있음
4. 여행이나 휴가 계획 알리지 않기 : 빈 집임을 알리는 표시가 됨
5. 현재 자심 사정 알리지 않기 : 사채, 각종 사기꾼들의 사기 대상이 될 수 있음
6. 조급해 하지 않기 : 범죄자들은 pc나 스마트폰의 악성 코드에 감염되었다는 팝업과 함께 바이러스 퇴치 소프트웨어로 위장한 악성토드를 설치하게끔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각종 정보를 빼내는 수업을 즐겨 사용함
7. 친구를 사귈 때 범죄에 악용될 만한 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 않은지 살펴보기
4. SNS 현황
한국이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이용률이 세계 4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12월 기준) 미국의 퓨리서치센터가 22개국을 대상으로 SNS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서 SNS를 이용한다는 응답자는 40%로, 미국(46%), 폴란드(43%),영국(43%)에 이어 한국은 4위를 기록했다. 10명 중 4명은 SNS를 이용하고 있다.
SNS는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젊은이들의 사용 비율이 높았는데, 연령별 격차 는 특히 한국과 독일에서 두드러졌다. 한국의 경우 18~29세 응답자의 81%가 SNS를 사용했 지만 50세 이상은 6%만이 이용했다. 독일 역시 18~29세의 86%가 사용하고 있었지만 50세 이상의 8%만이 SNS를 이용하고 있었다.
구분
설립연도
사용자 수
성장률(%)
인기 지역
Facebook
2004
500
137
전 세계
MySpace
2003
66
-14
전 세계
Twitter
2006
150
1,238
전 세계
Orkut
2004
100
20
남미
QQ
2009
523
138
중국
CyWorld
1999
21
4
한국
Mixi
2000
14
4
일본
Vkontakte
2006
91
22
러시아
Skyrock
2007
21
10
유럽
세계 주요 SNS 업체
Ⅲ. 결론
:: 향후 SNS가 나아가야 할 방향
SNS 마케팅의 고객을 파악해야 한다. 최근 SNS가 유력한 고객과의 소통채널로 급부상 하게 된 것은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고객과 소통해야하고 소통을 위해서 는 고객과 만나는 접점을 늘려야하기 때문이다. 대표 SNS 사이트인 트위터와 페이스북 은 이용자가 각각 1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숫자로만 보면 블로그 이용자의 10%에 불과하다. 하지만 SNS이용자가 고소득, 화이트칼라, 서울 등 대도시 스마트폰 이 용자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어 영향력은 500만~1000만명에 못지 않다는 분석 이다. 트위터, 페이스북이 그저 지나가는 유행이 아니라는 것이다.
장사 아닌 ‘관계’로 접근해야 한다. SNS마케팅의 핵심은 제품이 아닌 관계이다. SNS의 의미가 관계이니만큼 SNS마케팅도 관계를 느낄 수 있게 해야 한다. 과거에는 고객 커뮤 니케이션 채널이 전화나 이메일 뿐이었고 과장, 부장, 임원을 거치며 왜곡되는 경우가 많았다. SNS는 단문인 데다 빠르고 즉각적이며 고객의 반응도 좋다. SNS마케팅은 고객 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매출에도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 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7.07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