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워터마킹의 개념
Ⅲ. 워터마킹의 특성
1. 지각적 비가시성(Perceptual Invisibility)
2. 복잡성(Complexity)
3. 워터마크 키(Watermark Key)
4. 통계적 효율성(Statistical efficiency)
5. 통계적 비가시성(Statistical Invisibility)
6. 다중 워터마킹(Multiple watermarking)
7. 견고성(Robustness)
Ⅳ. 워터마킹의 활용 현황
1. 전자 도서관
2. e-book
Ⅴ. 워터마킹의 용도
1. 저작권 보호
2. 핑거 프린팅
3. 복제 방지
4. 방송 모니터링
5. 데이터 인증
6. 인덱싱
7. 의료보안
8. 데이터 은닉
Ⅵ. 워터마킹의 기법
1. 화소 수준(pixel-level)
2. 특징 수준(feature-level)
3. 문자 수준(character-level)
Ⅶ. 워터마킹의 응용 사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워터마킹의 개념
Ⅲ. 워터마킹의 특성
1. 지각적 비가시성(Perceptual Invisibility)
2. 복잡성(Complexity)
3. 워터마크 키(Watermark Key)
4. 통계적 효율성(Statistical efficiency)
5. 통계적 비가시성(Statistical Invisibility)
6. 다중 워터마킹(Multiple watermarking)
7. 견고성(Robustness)
Ⅳ. 워터마킹의 활용 현황
1. 전자 도서관
2. e-book
Ⅴ. 워터마킹의 용도
1. 저작권 보호
2. 핑거 프린팅
3. 복제 방지
4. 방송 모니터링
5. 데이터 인증
6. 인덱싱
7. 의료보안
8. 데이터 은닉
Ⅵ. 워터마킹의 기법
1. 화소 수준(pixel-level)
2. 특징 수준(feature-level)
3. 문자 수준(character-level)
Ⅶ. 워터마킹의 응용 사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Brassil99]. 이들은 PDL 문서 파일에서 포맷 정보를 조작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삽입 단계에서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적은 반면, 복사, 팩스, 또는 프린트 등이 여러 번 반복된 문서에서 강인하게 워터마크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문서 분석 기술이 필요하게되는데 아직까지도 정교한 문서 분석 기술이 완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단어 이동에서는 한 줄에서 한 단어를 좌우로 1~2 화소 이동시켜 두는데, 문서 분석 모듈이 처리과정에서 1화소 이내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하면 이러한 이동 정보를 탐지하지 못한다.
문자 또는 단어의 명도를 조절하여 정보를 숨기는 방법도 제시되었다[Bhattacharjya99]. 이 방법에서는 문서 영상을 단어 단위로 분할한 후, 정보 인코딩 규칙에 따라 단어를 선택하여 해당 단어 영역의 명도를 조절한다.
Amano는 특징 수준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Amano99]. 이 방법에서는 문서 영상을 문자 단위까지 분할한 후, 각 문자에 대해 획 추출을 수행한다. 정보 삽입 규칙에 따라 특정 획을 선택하고 make-fat 또는 make-thin 연산을 적용하여 획의 굵기를 조작한다.
Ⅶ. 워터마킹의 응용 사례
워터마크는 디지털화가 가능한 모든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정적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비디오나 MPEG 등 동적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이미지에 대한 권리주장으로서 사용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 이미지 처리분야, 영상산업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보호방안이 마련되어져야하므로 디지털 워터마크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본다.
현재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바티칸 도서관 이라고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 중인 곳은 도서관에서의 저작권제공과 관련된 업무의 처리 부서라고 본다. 즉, 가장 기본적으로 정보제공이나 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도서관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공공이용 및 공정이용이라는 저작권의 대세적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개별적인 프로그램에서도 디지털 워터마크기법을 수행할 수 있는데, 현재 이미지처리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포토샵의 경우에도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다른 프로그램도 정품이 아닌 쉐어웨어(shareware)나 기능 제한 판을 사용할 경우, 자사의 고유로고가 인쇄되도록 하는 워터마크기법으로 불법이용 등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워터마크를 이용할 경우 주의하여야할 사항은 디지털 워터마킹된 컨텐츠를 우리가 사용할 때 외관상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워터마크를 삽입할 때 반드시 워터마크의 검출방법을 염두에 두고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Ⅷ. 결론 및 제언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컨텐츠의 증가와 함께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암호화, 인증 시스템, 그리고 워터마킹 등의 기술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워터마킹이란 영상, 비디오, 소리, 텍스트 등의 디지털 저작물에 소유권을 나타내는 신호나 content의 정보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과거에 발간된 책, 보고서, 논문, 기업 문서 등이 스캐닝 작업을 통해 디지털 영상 형태로 바뀌어 대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현재 많은 양의 정보가 문서 영상 형태로 생성되어 저장 또는 검색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의 예로 e-book, 전자도서관, 전자정부 등의 사업이 있다. 이러한 문서 영상이 저장 공간 효율 면에서 이진 형태인 경우가 많지만, 응용 분야의 필요에 따라 명암 또는 컬러 형태로 스캔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텍스트 문서 영상은 전경과 배경이 분리되어 영상을 위한 일반적인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텍스트 문서 영상의 심한 일그러짐이 있다.
참고문헌
강환일·김갑일·정요원(2001) - PostScript를 이용한 벡터 워터마킹 기법, 제13회 영상 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 제주 롯데
김주한(1999) - 저작권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기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기태(2005) -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저작권, 이채
이기수(2000) - 디지털정보거래의 사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정용덕(2004) - 음성과 지문 삽입을 위한 칼라 영상 워터마킹 방법, 조선대 석사논문
하재구(2001) - 디지털콘텐츠 저작권보호의 첨병, 워터마킹, Digital Contents
예를 들어 단어 이동에서는 한 줄에서 한 단어를 좌우로 1~2 화소 이동시켜 두는데, 문서 분석 모듈이 처리과정에서 1화소 이내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하면 이러한 이동 정보를 탐지하지 못한다.
문자 또는 단어의 명도를 조절하여 정보를 숨기는 방법도 제시되었다[Bhattacharjya99]. 이 방법에서는 문서 영상을 단어 단위로 분할한 후, 정보 인코딩 규칙에 따라 단어를 선택하여 해당 단어 영역의 명도를 조절한다.
Amano는 특징 수준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Amano99]. 이 방법에서는 문서 영상을 문자 단위까지 분할한 후, 각 문자에 대해 획 추출을 수행한다. 정보 삽입 규칙에 따라 특정 획을 선택하고 make-fat 또는 make-thin 연산을 적용하여 획의 굵기를 조작한다.
Ⅶ. 워터마킹의 응용 사례
워터마크는 디지털화가 가능한 모든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정적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비디오나 MPEG 등 동적 이미지에 삽입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이미지에 대한 권리주장으로서 사용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 이미지 처리분야, 영상산업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보호방안이 마련되어져야하므로 디지털 워터마크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본다.
현재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바티칸 도서관 이라고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 중인 곳은 도서관에서의 저작권제공과 관련된 업무의 처리 부서라고 본다. 즉, 가장 기본적으로 정보제공이나 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도서관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공공이용 및 공정이용이라는 저작권의 대세적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개별적인 프로그램에서도 디지털 워터마크기법을 수행할 수 있는데, 현재 이미지처리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포토샵의 경우에도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다른 프로그램도 정품이 아닌 쉐어웨어(shareware)나 기능 제한 판을 사용할 경우, 자사의 고유로고가 인쇄되도록 하는 워터마크기법으로 불법이용 등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워터마크를 이용할 경우 주의하여야할 사항은 디지털 워터마킹된 컨텐츠를 우리가 사용할 때 외관상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워터마크를 삽입할 때 반드시 워터마크의 검출방법을 염두에 두고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Ⅷ. 결론 및 제언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컨텐츠의 증가와 함께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암호화, 인증 시스템, 그리고 워터마킹 등의 기술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워터마킹이란 영상, 비디오, 소리, 텍스트 등의 디지털 저작물에 소유권을 나타내는 신호나 content의 정보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과거에 발간된 책, 보고서, 논문, 기업 문서 등이 스캐닝 작업을 통해 디지털 영상 형태로 바뀌어 대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현재 많은 양의 정보가 문서 영상 형태로 생성되어 저장 또는 검색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의 예로 e-book, 전자도서관, 전자정부 등의 사업이 있다. 이러한 문서 영상이 저장 공간 효율 면에서 이진 형태인 경우가 많지만, 응용 분야의 필요에 따라 명암 또는 컬러 형태로 스캔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텍스트 문서 영상은 전경과 배경이 분리되어 영상을 위한 일반적인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텍스트 문서 영상의 심한 일그러짐이 있다.
참고문헌
강환일·김갑일·정요원(2001) - PostScript를 이용한 벡터 워터마킹 기법, 제13회 영상 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 제주 롯데
김주한(1999) - 저작권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기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기태(2005) -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저작권, 이채
이기수(2000) - 디지털정보거래의 사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정용덕(2004) - 음성과 지문 삽입을 위한 칼라 영상 워터마킹 방법, 조선대 석사논문
하재구(2001) - 디지털콘텐츠 저작권보호의 첨병, 워터마킹, Digital Content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