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본문내용
53. 내화구조 건축물의 화재특징은?
㉠ 저온 장시간형
㉡ 고온 단시간형
㉢ 고온 장시간형
㉣ 저온 단시간형
㉠
※ 목조구조는 고온(1,100℃) 단시간(최성기10분,최성기후감쇠기20분)형
내화구조는 저온(800~900℃) 장시간(2~3시간, 때에따라 수 시간 이상 지속)형
54. 다음 그림에서 내화건축물의 화재온도 표준곡선은 어느 것인가?
㉠
※ ㉣ : 목조건축물
55. 일반 목조건물에서 화재의 최성기까지의 소요시간은?
㉠ 5분 ~ 7분
㉡ 5분 ~ 15분
㉢ 18분 ~ 25분
㉣ 50분 ~ 60분
㉡
※ 최성기 10분, 최성기부터 감쇠기 20분 소요
56. 건물 내에서 \'연기의 수평방향 이동속도\'는 몇 m/s인가?
㉠ 0.2 ~ 0.3
㉡ 0.5 ~ 1.0
㉢ 3.0 ~ 5.0
㉣ 1.0 ~ 1.2
㉡
※ 수평방향 : 0.5 ~ 1.0
수직방향 : 2.0 ~ 3.0
농연 수직방향 : 3.0 ~ 5.0
人보행속도 : 1.0 ~ 1.2(1.33인경우도 있음)
57. 다음 중 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연기는 광선을 흡수한다.
㉡ 연기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없다.
㉢ 연기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축적된다.
㉣ 연기는 고열이며, 유동, 확산이 빠르다.
㉡
※ 연기는 유독가스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58. 화재시 연기에 의한 장애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 물리적 장애
㉡ 생리적 장애
㉢ 심리적 장애
㉣ 시각적 장애
㉡
59. 화재시 위험성이 가장 적은 부분은?
㉠ 바닥
㉡ 벽
㉢ 천정
㉣ 지붕
㉠
60. 화재 시 패닉(panic)의 원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 연기에 의한 시계범위 제한
㉡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호흡장애
㉢ 건축물의 가연성 내장재
㉣ 외부와의 고립 단절
㉢
61. 문틈으로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화재를 발견할 때 안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 빨리 문을 열고 복도로 대피한다.
㉡ 바닥에 엎드려 숨을 짧게 쉬면서 대피대책을 세운다.
㉢ 문을 열지 않고 수건이나 시트로 문틈을 완전히 밀폐한다.
㉣ 창문으로 가서 외부에 자신의 구원을 요청한다.
㉠
※ 개구부 개방시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다
62. 불연성기체, 고체 등으로 연소물을 감싸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
㉠ 제거 소화
㉡ 질식 소화
㉢ 냉각 소화
㉣ 억제 소화
㉡
※ 제거요소/소화법 : 가연물/제거소화, 산소/질식소화, 에너지/냉각소화, 연쇄반응/억제소화
63. 목재소화 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고자 한다. 이 때 가장 기대되는 소화효과는?
㉠ 제거 소화효과
㉡ 질식 소화효과
㉢ 냉각 소화효과
㉣ 억제 소화효과
㉢
64. 물을 이용한 소화방법이 가장 적절한 화재는?
㉠ 일반화재
㉡ 유류화재
㉢ 금속화재
㉣ 전기화재
㉠
65. 이산화탄소소화약제의 소화효과와 관계없는것은?
㉠ 제거효과
㉡ 냉각효과
㉢ 질식효과
㉣ 피복효과
㉠
66.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소화원리가 아닌 것은?
㉠ 냉각효과
㉡ 억제효과(차단효과)
㉢ 질식효과
㉣ 제거효과
㉣
67. 제4류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화는 어느 것인가?
㉠ 냉각소화
㉡ 공기차단(질식소화)
㉢ 부촉매 효과
㉣ 억제소화
㉡
제4편 : 방염 (8문항)
67. 방염의 주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시설의 파손을 막는데 있다.
㉡ 연소확대의 방지 및 지연을 통해 피난에 팔요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 시설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 어떠한 상황에서도 화재가 발생할수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
68. 방염물품을 사용하여야 할 특수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장소는?
㉠ 영화관
㉡ 텔레비젼 촬영소
㉢ 아파트
㉣ 종합병원, 정신보건시설
㉢
※ 아파트를 제외한 11층이상의 건축물
근린생활시설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클럽, 실내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수영장제외)
숙박시설, 종합병원,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노유자시설
의료시설중 정신보건시설, 숙박시설이있는 청소년시설,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69. 방염성능이 있어야 할 물품이 아닌 것은?
㉠ 전시용합판, 무대용 섬유판
㉡ 침구용시트
㉢ 커텐류, 카페트
㉣ 암막, 무대막
㉡
70. 방염성능의 기준 중 탄화한 면적은 몇 ㎠이내로 정하여야 하는가?
㉠ 30
㉡ 50
㉢ 10
㉣ 100
㉡
※ 잔염시간 : 20초이내
잔신시간 : 30초이내
탄화면적 : 50㎠이내
탄화길이 : 20cm이내
접촉횟수 : 3회 이상
최대연기밀도 : 400 이하
71. 방염업의 종류가 아닌것은
㉠ 섬유류방염업
㉡ 합성수지류방염업
㉢ 합판,목재류방염업
㉣ 플라스틱/금속류방염업
㉣
72. 제조공정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창
㉢ 한국소방검정공사장
㉣ 소방방재청장
㉢
73. 현장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창
㉢ 한국소방검정공사장
㉣ 소방방재청장
㉠
74. 방염물품에 부착되는 합격표시 및 방염표지 모양설명이 틀린것은?
㉠ 합판, 섬유판등 바로 붙일 수 있는 곳엔 지름 5mm 크기의 검자를 부착한다.
㉡ 카페트의 방염표지는 군청색이지만 방염글자는 적색이다.
㉢ 벽지류, 합판, 목재, 섬유판, 합성수지판, 합성수지시트의 방염표지는 녹색이다.
㉣ 커텐, 암막의 방염표지는 주황색이며 45mm X 12mm 의 규격이다
㉠
※ 바로 붙일 수 있는 곳 : 10mm, 가열해서 붙이는 곳 : 5mm
75. 특정소방대상물에대한 관계자가 대상물에 방염을 태만히 하였을 경우의 벌칙은?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
※ 방염성능이 없는 물품을 사용했을경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발금
제5편 : 건축.전기.가스관계법령 및 안전관리 (15문항)
76.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등의 목적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곳은?
㉠ 거실
㉡ 내실
㉢ 응접실
㉣ 집무실
㉠
77. 벽, 기둥, 바닥, 보, 지붕 및 주계단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 건축설비
㉡ 주요구조부
㉢ 내화구조
㉣ 방화구조
㉡
78. 지하층에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무엇 인가?
㉠ 1층 밑에 있는 층
㉡ 24시간중 햇
㉠ 저온 장시간형
㉡ 고온 단시간형
㉢ 고온 장시간형
㉣ 저온 단시간형
㉠
※ 목조구조는 고온(1,100℃) 단시간(최성기10분,최성기후감쇠기20분)형
내화구조는 저온(800~900℃) 장시간(2~3시간, 때에따라 수 시간 이상 지속)형
54. 다음 그림에서 내화건축물의 화재온도 표준곡선은 어느 것인가?
㉠
※ ㉣ : 목조건축물
55. 일반 목조건물에서 화재의 최성기까지의 소요시간은?
㉠ 5분 ~ 7분
㉡ 5분 ~ 15분
㉢ 18분 ~ 25분
㉣ 50분 ~ 60분
㉡
※ 최성기 10분, 최성기부터 감쇠기 20분 소요
56. 건물 내에서 \'연기의 수평방향 이동속도\'는 몇 m/s인가?
㉠ 0.2 ~ 0.3
㉡ 0.5 ~ 1.0
㉢ 3.0 ~ 5.0
㉣ 1.0 ~ 1.2
㉡
※ 수평방향 : 0.5 ~ 1.0
수직방향 : 2.0 ~ 3.0
농연 수직방향 : 3.0 ~ 5.0
人보행속도 : 1.0 ~ 1.2(1.33인경우도 있음)
57. 다음 중 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 연기는 광선을 흡수한다.
㉡ 연기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없다.
㉢ 연기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축적된다.
㉣ 연기는 고열이며, 유동, 확산이 빠르다.
㉡
※ 연기는 유독가스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58. 화재시 연기에 의한 장애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 물리적 장애
㉡ 생리적 장애
㉢ 심리적 장애
㉣ 시각적 장애
㉡
59. 화재시 위험성이 가장 적은 부분은?
㉠ 바닥
㉡ 벽
㉢ 천정
㉣ 지붕
㉠
60. 화재 시 패닉(panic)의 원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 연기에 의한 시계범위 제한
㉡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호흡장애
㉢ 건축물의 가연성 내장재
㉣ 외부와의 고립 단절
㉢
61. 문틈으로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화재를 발견할 때 안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 빨리 문을 열고 복도로 대피한다.
㉡ 바닥에 엎드려 숨을 짧게 쉬면서 대피대책을 세운다.
㉢ 문을 열지 않고 수건이나 시트로 문틈을 완전히 밀폐한다.
㉣ 창문으로 가서 외부에 자신의 구원을 요청한다.
㉠
※ 개구부 개방시 백드래프트가 발생하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다
62. 불연성기체, 고체 등으로 연소물을 감싸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
㉠ 제거 소화
㉡ 질식 소화
㉢ 냉각 소화
㉣ 억제 소화
㉡
※ 제거요소/소화법 : 가연물/제거소화, 산소/질식소화, 에너지/냉각소화, 연쇄반응/억제소화
63. 목재소화 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고자 한다. 이 때 가장 기대되는 소화효과는?
㉠ 제거 소화효과
㉡ 질식 소화효과
㉢ 냉각 소화효과
㉣ 억제 소화효과
㉢
64. 물을 이용한 소화방법이 가장 적절한 화재는?
㉠ 일반화재
㉡ 유류화재
㉢ 금속화재
㉣ 전기화재
㉠
65. 이산화탄소소화약제의 소화효과와 관계없는것은?
㉠ 제거효과
㉡ 냉각효과
㉢ 질식효과
㉣ 피복효과
㉠
66.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소화원리가 아닌 것은?
㉠ 냉각효과
㉡ 억제효과(차단효과)
㉢ 질식효과
㉣ 제거효과
㉣
67. 제4류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화는 어느 것인가?
㉠ 냉각소화
㉡ 공기차단(질식소화)
㉢ 부촉매 효과
㉣ 억제소화
㉡
제4편 : 방염 (8문항)
67. 방염의 주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시설의 파손을 막는데 있다.
㉡ 연소확대의 방지 및 지연을 통해 피난에 팔요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 시설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 어떠한 상황에서도 화재가 발생할수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
68. 방염물품을 사용하여야 할 특수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장소는?
㉠ 영화관
㉡ 텔레비젼 촬영소
㉢ 아파트
㉣ 종합병원, 정신보건시설
㉢
※ 아파트를 제외한 11층이상의 건축물
근린생활시설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클럽, 실내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수영장제외)
숙박시설, 종합병원,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노유자시설
의료시설중 정신보건시설, 숙박시설이있는 청소년시설,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69. 방염성능이 있어야 할 물품이 아닌 것은?
㉠ 전시용합판, 무대용 섬유판
㉡ 침구용시트
㉢ 커텐류, 카페트
㉣ 암막, 무대막
㉡
70. 방염성능의 기준 중 탄화한 면적은 몇 ㎠이내로 정하여야 하는가?
㉠ 30
㉡ 50
㉢ 10
㉣ 100
㉡
※ 잔염시간 : 20초이내
잔신시간 : 30초이내
탄화면적 : 50㎠이내
탄화길이 : 20cm이내
접촉횟수 : 3회 이상
최대연기밀도 : 400 이하
71. 방염업의 종류가 아닌것은
㉠ 섬유류방염업
㉡ 합성수지류방염업
㉢ 합판,목재류방염업
㉣ 플라스틱/금속류방염업
㉣
72. 제조공정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창
㉢ 한국소방검정공사장
㉣ 소방방재청장
㉢
73. 현장 방염처리물품의 방염성능검사 신청기관은?
㉠ 시,도지사(소방서장)
㉡ 경찰서창
㉢ 한국소방검정공사장
㉣ 소방방재청장
㉠
74. 방염물품에 부착되는 합격표시 및 방염표지 모양설명이 틀린것은?
㉠ 합판, 섬유판등 바로 붙일 수 있는 곳엔 지름 5mm 크기의 검자를 부착한다.
㉡ 카페트의 방염표지는 군청색이지만 방염글자는 적색이다.
㉢ 벽지류, 합판, 목재, 섬유판, 합성수지판, 합성수지시트의 방염표지는 녹색이다.
㉣ 커텐, 암막의 방염표지는 주황색이며 45mm X 12mm 의 규격이다
㉠
※ 바로 붙일 수 있는 곳 : 10mm, 가열해서 붙이는 곳 : 5mm
75. 특정소방대상물에대한 관계자가 대상물에 방염을 태만히 하였을 경우의 벌칙은?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
※ 방염성능이 없는 물품을 사용했을경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발금
제5편 : 건축.전기.가스관계법령 및 안전관리 (15문항)
76.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등의 목적으로 장시간 지속적으로 머무르는 곳은?
㉠ 거실
㉡ 내실
㉢ 응접실
㉣ 집무실
㉠
77. 벽, 기둥, 바닥, 보, 지붕 및 주계단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 건축설비
㉡ 주요구조부
㉢ 내화구조
㉣ 방화구조
㉡
78. 지하층에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무엇 인가?
㉠ 1층 밑에 있는 층
㉡ 24시간중 햇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