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와 카페베네(까페베네) 의 SWOT, 디자인, 마케팅, 4P, STP, 상품기획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타벅스와 카페베네(까페베네) 의 SWOT, 디자인, 마케팅, 4P, STP, 상품기획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우리나라의 커피시장
1) 규모
2) 현황
2. 기업선정이유

Ⅱ. 본론
1. 스타벅스
1) 기업소개
2) 기업분석
(1) swot 분석
(2) 디자인 분석
(3) 마케팅 분석
(4) 상품기획 분석
(5) 4p전략 분석
2. 카페베네
1) 기업소개
2) 기업분석
(1) swot 분석
(2) STP 분석
(3) 디자인 분석
(4) 마케팅 분석
(5) 상품기획 분석
(6) 4p전략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넘은 뜻이다. 이런 1924세대에게 카페베네는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에게 브랜드 인지도와 파워를 각인 시키며 브랜드 이미지 메이킹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10년 초 “카페베네 청년 봉사단”을 구성, 커피 생산국으로 떠나는 자원봉사 활동을 전개하여 1924세대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365일 아이디어 공모전 역시 전국 500여개의 매장에서 아르바이트, 즉, 시간제로 근무하는 비정규 직원들에게 기회를 줘 새로운 도약의 희망을 주었다. 채택된 아이디어는 경영전략에 반영되거나 적극 활용해 도전의 가치를 높였다.
④ 문화 마케팅
카페베네는 카페를 커피 + 알파의 공간으로 보았다. 소비자는 진화하고 점차 복합적인 needs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이런 다양한 needs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로 치열한 카페 산업 경쟁에서 살아남고 발전할 수 있었던 키워드였던 것이다. 소비자는 보통 카페를 생각하면 단순히 커피만 맛보는 카페가 아닌 먹고, 마시고, 이야기하고,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한다. 카페베네는 ‘고객이 중심이 되는 공간’이라는 슬로건 아래 소비자가 원하는 문화코드를 실현했다. 카페베네의 주 고객층은 20∼30대인데, 이들의 휴식과 문화 코드를 담아낸 노트북 배치, 각 좌석별 전원 콘센트 등 카페를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만들었다. 또한, 고객과 함께하는 다양한 문화 이벤트 활동도 중요하게 생각해 2010년 여름에는 음악방송 이벤트도 시행했다. 고객들이 직접 신청한 노래를 본사 방송실에서 전문 DJ가 생방송으로 틀어주는 형태로 진행된 이 이벤트는 음악을 이용한 문화 마케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뿐만 아니라 카페베네에서는 다양한 외부 문화 활동을 지원했다. 김영하 작가와의 만남 주최 이벤트라든지, 한국 공연 예술센터의 기획공연 선정작인 제 10회 2인극 페스티벌을 지원하기도 했다. 문화 예술 지원부분에 있어 기업의 문화 예술 후원이라는 활동의 일환으로 문화 예술과 상생하려는 노력과 문화적 이미지 제고를 통해 문화기업으로 발돋움 할 발판을 다져나간 것이다.
이렇듯 카페베네는 소비자 브랜드 자체의 어필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쳤고, 그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 이젠 브랜드 파워로 그 명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신제품 개발 등 자체 품질 높이기에도 여력을 다하고 있다. 현재의 위치에 만족하지 않고 끊임없이 개발하고 성장하는 카페베네의 모습이 앞으로 어떤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감을 주고 그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5) 상품기획 분석
① 카페베네 로스팅 플랜트(Roasting Plant)
카페베네 로스팅은 가장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 산지에서 최상급 생두를 직수입한다. 각 나라별 고유의 특징을 가진 생두를 카페베네 만의 데이터 프로파일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맛을 제공한다.
커피의 맛은 원두의 신선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카페베네는 가장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하여 직접 로스팅(배전)을 한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로스팅 직후부터 산화되기 시작하므로 국외에서 배전된 원두를 들여오는 해외 브랜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카페베네 만의 신선한 커피의 맛과 향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카페베네 중곡동 로스팅 공장은 연간 720t의 원두를 생산할 수 있으며, 위생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통하여 최상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카페베네가 고집하는 로스팅이란 가장 맛있는 커피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카페베네는 기존의 ‘선 블랜딩 후 로스팅’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선 로스팅 후 블랜딩’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원두를 로스팅 한 후 블랜딩하는 방법으로 원두 고유의 풍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 기존 커피업체에서는 5∼6종의 각기 다른 원두를 한꺼번에 볶는 ‘선 블랜딩 후 로스팅’의 방법을 사용해 각각 특성을 가진 생두의 강점을 살려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카페베네가 채택한 ‘선 로스팅 후 블랜딩’은 생산지가 다른 생두를 개별 로스팅하기 때문에 생두 고유의 특징을 최대한 살릴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질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카페베네는 최대한 신선한 커피를 만들기 위하여 이 로스팅 공장을 서울 도심에 설치했다.
② 까피베네의 원두
브라질 세하도
브라질은 세계 커피 생산량의 3분의 1을 생산하는 커피 대국이다. 브라질은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커피의 대부분을 광활한 평지에서 재배한다. 커피 생산의 초점이 품질보다는 생산량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경작이 쉬운 로부스터나 저급 아라비카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많은 브라질 커피가 블랜딩으로 사용되는데, 브라질에도 고급 커피가 존재한다. 브라질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커피는 다른 유명 산지의 커피 못지 않은 훌륭한 맛과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넓은 브라질의 미세한 기후 변화는 다양한 특색있는 커피들을 만들어 낸다. 카페베네의 브라질 커피는 비교적 적은 신맛과 달콤 쌉쌀한 느낌, 견과류 향과초콜릿 향 블루베리 향 등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커피다.
케냐 커피
케냐는 커피 생산국들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나라이다. 케냐의 고산지대와 풍부한 수자원은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조건이다. 무엇보다 국가가 직접 관리하여 커피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케냐 커피의 가장 큰 경쟁력이다. 케냐의 노력으로 AA는 커피의 품질을 보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상징이 되었고 케냐는 자체 경매 시스템으로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가격으로 커피를 판매한다. 이러한 케냐 커피는 상큼한 신맛과 단맛을 가지고 있다.
콜롬비아 수프리모
콜롬비아라는 이름보다 수프리모로 더 잘 알려진 커피 생산국이다. 브라질에 이어 전 세계 아라비카 생산량 2위를 자랑하는 나라로 콜롬비아 수프리모는 오래 전부터 마일드 아라비카로 명성이 높았다. 그 명성에 걸맞는 콜롬비아는 100% 수세식 처리, 균일한 크기, 핸드픽으로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의 커피를 생산한다. 콜롬비아 커피는 풍부한 바디 감과 복숭아 같은 단맛, 바닐라 향이 특징이며, 최상의 밸런스를 갖춘 커피이다.
공정무역 유기농 에디오피아 싱글오리진
커피 농가에 정당한 생산대가를 주기 위한 공정무역의 기본 취지와
  • 가격3,7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1.07.13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