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아 질병 종류의 특징과 예방
1) 일반적인 감기
2) 위장염, 식중독
3) 편도선염
4) 백일해
5) 수두
6) 홍역
7) 풍진
8) 폐렴
9) 유행성 이하선염
10) 뇌막염
11) 뇌염
일반적인 유아기의 질병
1) 일반적인 감기
2) 위장염, 식중독
3) 편도선염
4) 백일해
5) 수두
6) 홍역
7) 풍진
8) 폐렴
9) 유행성 이하선염
10) 뇌막염
11) 뇌염
일반적인 유아기의 질병
본문내용
다. 수두는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한 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된다.
6) 홍역
홍역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며 5~10세 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15개월 홍역 백신을 맞으면 예방이 가능하다.
환자의 코나 목에서 나온 분비물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에 산포되어 있다가 공기를 통해 감염되거나 직접 분비물이 묻은 물체를 통하여 전염된다. 대개 3~4일간 발열, 불쾌감, 기침, 콧물, 결막염이 나타나고 입 안 양쪽 볼의 점막에 홍역의 특징인 코플릭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반점이 나타난 후 1~2일이 지나면 발진이 시작되는데, 둥근 모양의 발진이 이마와 귀 뒤부터 시작되어 얼굴, 목, 팔, 몸통 상부로 급속히 퍼진다.
발진 출혈 후 2~3일째 증상이 가장 심하여 40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한다. 중이염, 림프절염, 기관지염, 폐렴 등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위한 의학적 처치가 필요하다.
7) 풍진
풍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기침, 재채기, 말할 때 튀어나오는 작은 수포로 전염된다. 가벼운 발열과 편도선염 증상이 나타나고 귀 뒤의 후두부 림프절이 붓는다.
발진은 림프절이 커진 후에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얼굴에서 나타나다가 2~3시간 이내에 머리, 팔, 몸통 등 온몸에 나타난다. 드물게 뇌염이 동반될 수도 있지만 대개는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풍진은 백신으로 예방이 되므로 모든 유아들에게 예방접종을 받게 하는 것이 좋다. 임신부가 임신 16주 이내에 풍진에 감염되면 본인은 별 다른 증상 없이 지나가나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서 귀머거리, 심장기형, 정신 지체 등의 선천성 기형을 가진 아기를 출산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여자 아동들은 13세경 까지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8) 폐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5세 이하의 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으로는 감기와 비슷하여 콧물, 발열,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심해지면 마른기침을 하게 되고 40도 이상의 고열이 나며 호흡곤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합병증이나 2차 감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여야 하며 주변 환경과 몸을 깨끗이 하는 것이 폐렴을 예방하는 1차적인 방법이다.
9)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홍역과 같이 환자의 타액이 공기 중에 산포되어 있어 이에 의해 전염된다. 타액선이 붓는 1일 동안 발열, 두통, 식욕부진,
6) 홍역
홍역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며 5~10세 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15개월 홍역 백신을 맞으면 예방이 가능하다.
환자의 코나 목에서 나온 분비물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에 산포되어 있다가 공기를 통해 감염되거나 직접 분비물이 묻은 물체를 통하여 전염된다. 대개 3~4일간 발열, 불쾌감, 기침, 콧물, 결막염이 나타나고 입 안 양쪽 볼의 점막에 홍역의 특징인 코플릭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반점이 나타난 후 1~2일이 지나면 발진이 시작되는데, 둥근 모양의 발진이 이마와 귀 뒤부터 시작되어 얼굴, 목, 팔, 몸통 상부로 급속히 퍼진다.
발진 출혈 후 2~3일째 증상이 가장 심하여 40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한다. 중이염, 림프절염, 기관지염, 폐렴 등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위한 의학적 처치가 필요하다.
7) 풍진
풍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기침, 재채기, 말할 때 튀어나오는 작은 수포로 전염된다. 가벼운 발열과 편도선염 증상이 나타나고 귀 뒤의 후두부 림프절이 붓는다.
발진은 림프절이 커진 후에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얼굴에서 나타나다가 2~3시간 이내에 머리, 팔, 몸통 등 온몸에 나타난다. 드물게 뇌염이 동반될 수도 있지만 대개는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풍진은 백신으로 예방이 되므로 모든 유아들에게 예방접종을 받게 하는 것이 좋다. 임신부가 임신 16주 이내에 풍진에 감염되면 본인은 별 다른 증상 없이 지나가나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어서 귀머거리, 심장기형, 정신 지체 등의 선천성 기형을 가진 아기를 출산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여자 아동들은 13세경 까지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8) 폐렴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5세 이하의 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으로는 감기와 비슷하여 콧물, 발열,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다가 심해지면 마른기침을 하게 되고 40도 이상의 고열이 나며 호흡곤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합병증이나 2차 감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여야 하며 주변 환경과 몸을 깨끗이 하는 것이 폐렴을 예방하는 1차적인 방법이다.
9)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홍역과 같이 환자의 타액이 공기 중에 산포되어 있어 이에 의해 전염된다. 타액선이 붓는 1일 동안 발열, 두통, 식욕부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