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관광정책과 자원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관광정책과 자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 소개
(1) 지리
(2) 역사
(3) 기후
(4) 종교
(5) 정치

2. 일본 관광정책

3. 일본 관광자원
(1) 전통문화
(2) 현대문화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촉진하기 위한 실시계획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1987년 운수성은 국외 관광자를 5년 내에 1,000만 명으로 증가시킴으로서 관광수지 적자폭을 증대시킨다는 목표 하에 소위 ‘텐 밀리언 계획’(Ten Million Plan)을 발표하였다. 또한 세부계획으로 일본인의 국외 관광진흥 캠페인, 이론인 국외관광편의를 위한 대상국의 환경개선, 국외관광의 인센티브 제공, 국제 항공망확충, 선박 국외 관광진흥 * 국외 관광 진흥의 활동의 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계획으로 일본인 국외관광으로 인한 관광외화지출은 목표연도인 1991년보다 2년 앞선 1989년에 225억 달러 목표를 초과하였고, 국외관광자수는 목표연도보다 1년이 앞선 1990년에 1,000만 명을 돌파하였다. 따라서 1980년대 일본의 국제관광정책은 외래 관광자 유치를 통한 외화수입의 증대보다는 국제수지 흑자와 시장개방 압력에 대응하는 대외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자국인의 국외관광정책에 비중을 두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의 국제관광정책은 외래 관광자 유치정책과 국외관광 촉진 정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래 관광자 유치정책으로 1990년대 관광 진흥활동계획(Two Way Tourism 21)이 실시되었다.
2000년대 이후 일본의 국제관광정책은 경제 불황의 영향으로 국내관광의 전체수요 정체현상으로 타파하기 위해 新 Welcome Plan 21(방일관광교류 배증계획)을 2000년 수립하였으며, 2002년 글로벌 관광전략(관민합동 추진전략)을 세움으로써, 관광객의 유치에 적극 노력하였다. 또한, VISIT JAPAN 캠페인(Yokoso! Japan / Japan, Endless Discovery)을 전개하여 관광객에게 일본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으며, 지금까지 이러한 노력들이 계속되어 지고 있다. 즉, 일본관광청 관광전략은 2009년 ‘관광입국’을 목표를 시작으로 ‘방일외국인 3000만 명 프로그램추진’하였다.
3. 일본 관광자원
(1) 전통문화
1) 전통 료칸과 온천
일본은 화산섬이라는 것과 남북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국토의 특징 덕분에, 다양한 기후와 화산섬 특유의 풍경을 즐길 수 있다. 특히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각지에 온천이 발달하였다. 또한 저렴한 가격과 접근이 쉬운 점 때문에 큐슈 등지의 골프장을 찾는 사람도 많으며, 스키와 스노우보드를 즐기기 위하여 홋카이도와 중부 산악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는「그 고장에 살기 위해서는 그 곳의 관습이나 풍속에 따르는 것이라는 속담이 있다고 한다. 방문한 나라, 여행한 지역의 전통과 문화, 풍토, 습관에 접해보는 것은, 그 자체에 가치가 있다. 료칸은 이러한 의미에서 최적의 숙박 장소이다. 다다미를 깐 일본 식 방에서 자고, 온천에서 입욕을 즐긴 뒤 전통적인 유카타(浴衣)로 갈아입어보기도 하고는 등 일본 문화 특유의 다양한 요소를 체험할 수 있다.
호텔과 일본 여관의 가장 큰 차이는, 기본적으로 ‘일박2식 제공’의 숙박 요금제도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2식이란 숙박 당일의 저녁 식사와 다음날의 아침 식사를 말한다. 대부분의 여관에서는 방으로 식사를 가져다주어서, 방 안에서 식사를 한다. 여관에 따라서는 큰 식당이나 식사 전용실이 준비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방에서의 식사’ 는 일본 여관의 전형적인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방에서 하는 식사는 성심성의를 다한 요리로 손님을 접대한다는 일본 특유의 환영의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여관의 숙박료는 1인당 1박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일본국제관광여관연맹에 가입된 여관의 평균 가격은 1인당 5000엔~119,000엔이고, 대부분 신용카드에 의한 지불이 가능하다.
일본은 전국에 약 3천개의 온천이 있을 정도로 온천이 발달하였다. 온천수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따라 암석과 토양의 성분에 따라 강산성에서 강알칼리성으로 나뉘고 온도도 저온부터 고온까지 다양하다. 때문에 각 온천 마다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온천은 중풍,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 비만, 통풍, 빈혈, 피부병 및 어린이병과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이런 온천은 료칸에서 즐기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인에게 있어서의 목욕의 의미>
① 정신위생
기후적인 요인을 예외로 치더라도 진흙투성이나 땀투성이가 되는 노동을 하지 않더라도 매일 입욕을 거르지 않는 사람이 많은 것을 보면 일본인은 정신위생을 신체위생보다 상위에 두는 듯하다. 부정하다는 것은 단지 신체표면에 더러운 것이 붙어 있다는 것만이 아니라, 인격 그 자체가 더럽혀진 상태라는 의미도 있다. 부정한 상태에서 탈출하는 청결의 수단으로서 신에게 죄를 비는 것과 목욕재계가 있다. 일본인들은 신체의 더러움을 씻어낸다는 의미 외에도 정신의 더러움을 씻어낸다는 의미를 목욕에 부여하였다. 목욕재계할 때의 찬물이 더운 물로 바뀌었을 뿐 그 성격은 그대로 남아있는 것이다. 목욕에 정신위생의 의미가 더해졌다는 것은 예로부터 공가(公家 : 천황계 귀족)가 조정의식에 관여할 경우 출근 전에 반드시 목욕이나 목욕재계를 하여 몸을 청결히 해야 했다는 것과 무로마치시대에 들어 귀족들이 제사를 지낼 때 정결을 위해 빈번하게 마을 목욕탕을 전세 내어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일본인에게 입욕이란 그저 신체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피곤을 풀고 정신을 일신하는 것으로서 신체위생과 정신위생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다.
② 최고의 피로회복제
옛날부터 일본의 가정주부들은, 저녁이 되면 저녁식사 준비와 함께 퇴근하여 돌아올 남편의 목욕물을 데우는 것이 중요한 일과 중의 하나였다고 한다. 고달픈 하루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근 후, 유타카(ゆたか)를 걸치고 반주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는 것이 과거 일본 남성들의 큰 즐거움이었을 것이다.
③ 치료행위의 일종
일본에서 의료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은 온천의 이용의 발달이다. 온천욕은 온천이 품고 있는 갖가지 광물질의 작용을 이용하여 고대부터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해 활발하게 행해져 왔다. 온천욕은 피부병, 순환계질환, 관절염, 근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7.13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