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정신지체아의 개념
Ⅲ. 정신지체아의 특성
1. 신체건강상 특성
2. 인지 및 언어발달 특성
3. 심리․정서적 특성
4. 직업과 작업특성
5. 사회 행동적 특성
6. 정신지체아의 학습특성
1) 주의집중
2) 중재전략
3) 기억
4) 전이와 일반화
5) 추상화
6) 우발학습
Ⅳ. 정신지체아교육의 영향요인
1. 지원적 환경
2. 정신지체학생에게 적절한 교육과정
3. 교수-학습전략
Ⅴ. 정신지체아교육의 읽기지도
1. 통합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2. 총체적 읽기 지도
Ⅵ. 정신지체아교육의 수량학습
Ⅶ. 정신지체아교육의 지역사회기능교수
Ⅷ. 정신지체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정신지체아의 개념
Ⅲ. 정신지체아의 특성
1. 신체건강상 특성
2. 인지 및 언어발달 특성
3. 심리․정서적 특성
4. 직업과 작업특성
5. 사회 행동적 특성
6. 정신지체아의 학습특성
1) 주의집중
2) 중재전략
3) 기억
4) 전이와 일반화
5) 추상화
6) 우발학습
Ⅳ. 정신지체아교육의 영향요인
1. 지원적 환경
2. 정신지체학생에게 적절한 교육과정
3. 교수-학습전략
Ⅴ. 정신지체아교육의 읽기지도
1. 통합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2. 총체적 읽기 지도
Ⅵ. 정신지체아교육의 수량학습
Ⅶ. 정신지체아교육의 지역사회기능교수
Ⅷ. 정신지체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획이란 장기적인 생활 목표 계획을 이해하고 구조화하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 학생의 IEP 팀은 이 “25세 계획”을 학생이 25세에 도달하였을 때, 사회적, 가정적, 직업적, 및 다른 영역에서의 위치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정신지체 및 다른 중도장애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개념화된 “궁극적 기능의 기준”(Brown et al., 1996)의 개념과 경도장애 학생 중심으로 시작된 진로교육적 관점의 확산(Brolin, 1997)과 특수교육 전반에서 태동되고 있었던 특수교육의 총체적인 질을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 생활의 적응과 독립성 및 직업적 성과로서 평가하려는 추세는 자연스럽게 최근의 교육의 모든 분야에서 중시하는 성과중심적인 교육의(outcome-based education)(Brolin, 1997, p.3)경향과 잘 결합되었다. 즉 정신지(p.29)체 학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이 현재 환경(Petersen, Trecker, Egan, Fredericks, & Bunse, 1983)과 다음 환경(Vincent et al., 1980) 및 궁극적 환경(Brown, et al., 1976)이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참여하는 능력을 직접적으로 준비시키고 실질적 기능성을 신장시키는 것을 결정적으로 중요시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와 통합교육의 목적이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에 공헌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 기능은 학생들의 지역사회 실재와 참여를 준비시키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지역사회 기능 기술의 교수 중요성에 대한 이유를 Cipani 와 Spooner는 3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1)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은 개인 학생이 독립적이 되도록 하며, 한 개인의 하루하루의 일상적인 생활에 필수적인 것이다. 그래서 만약 한 개인이 그 기술을 수행할 수 없으면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을 위해 그 기술을 수행해주어야 한다. (2)지역사회 기능 기술은 한 개인에게 더 많은 개인적인 선택들이 가능하도록 한다. (3)한 개인의 지역사회 기능 기술의 수행이 증가되면 그 개인의 부모와 가족의 책임이 줄어들 수 있다.
지역사회 기능 교수의 중요성은 또한 이 영역의 기술의 교수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로서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 지체인이 수용시설로부터 탈 시설 수용화 되도록 지역사회 내에 많이 거주하게 된 변화와 미국의 전장애아교육법(P.L. 94-142)의 시행이 태동된 1970대 후반부터 지역사회 기능의 다양한 기술들을 정신 지체인에게 성공적으로 교수한 연구들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버스 타기(Neef, Iwata, & Page, 1978), 길 건너기(Vogelsburg & Rusch, 1979), 외식하기(Marholin et al., 1979), 식료품 쇼핑하기(Wheeler et al., 1979), 세탁기 사용하여 세탁하기(Thompson, Braam, & Fuqua, 1982), 은행사용하기(Shafer, Inge, & Hill, 1986), 고지서 납부하기(LaCampagne & Cipani, 1987), 패스트푸드 음식점 이용하기(McDonnell & Ferguson, 1988)를 교수한 것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 되었다. 지난 몇 년 전부터 한국의 특수교육 연구에서도 장애학생 및 성인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지지하며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을 성공적으로 교수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임신자의 볼링하기 기술 교수, 김선경의 문방구에서의 학용품 사기 기술교수, 유장미의 정신지체 근로자의 일반사업체에서의 식사시간 대화 기술 교수, 김은영의 길 건너기 기술 교수, 김유리의 패스트푸드점에서의 식사기술 교수에 관한 연구가 새로이 집적되고 있다.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은 정신 지체인이 지역사회에서 활발히 기능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중요하게 인식됨에 따라, 광범위한 조사 연구(예: 김선희, 1997; aveno, 1987) 및 교육과정 지침서(예: Cronin & Patton, 1993; Dever, 1988; Ford et al., 1989; Wehman et al., 1985; wilcox & Bellamy, 1987)에서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의 목록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의 교수의 중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구체적 쟁점은 그 많은 기술들 중에서 한 개인 정신지체 학생에게 어떠한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을 “선정하여” 교수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되었다(Cipani & Spooner, 1994; Ford et al., 1989).
Ⅷ. 정신지체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가) 치료적 학습이 되어야 한다.
나) 인간 관게의 조성에 힘써야 한다.
다) 새인차 자주성 자발성에 유의해야 한다.
라) 적절한 교재, 교구가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마) 소집단 활동이 중시되어야 한다.
바) 신체적 활동이 주가 된 학습을 전개해야 한다.
Ⅸ. 결론 및 제언
모든 아동은 교육기회를 균등히 받을 권리가 잇고, 이 기회는 아동 각자가 지닌 능력에 알맞게 주어지고, 그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시켜 주어야 될 것이다.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학습은 일상생활을 영위 하는데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도구적인 적응 요소이기 때문에 사회 적응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지도 개발 하여 앞으로의 생활과 직업적 자립이 가능 하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강갑술(1996), 음운분석적 및 의미중심적 읽기 방법이 정신지체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청구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영춘(1991), 소꼽표현이 훈련가능 정신지체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국현장연구보고서
김정권 외(1993), 정신지체아 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김종석·김언주·백욱현(1992), 교수 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박승희(1993),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발달 배경과 과제, 추국회 정년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특수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도서출판특수교육
이상춘·조인수(1998), 정신지체아 교육, 전주 : 신아출판사
정신지체 및 다른 중도장애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개념화된 “궁극적 기능의 기준”(Brown et al., 1996)의 개념과 경도장애 학생 중심으로 시작된 진로교육적 관점의 확산(Brolin, 1997)과 특수교육 전반에서 태동되고 있었던 특수교육의 총체적인 질을 학교교육 이후의 성인기 생활의 적응과 독립성 및 직업적 성과로서 평가하려는 추세는 자연스럽게 최근의 교육의 모든 분야에서 중시하는 성과중심적인 교육의(outcome-based education)(Brolin, 1997, p.3)경향과 잘 결합되었다. 즉 정신지(p.29)체 학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이 현재 환경(Petersen, Trecker, Egan, Fredericks, & Bunse, 1983)과 다음 환경(Vincent et al., 1980) 및 궁극적 환경(Brown, et al., 1976)이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참여하는 능력을 직접적으로 준비시키고 실질적 기능성을 신장시키는 것을 결정적으로 중요시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와 통합교육의 목적이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통합에 공헌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 기능은 학생들의 지역사회 실재와 참여를 준비시키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지역사회 기능 기술의 교수 중요성에 대한 이유를 Cipani 와 Spooner는 3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1)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은 개인 학생이 독립적이 되도록 하며, 한 개인의 하루하루의 일상적인 생활에 필수적인 것이다. 그래서 만약 한 개인이 그 기술을 수행할 수 없으면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을 위해 그 기술을 수행해주어야 한다. (2)지역사회 기능 기술은 한 개인에게 더 많은 개인적인 선택들이 가능하도록 한다. (3)한 개인의 지역사회 기능 기술의 수행이 증가되면 그 개인의 부모와 가족의 책임이 줄어들 수 있다.
지역사회 기능 교수의 중요성은 또한 이 영역의 기술의 교수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로서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 지체인이 수용시설로부터 탈 시설 수용화 되도록 지역사회 내에 많이 거주하게 된 변화와 미국의 전장애아교육법(P.L. 94-142)의 시행이 태동된 1970대 후반부터 지역사회 기능의 다양한 기술들을 정신 지체인에게 성공적으로 교수한 연구들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면, 버스 타기(Neef, Iwata, & Page, 1978), 길 건너기(Vogelsburg & Rusch, 1979), 외식하기(Marholin et al., 1979), 식료품 쇼핑하기(Wheeler et al., 1979), 세탁기 사용하여 세탁하기(Thompson, Braam, & Fuqua, 1982), 은행사용하기(Shafer, Inge, & Hill, 1986), 고지서 납부하기(LaCampagne & Cipani, 1987), 패스트푸드 음식점 이용하기(McDonnell & Ferguson, 1988)를 교수한 것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 되었다. 지난 몇 년 전부터 한국의 특수교육 연구에서도 장애학생 및 성인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지지하며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을 성공적으로 교수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임신자의 볼링하기 기술 교수, 김선경의 문방구에서의 학용품 사기 기술교수, 유장미의 정신지체 근로자의 일반사업체에서의 식사시간 대화 기술 교수, 김은영의 길 건너기 기술 교수, 김유리의 패스트푸드점에서의 식사기술 교수에 관한 연구가 새로이 집적되고 있다.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은 정신 지체인이 지역사회에서 활발히 기능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중요하게 인식됨에 따라, 광범위한 조사 연구(예: 김선희, 1997; aveno, 1987) 및 교육과정 지침서(예: Cronin & Patton, 1993; Dever, 1988; Ford et al., 1989; Wehman et al., 1985; wilcox & Bellamy, 1987)에서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의 목록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의 교수의 중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구체적 쟁점은 그 많은 기술들 중에서 한 개인 정신지체 학생에게 어떠한 지역사회 기능 기술들을 “선정하여” 교수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되었다(Cipani & Spooner, 1994; Ford et al., 1989).
Ⅷ. 정신지체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가) 치료적 학습이 되어야 한다.
나) 인간 관게의 조성에 힘써야 한다.
다) 새인차 자주성 자발성에 유의해야 한다.
라) 적절한 교재, 교구가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마) 소집단 활동이 중시되어야 한다.
바) 신체적 활동이 주가 된 학습을 전개해야 한다.
Ⅸ. 결론 및 제언
모든 아동은 교육기회를 균등히 받을 권리가 잇고, 이 기회는 아동 각자가 지닌 능력에 알맞게 주어지고, 그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시켜 주어야 될 것이다.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학습은 일상생활을 영위 하는데 있어서 필요 불가결한 도구적인 적응 요소이기 때문에 사회 적응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지도 개발 하여 앞으로의 생활과 직업적 자립이 가능 하도록 해야 한다.
참고문헌
강갑술(1996), 음운분석적 및 의미중심적 읽기 방법이 정신지체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청구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영춘(1991), 소꼽표현이 훈련가능 정신지체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국현장연구보고서
김정권 외(1993), 정신지체아 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김종석·김언주·백욱현(1992), 교수 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성원사
박승희(1993),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의 발달 배경과 과제, 추국회 정년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특수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도서출판특수교육
이상춘·조인수(1998), 정신지체아 교육, 전주 : 신아출판사
추천자료
- 장애인(정신지체 장애자)의 불임시술에 관한 의견 - 불임시술은 필요악이다.(찬성)
- 정신지체·정서장애 학생의 예능과 지도
- 정신지체 장애인의 자주적 문화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정의,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의의, 발달지체아동의 조기교육, 정신지체아...
- 정신지체 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 전반적 발달장애와 정신지체의 진단 및 치료
- 발달장애 자폐 (정신지체 장애-분류·원인·특성 & 발달장애(자폐증) 정의·분류·원인·특성·...
- [영화 속 장애와 치료] 영화 속 장애, 맨발의 기봉이 속 장애, 기봉이 정신지체, 기봉이 관절...
- [아동심리] 광범위성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DDR) - 정신지체(Mental R...
- 정신장애,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대해 정리하고, 현재 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 정신장애,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현시점에서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
- 정신장애,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현 시점에서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 영유아기 정신장애(우울장애, 정신지체, 반응성 애착장애,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장애)
- 영화 ‘허브’를 보며 생각한 정신지체 장애인들의 사랑과 연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