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및 성장 가능성과 세계화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및 성장 가능성과 세계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막걸리란?

2. 막걸리의 역사

3. 막걸리의 제조 공정과 효능
(1) 막걸리의 제조 공정
(2) 막걸리의 효능

4. 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1) 장소의 다양화
(2) 맛의 다양화
(3) 용기의 다양화

5. 막걸리의 선호도와 성장 가능성
(1) 막걸리의 선호도
(2) 막걸리의 성장 가능성

6. 막걸리의 세계화 방안
(1) 막걸리의 가능성 진단과 세계화 방안
(2) 기타 전통주의 세계화 방안

7. 막걸리의 전망

본문내용

야채화한 숙화와 꽃을 이용하는 요리국화 이다. 9월이 되어 황국과 백국이 만개하면 계절에 따라 국화술을 만든다. 제조법은 황국 중에서 냄새가 좋고 맛을 보아 감미가 도는 국화를 골라 원료로 삼는다. 국화주는 예부터 강장주로 많이 이용되어왔다. 고혈압증에도 좋다. 숙취로 머리가 무거울 때도 효과가 있다. 1일 작은 잔에 1회,2회가 한도량이다. 국화술은 꽃술로 외국인들이 생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생소함과 더불어 호기심이 증대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국화주에 노란 국화를 동동 띄워서 내면, 미적으로도 좋아서 분위기 있는 찻집이나 레스토랑에 어울릴 것이다. 국화주는 머리를 맑게 해주며, 숙취에 좋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세계인들에게 알리면 좋을 듯하다.
6) 오디주
오디술은 상실주, 상심주라고도 불리며 가양주로 분리된다. 오디는 뽕나무 열매를 말한다. 열매와 가지의 내피를 사용하는데 열매는 2cm정도의 장구형에 작은 입상의 수분이 많은 열매이다. 파란 열매는 분홍빛이 되고 자주색으로 되어 마침내는 자흑색으로 익는데 분홍색일 때는 아직 산미가 있으나 자흑색으로 익으면 감미만 남아 매우 달고 맛이 있다. 이뇨, 변비예방. 신경통, 고혈압, 불면증,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다. 오디술은 색깔이 마치 와인과 같으며 단맛도 있어 스위트 와인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세계인들이 거부할 만한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달짝지근한 맛 자체로 친숙하게 세계시장에 설 수 있을 것이다. 오디 셔벗이나 오디 칵테일 등으로 이용하면 인기가 많을 것이다. 게다가 현대인의 고질병 변비, 그리고 해외의 패스트푸드로 인해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권할 만 하다는 것을 홍보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7) 머루주
머루주는 가양주로 분류되며 머루는 포도와 비슷한 낙엽과수로 전국 산야에서 자생한다. 약간 각이 진 듯 둥글며 때로는 5개 정도가 얕게 ち겨 있고 겉면은 주름이 많고 녹색이며 뒷면은 솜털이 많은 회갈색이다. 피로회복이나 식욕증진, 이뇨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머루 자체가 동양의 포도라고 불리는 열매라, 와인과 매우 흡사한 맛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세계인들의 입맛에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머루주도 와인처럼 특성화 시켜서 생산지와 생산자, 생산년도, 숙성 정도 등을 표기하여 판매한다면 저가에서부터 고가까지 다양한 술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머루주는 대한암예방학회에서 발표한 암을 이기는 한국인의 54가지 음식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타임지가 발표한 10대 건강식품에 뽑혀서 세계인들에게 건강에 좋은 술으로 인식이 되어있기에 세계화시키기에 용이할 것 이다.
7. 막걸리의 전망
우리의 전통주는 훌륭하다. 영양적인 면에서 다른 술에 비하여 탁월함을 알 수 있었고, 맛 또한 풍부하고 다양하였다. 막걸리의 경우 이미 외국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한국의 전통주 이고, 그 수요량도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리가 더욱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막걸리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우선 적으로 보완하고 막걸리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존의 막걸리는 숙취와 트림, 두통이 동반 되곤 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전 되고 있다.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하여 보다 질 높은 막걸리를 생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막걸리의 유통기한도 문제가 되는데, 이는 요즘 특수 용기가 개발 되고, 저온 살균법, 냉장 기술 등이 발달 되어 해외로 수출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고 한다. 이것 외에 우리나라 전체에 총 700여 가지 종류의 막걸 리가 있다는데, 그 막걸리들을 지역마다 특성화 시켜서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도 한 가지 전략인 듯하다. 막걸리를 이용한 자연 발효빵, 초콜렛, 양갱 등의 개발도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이렇게 막걸리 자체에 대한 변신도 필요하지만, 세계의 소비자들에게 강하게 어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와인의 정보 표시처럼, 막걸리도 각 지역별, 생산자별, 쌀과 원재료의 종류별 품질 표시와 등급을 적고, 영양 성분 표시도 함께 표기 해 둔다면 그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막걸리와 어울리는 음식을 찾고, 개발함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에 어울리는 음식 개발에도 전력을 다 해야 한다. 그 외에도 관광과 결합을 시키고, 전문가와 전문 서적 배출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막걸리의 세계화를 촉진 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막걸리 이외에도 우리나라에는 훌륭한 전통주들이 많다. 감주, 인삼주, 도라지주, 국화주, 매실주, 오디주, 머루주 등이 있는데 매실주, 오디주, 머루주와 같은 과실주의 경우는 달짝지근하고 새콤달콤한 맛으로 외국인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술이다. 인삼주나 도라지주 같은 경우는 그 원재료가 서양인들에게 건강식품으로 이미 많이 알려져서 인기가 좋은 주류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들을 이용하되, 우리 술의 공통점인 ‘건강주’ 이미지를 부각시킨다면 세계화에 많은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www.suldoc.com
www.wookuksaeng.com
www.saengmakgeolli.com
www.daegutakju.co.kr
imbctvin.tistory.com
cafe.naver.com/ksdbmonitor
www.tastytimes.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막걸리 넌 누구냐 - 허시명, 예담, 2010
전통 웰빙주 막걸리 - 배송자, 하남출판사, 2010
막걸리 이야기 - 황영철, 심인, 2010
전통(傳統) 막걸리 제조기술(製造技術)의 동향(動向) 분석 - 이유선 외, 한국농업사학회 2010
우리 전통 술의 순례 - 탁주 또는 막걸리 이야기 - 허시명, 한국식품연구원, 2009
전통 술의 세계 상품화 - 신유호, 국내 학술 논문, 2008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 이동필, 국내 학술 논문, 2006
술, 음료의 세계 - 원융희, 백산출판사, 2003
130가지 자연을 담은 건강주이야기 - 임용규, 오성출판사,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7.13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