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학교통일교육의 개념
Ⅲ. 학교통일교육의 필요성
Ⅳ. 학교통일교육의 원칙
1. 실생활 관련 소재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2. 학생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과 호기심을 중시해야 한다
3. 협동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4. 적절한 실천 기회 및 체험 활동의 기회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Ⅴ. 학교통일교육의 기법
1. 집단 조사 활동(group investigations)
2. PMR(plus minus reconstruction)
3. 디스코그래피(discography)
4. 문화 이해지(culture assimilator)
5. 시사 자료 활용 수업 모형
6. 포트폴리오
7. 개념분석 수업 모형
8. 확언하기(affirming)
9. 북한 어린이 초대하기(초대장 만들기)
Ⅵ. 학교통일교육의 쟁점
Ⅶ. 학교통일교육의 독일 사례
Ⅷ. 향후 학교통일교육의 제고 방향
1. 통일 교육 내용의 점진적 변경
2. 통일 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3. 통일 교육을 위한 학교 행사 추진
1) `통일 발언대` 운영
2) `우리는 통일 세대` 소감문 쓰기
3) `통일 문집` 작성 활용
4) 통일 `훈화 교육`
Ⅸ. 결론
참고문헌
Ⅱ. 학교통일교육의 개념
Ⅲ. 학교통일교육의 필요성
Ⅳ. 학교통일교육의 원칙
1. 실생활 관련 소재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2. 학생의 유의미성(meaningfulness)과 호기심을 중시해야 한다
3. 협동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업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4. 적절한 실천 기회 및 체험 활동의 기회를 부여해 주어야 한다
Ⅴ. 학교통일교육의 기법
1. 집단 조사 활동(group investigations)
2. PMR(plus minus reconstruction)
3. 디스코그래피(discography)
4. 문화 이해지(culture assimilator)
5. 시사 자료 활용 수업 모형
6. 포트폴리오
7. 개념분석 수업 모형
8. 확언하기(affirming)
9. 북한 어린이 초대하기(초대장 만들기)
Ⅵ. 학교통일교육의 쟁점
Ⅶ. 학교통일교육의 독일 사례
Ⅷ. 향후 학교통일교육의 제고 방향
1. 통일 교육 내용의 점진적 변경
2. 통일 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3. 통일 교육을 위한 학교 행사 추진
1) `통일 발언대` 운영
2) `우리는 통일 세대` 소감문 쓰기
3) `통일 문집` 작성 활용
4) 통일 `훈화 교육`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 졸업 때까지 필수적으로 배우도록 되어 있었다. “국가시민” 교과를 위하여 동독 정부는 교육과정기본계획안을 만들고, 이에 따라 교과서를 제작하였다.
독일 통일 후 독일의 학교 현장은 새로운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념과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발전한 교육제도가 통합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등장하였다. 구 서독의 체제로 통일이 되었기 때문에, 서독 지역의 교육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동독의 교육제도와 이념교육은 통일 후 완전히 바뀌게 되었다. 서독식의 교육제도가 도입되어 적용되었고, 서독식의 정치교육과 통일교육이 교육과정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상적인 가치로 여겨졌던 사회주의 이념이 무가치한 것으로 폐기 처분되었고, 타도의 대상이었던 서독식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이상적인 체제로 교육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상황으로 인하여 학생들은 통일 초기 큰 혼란을 겪게 되었다.
서로 다른 체제가 하나로 통합되면서,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낳았다. 더불어 통일 후 제기된 여러 사회ㆍ경제적 문제점들은 정신적인 충격, 개인적 실망, 상호불신 등을 낳았다. 특히 구 동독 지역 학생들은 통일 초기에 심각한 부적응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 구 동독 학생들을 도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였다. 어떻게 하면 구 동독 학생들이 변화된 사회 환경에서 올바른 방향을 찾고, 다원화된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가? 여기서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등장하였다. 통일 후 독일 정부는 서독식의 정치교육제도를 동독 지역에 도입하면서 “정치교육과정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자질을 부여하고, 통일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주는데 주력하였다.
Ⅷ. 향후 학교통일교육의 제고 방향
1. 통일 교육 내용의 점진적 변경
(1) 통일 교육은 규범적이론적 지도에서 벗어나, 남북한 사회를 동일 기준에 따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2) 통일 교육 내용을 수동적 학습 내용에서 능동적 학습 내용으로 전환하여, 학생 스스로 통일관(統一觀)을 형성하도록 지도한다.
(3) 통일 교육은 도덕윤리과 중심에서 벗어나, 범교과적 활동으로 확대하여 각 교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수정지도한다.
(4) 북한 사회와 그 안에 살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상을 우리 사회의 일부처럼, 우리 이웃처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남북 관계의 중심이 \'화해와 협력으로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국가 안보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국토 방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은 계속하는 한편, 남한 내 갈등과 차별 해소 방안도 지도한다.
2. 통일 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1) 통일 교육을 주입식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수요자 눈높이 통일 교육으로 합리적비판적 판단 능력을 습득토록 지도한다.
(2) 브레인스토밍, 유비토의, 직소우, 집단 탐구, 인터넷 이용 등 다양한 논의와 수용능력 신장을 위한 통일 교육 기법을 활용한다.
(3) 이론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및 현장 체험 등 직접 체험하는 학습 방법을 도입한다.
(4) 통일 환경 변화에 민감한 매스컴자료와 사진, 서적, 영상 자료 등 학생의 흥미가 높은 자료를 활용하여 통일 교육을 전개한다.
(5) 통일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통일 전문 교사 역할을 제고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제 자료를 활용한 교사 연수를 확대한다.
3. 통일 교육을 위한 학교 행사 추진
1) \'통일 발언대\' 운영
목적 :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자기 구상 발표 기회 부여
내용 : 북한 동포, 북한 학생, 북한 당국에게 주는 글(편지글), 통일에 대한 소감, 북한 생활상을 보고 느낀 점 쓰기 등
방법 : 학급 활동 시간 또는 전체 조회 시간, 우수작 시상
2) \'우리는 통일 세대\' 소감문 쓰기
목적 : 통일에 대한 각자의 의지 표현 기회 제공
내용 : 통일 프로그램 제공 후 소감문 쓰기
방법 : 우수작 발표 기회 제공 및 시상
3) \'통일 문집\' 작성 활용
목적 : 학생 통일 작품의 문집 발간으로 통일 의지 함양
내용 : \'통일 발언대\' 및 \'우리는 통일 세대\' 우수작 수록
방법 : 문집으로 발간보급, 통일교육 자료로 활용
4) 통일 \'훈화 교육\'
목적 : 통일에 관한 관심 유발 및 통일 대비 능력 신장
내용 : 통일 관련 훈화의 체계적 실시
방법 : 전체 및 학급 조회 시간에 학교장 및 담임이 실시
이 밖에 통일 소리함 운영, 통일 명상의 시간 운영, 통일 스크랩북 전시회, 통일 토론 대회, 통일 대비 탐구 대회, 북한 학생 돕기, 북한 학생 체험 활동, 통일 연구 학생 서클 운영 등 통일 교육을 위한 다양한 행사 계획이 분임원들 사이에 제안된다.
Ⅸ. 결론
학교 통일 교육은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 통일을 실질적으로 완성할 현재의 중고등학생들과 이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과 자세의 변화에 긍정적 계기를 부여하는 효과적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교육은 통일과 통일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통일 교육의 교재나 프로그램이 변화되는 통일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기도 하고, X세대라 불리는 신세대 학생들의 통일 교육에 관한 관심을 끌어내고 유용한 학습 성과를 거두는데 적절한 교육 방법의 제시가 미약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효과적인 학교 통일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통일 및 통일 교육에 대한 시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일 교육 학습 전략과 지원체계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학준(1998) : 통일과 21세기, 통일교육원
박찬석 외(2000) : 통일교육론, 서울 : 도서출판 백의
서재진(1996) : 북한사회의 변화전망과 통일교육의 방향, 교육부, 교육월보, 통권 제174호
이향림(1995) : 한국의 통일 정책 변천과 통일 교육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세구 외(1999) : 통일교육 교수기법, 서울 : 통일교육원
통일부(2000) :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정책연구실
독일 통일 후 독일의 학교 현장은 새로운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념과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발전한 교육제도가 통합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등장하였다. 구 서독의 체제로 통일이 되었기 때문에, 서독 지역의 교육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동독의 교육제도와 이념교육은 통일 후 완전히 바뀌게 되었다. 서독식의 교육제도가 도입되어 적용되었고, 서독식의 정치교육과 통일교육이 교육과정에 포함되게 되었다. 이상적인 가치로 여겨졌던 사회주의 이념이 무가치한 것으로 폐기 처분되었고, 타도의 대상이었던 서독식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이상적인 체제로 교육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상황으로 인하여 학생들은 통일 초기 큰 혼란을 겪게 되었다.
서로 다른 체제가 하나로 통합되면서,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낳았다. 더불어 통일 후 제기된 여러 사회ㆍ경제적 문제점들은 정신적인 충격, 개인적 실망, 상호불신 등을 낳았다. 특히 구 동독 지역 학생들은 통일 초기에 심각한 부적응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 구 동독 학생들을 도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였다. 어떻게 하면 구 동독 학생들이 변화된 사회 환경에서 올바른 방향을 찾고, 다원화된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가? 여기서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등장하였다. 통일 후 독일 정부는 서독식의 정치교육제도를 동독 지역에 도입하면서 “정치교육과정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과 자질을 부여하고, 통일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주는데 주력하였다.
Ⅷ. 향후 학교통일교육의 제고 방향
1. 통일 교육 내용의 점진적 변경
(1) 통일 교육은 규범적이론적 지도에서 벗어나, 남북한 사회를 동일 기준에 따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2) 통일 교육 내용을 수동적 학습 내용에서 능동적 학습 내용으로 전환하여, 학생 스스로 통일관(統一觀)을 형성하도록 지도한다.
(3) 통일 교육은 도덕윤리과 중심에서 벗어나, 범교과적 활동으로 확대하여 각 교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수정지도한다.
(4) 북한 사회와 그 안에 살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상을 우리 사회의 일부처럼, 우리 이웃처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남북 관계의 중심이 \'화해와 협력으로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국가 안보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국토 방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은 계속하는 한편, 남한 내 갈등과 차별 해소 방안도 지도한다.
2. 통일 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선
(1) 통일 교육을 주입식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수요자 눈높이 통일 교육으로 합리적비판적 판단 능력을 습득토록 지도한다.
(2) 브레인스토밍, 유비토의, 직소우, 집단 탐구, 인터넷 이용 등 다양한 논의와 수용능력 신장을 위한 통일 교육 기법을 활용한다.
(3) 이론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및 현장 체험 등 직접 체험하는 학습 방법을 도입한다.
(4) 통일 환경 변화에 민감한 매스컴자료와 사진, 서적, 영상 자료 등 학생의 흥미가 높은 자료를 활용하여 통일 교육을 전개한다.
(5) 통일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통일 전문 교사 역할을 제고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제 자료를 활용한 교사 연수를 확대한다.
3. 통일 교육을 위한 학교 행사 추진
1) \'통일 발언대\' 운영
목적 :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자기 구상 발표 기회 부여
내용 : 북한 동포, 북한 학생, 북한 당국에게 주는 글(편지글), 통일에 대한 소감, 북한 생활상을 보고 느낀 점 쓰기 등
방법 : 학급 활동 시간 또는 전체 조회 시간, 우수작 시상
2) \'우리는 통일 세대\' 소감문 쓰기
목적 : 통일에 대한 각자의 의지 표현 기회 제공
내용 : 통일 프로그램 제공 후 소감문 쓰기
방법 : 우수작 발표 기회 제공 및 시상
3) \'통일 문집\' 작성 활용
목적 : 학생 통일 작품의 문집 발간으로 통일 의지 함양
내용 : \'통일 발언대\' 및 \'우리는 통일 세대\' 우수작 수록
방법 : 문집으로 발간보급, 통일교육 자료로 활용
4) 통일 \'훈화 교육\'
목적 : 통일에 관한 관심 유발 및 통일 대비 능력 신장
내용 : 통일 관련 훈화의 체계적 실시
방법 : 전체 및 학급 조회 시간에 학교장 및 담임이 실시
이 밖에 통일 소리함 운영, 통일 명상의 시간 운영, 통일 스크랩북 전시회, 통일 토론 대회, 통일 대비 탐구 대회, 북한 학생 돕기, 북한 학생 체험 활동, 통일 연구 학생 서클 운영 등 통일 교육을 위한 다양한 행사 계획이 분임원들 사이에 제안된다.
Ⅸ. 결론
학교 통일 교육은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 통일을 실질적으로 완성할 현재의 중고등학생들과 이들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과 자세의 변화에 긍정적 계기를 부여하는 효과적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통일 교육은 통일과 통일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통일 교육의 교재나 프로그램이 변화되는 통일 환경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기도 하고, X세대라 불리는 신세대 학생들의 통일 교육에 관한 관심을 끌어내고 유용한 학습 성과를 거두는데 적절한 교육 방법의 제시가 미약하였던 것도 사실이다. 효과적인 학교 통일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통일 및 통일 교육에 대한 시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일 교육 학습 전략과 지원체계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학준(1998) : 통일과 21세기, 통일교육원
박찬석 외(2000) : 통일교육론, 서울 : 도서출판 백의
서재진(1996) : 북한사회의 변화전망과 통일교육의 방향, 교육부, 교육월보, 통권 제174호
이향림(1995) : 한국의 통일 정책 변천과 통일 교육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세구 외(1999) : 통일교육 교수기법, 서울 : 통일교육원
통일부(2000) :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정책연구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