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3. 결과 (경향의 창출)
Ⅲ. 킹즐리와 ‘물의 아이들’
1. 작가와 작품의 소개
(1) 물의 아이들의 특징
(2) 찰스 킹즐리
2. 사회적 경향이 작품에 미친 영향
3. 개인적 배경이 미친 영향
4. 사회적 경향과 개인의 삶의 배경의 동화에의 반영
(1) 주인공인 굴뚝청소부
(2) 고릴라로 퇴화 하는 장면
5. 동화에의 반영을 통한 당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 제시
(1)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장과 성숙
(2) 정신적 진화 추구
(3) 양성성의 조화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3. 결과 (경향의 창출)
Ⅲ. 킹즐리와 ‘물의 아이들’
1. 작가와 작품의 소개
(1) 물의 아이들의 특징
(2) 찰스 킹즐리
2. 사회적 경향이 작품에 미친 영향
3. 개인적 배경이 미친 영향
4. 사회적 경향과 개인의 삶의 배경의 동화에의 반영
(1) 주인공인 굴뚝청소부
(2) 고릴라로 퇴화 하는 장면
5. 동화에의 반영을 통한 당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 제시
(1)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장과 성숙
(2) 정신적 진화 추구
(3) 양성성의 조화
본문내용
19세기 동화작가와 작품경향
부제 - ‘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 ’
동화와 꿈의세계 제출과제
0911995 법학과 최무아
목차
Ⅰ.서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3. 결과 (경향의 창출)
Ⅲ. 킹즐리와 ‘물의 아이들’
1. 작가와 작품의 소개
(1) 물의 아이들의 특징
(2) 찰스 킹즐리
2. 사회적 경향이 작품에 미친 영향
3. 개인적 배경이 미친 영향
4. 사회적 경향과 개인의 삶의 배경의 동화에의 반영
(1) 주인공인 굴뚝청소부
(2) 고릴라로 퇴화 하는 장면
5. 동화에의 반영을 통한 당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 제시
(1)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장과 성숙
(2) 정신적 진화 추구
(3) 양성성의 조화
Ⅰ.서
19세기에는 동화의 커다란 변화가 있었는데 바로 판타지의 수용이다. 이러한 변화를 먼저 살펴 보겠다.
또한 19세기에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 경향이, 동화에서는 판타지, 즉 환상성 내지 상상력이 꽃피운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이러한 이중적 경향은 동화의 전개 내지 결과,교훈등의 도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판타지 아동문학의 발전은 낭만주의의 운동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으며, 빅토리아 시대 판타지가 하나의 문학장르로 발전하게 된 것은 주로 루이스 캐럴과 토머스 후드, 조지 맥도널드, 찰스 킹즐리, 그리고 윌리엄 모리스 덕분이다. 이 중 찰스 킹즐리는 당대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사람 이었다. 이러한 킹즐리의 작품중 ‘물의 아이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은 낭만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동화의 특징들을 나타내기도 하며, 사회개혁운동가였던 킹즐리의 개인적인 경향을 많이 받기도 하여 독특한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킹증리와 그의 작품인 ‘물의 아이들’을 외적경향에 의한 요소(사회적 경향)과 내적경향에 의한 요소들(개인적 배경이 미친영향)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에 의하여 킹즐리는, 동화속에서 자신의 결론을 도출하는데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숙과 성장, 정신적 진화, 양성성의 조화 등이 그것인데 당시 근대화의 시대상황과 부조리, 아이들에 대한 장려정책 과 자신의 유년기에 대한 성찰 등 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결론에 이르게된다. 이러한 점들을 마지막에서 검토하기로 한다.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19세기 영국 아동문학에서는 판타지의 적극적 수용 19세기 영국 아동문학에서는 왜 판타지에 대한 충동이 있었는가와 관련하여 「판타지 아동문학과 사회-차은정」에서는 ‘ 이러한 의문은 19세기 사회에 대한 여러 층위의 해석을 수반하면서 당대 사회가 어떠한 이유로 판타지를 요구하고 수용했는지에 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판타지 아동문학의 사회성과 문학성을 도출해내도록 한다. 환상소설의 전통은 모든 문명에서 찾을 수 있다.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가장 고귀한 능력 중 하나이며, 문학의 근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환상문학의 전통은 이야기의 전통과 같이 한다고 보아고 무리가 없다. 환상적 요소를 가진 이야기가 발전하여 장르로서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의 고딕 환상소설에 의해서이다. 18세기 후반 소설의 발생으로 환상소설이 비로소 다른 소설 양식들과 변별될 수 있었던 것이다.’ 라고 한다.
이 있었다. 19세기 전반 낭만주의의 융성은 상상력의 산물인 환상문학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였고 그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나 1848년 유럽 도처에서 일어났던 혁명들이 실패하게 되면서, 낭만주의도 쇠퇴하게 되고 환상문학은 아동문학 속으로 스며들었다.
이에 더해 환상소설의 근간이 되어준 요정이야기, 민담, 신화는 아직도 많은 작가들에게 이야기의 소재와 무대를 제공하였으며 고대 그리스 로마의 신화, 아서왕의 전설, 북유럽 신화, 아틀란티스 전설, 프랑스의 페로와 독일의 그림형제가 모은 민담들도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840년부터 기반을 잡으며 황금기를 준비하기 시작한 아동문학은 낭만주의의 핵심인 상상력과 자유를 수용하였다. 혁명의 실패와 낭만주의적 이상의 좌절이후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적 관점으로 사회를 본 것과는 대조적으로 낭만주의를 수용 하였다.
그 결과 동 시대에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 경향이, 그리고 아동문학에서는 판타지가 주류인 낭만주의의 경향을 보였다.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가, 동화에서는 낭만주의의 이러한 상반된 경향이 공존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었일까?
이에 관하여 조아샤빗은 동화가 문학적 다중체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동화가 단순히 아동을 위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 속에서 관련 맺는 시대적 산물임을 반영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의문점은 동화에서 아동의 즐거움이 중요시되고, 동화의 창작에 상상력이 개입되는 것은 분명 낭만주의의 영향이나, 사실상 1850년대 부터는 일반 성인문학에서 낭만주의 운동의 영향력이 기울어져가고 있는 시기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문점은 동화의 특성에 의하여 풀리게 된다. 아동문학은 아동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성인문학에서 검증되고 지지받은 상상력의 중요성은 그 인증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문학으로 존재가치가 부여되기 때문이다. 즉 시기적으로 성인문학이 받아들이는 각 시대의 경향의 속도보다 동화가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또한 성인문학에서 낭만주의의 쇠퇴와 사실주의의 발생이 낭만주의의 소멸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단지 사실주의의 경향이 커지고, 비중이 늘어나고, 낭만주의의 비중이 줄어들고
부제 - ‘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 ’
동화와 꿈의세계 제출과제
0911995 법학과 최무아
목차
Ⅰ.서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3. 결과 (경향의 창출)
Ⅲ. 킹즐리와 ‘물의 아이들’
1. 작가와 작품의 소개
(1) 물의 아이들의 특징
(2) 찰스 킹즐리
2. 사회적 경향이 작품에 미친 영향
3. 개인적 배경이 미친 영향
4. 사회적 경향과 개인의 삶의 배경의 동화에의 반영
(1) 주인공인 굴뚝청소부
(2) 고릴라로 퇴화 하는 장면
5. 동화에의 반영을 통한 당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 제시
(1)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장과 성숙
(2) 정신적 진화 추구
(3) 양성성의 조화
Ⅰ.서
19세기에는 동화의 커다란 변화가 있었는데 바로 판타지의 수용이다. 이러한 변화를 먼저 살펴 보겠다.
또한 19세기에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 경향이, 동화에서는 판타지, 즉 환상성 내지 상상력이 꽃피운 배경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이러한 이중적 경향은 동화의 전개 내지 결과,교훈등의 도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판타지 아동문학의 발전은 낭만주의의 운동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으며, 빅토리아 시대 판타지가 하나의 문학장르로 발전하게 된 것은 주로 루이스 캐럴과 토머스 후드, 조지 맥도널드, 찰스 킹즐리, 그리고 윌리엄 모리스 덕분이다. 이 중 찰스 킹즐리는 당대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사람 이었다. 이러한 킹즐리의 작품중 ‘물의 아이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킹즐리의 ‘물의 아이들’은 낭만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동화의 특징들을 나타내기도 하며, 사회개혁운동가였던 킹즐리의 개인적인 경향을 많이 받기도 하여 독특한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킹증리와 그의 작품인 ‘물의 아이들’을 외적경향에 의한 요소(사회적 경향)과 내적경향에 의한 요소들(개인적 배경이 미친영향)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에 의하여 킹즐리는, 동화속에서 자신의 결론을 도출하는데 능동적 깨달음을 통한 성숙과 성장, 정신적 진화, 양성성의 조화 등이 그것인데 당시 근대화의 시대상황과 부조리, 아이들에 대한 장려정책 과 자신의 유년기에 대한 성찰 등 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결론에 이르게된다. 이러한 점들을 마지막에서 검토하기로 한다.
Ⅱ. 19세기 동화의 주요한 변화
1.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
19세기 영국 아동문학에서는 판타지의 적극적 수용 19세기 영국 아동문학에서는 왜 판타지에 대한 충동이 있었는가와 관련하여 「판타지 아동문학과 사회-차은정」에서는 ‘ 이러한 의문은 19세기 사회에 대한 여러 층위의 해석을 수반하면서 당대 사회가 어떠한 이유로 판타지를 요구하고 수용했는지에 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판타지 아동문학의 사회성과 문학성을 도출해내도록 한다. 환상소설의 전통은 모든 문명에서 찾을 수 있다.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가장 고귀한 능력 중 하나이며, 문학의 근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환상문학의 전통은 이야기의 전통과 같이 한다고 보아고 무리가 없다. 환상적 요소를 가진 이야기가 발전하여 장르로서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의 고딕 환상소설에 의해서이다. 18세기 후반 소설의 발생으로 환상소설이 비로소 다른 소설 양식들과 변별될 수 있었던 것이다.’ 라고 한다.
이 있었다. 19세기 전반 낭만주의의 융성은 상상력의 산물인 환상문학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였고 그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나 1848년 유럽 도처에서 일어났던 혁명들이 실패하게 되면서, 낭만주의도 쇠퇴하게 되고 환상문학은 아동문학 속으로 스며들었다.
이에 더해 환상소설의 근간이 되어준 요정이야기, 민담, 신화는 아직도 많은 작가들에게 이야기의 소재와 무대를 제공하였으며 고대 그리스 로마의 신화, 아서왕의 전설, 북유럽 신화, 아틀란티스 전설, 프랑스의 페로와 독일의 그림형제가 모은 민담들도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840년부터 기반을 잡으며 황금기를 준비하기 시작한 아동문학은 낭만주의의 핵심인 상상력과 자유를 수용하였다. 혁명의 실패와 낭만주의적 이상의 좌절이후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적 관점으로 사회를 본 것과는 대조적으로 낭만주의를 수용 하였다.
그 결과 동 시대에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 경향이, 그리고 아동문학에서는 판타지가 주류인 낭만주의의 경향을 보였다.
2.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공존의 이유
성인문학에서는 사실주의가, 동화에서는 낭만주의의 이러한 상반된 경향이 공존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었일까?
이에 관하여 조아샤빗은 동화가 문학적 다중체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동화가 단순히 아동을 위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 속에서 관련 맺는 시대적 산물임을 반영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의문점은 동화에서 아동의 즐거움이 중요시되고, 동화의 창작에 상상력이 개입되는 것은 분명 낭만주의의 영향이나, 사실상 1850년대 부터는 일반 성인문학에서 낭만주의 운동의 영향력이 기울어져가고 있는 시기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문점은 동화의 특성에 의하여 풀리게 된다. 아동문학은 아동에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성인문학에서 검증되고 지지받은 상상력의 중요성은 그 인증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문학으로 존재가치가 부여되기 때문이다. 즉 시기적으로 성인문학이 받아들이는 각 시대의 경향의 속도보다 동화가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또한 성인문학에서 낭만주의의 쇠퇴와 사실주의의 발생이 낭만주의의 소멸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단지 사실주의의 경향이 커지고, 비중이 늘어나고, 낭만주의의 비중이 줄어들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