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1. NGO의 개념
2.NGO의 역사
3.NGO의 특성
4.NGO의 분류방식 및 관련 이론
5.NGO의 조직구성
6.NGO의 기능
7.NGO의 역할
8.NGO의 조건
9.국제비정부기구
10.한국의 NGO
11.글로벌과 NGO
< 결 론 >
1. NGO의 개념
2.NGO의 역사
3.NGO의 특성
4.NGO의 분류방식 및 관련 이론
5.NGO의 조직구성
6.NGO의 기능
7.NGO의 역할
8.NGO의 조건
9.국제비정부기구
10.한국의 NGO
11.글로벌과 NGO
< 결 론 >
본문내용
터 일정한 거리를 가진 위원들의 모임이며, 각 부처의 정치적 입장과 영향력에서 벗어나 있다.
ⓔ프랑스의 NPO
프랑스에서 NPO 정의의 특징은 그것이 매우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는 것인데, 그 중심개념 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협력한다는 연대성에 있다. 비록 역사적으로 프랑스 에서는 국가 그 자체가 가장 높은 수중의 연대성을 나태내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1901년 법률에 의해 국가 이외의 비영리 부문이 제도화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프랑스에서 NPO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경제로 통칭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부문은 크게 세가 지 형태의 조직을 포괄하는데, 협동조합, 상조회, 협회가 그것이다.
협동조합은 부분적으로 상업행위를 하지만, 기본적으로 회원 중심의 비영리 조직인 농업협 동조합, 소비자협동조합 및 협동금고 등을 포함한다. 상조회는 공공 사회 안정망 제계 이 외의 보험이나 의료부조 등을 담ㄷ망하는 조직을 일컫는다. 최근에는 상당수의 상호부조 조직이 영리부문의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보험분야가 그렇다.
마지막으로 현재 프랑스에는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협회가 70만개 이상이며, 비공식적인 것 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아들 협회는 스포츠, 레크레이션, 보건 및 복지 등의 분야에서 폭 넓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ㄹ고 이중 약 2천개의 공익적 협회가 있는데, 이들은 부 동산을 소유할 수 있으며 세금환급권한이 있다.
< 각국 NGO의 종합적 비교 >
비교요인
미국
독일
일본
한국
각국 주요 NGO
씨에라클럽(Sierra Club)
지구의친구들(Friends of Earth)
Common Caus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독일자연보호연합(DNR)
독일환경과 자연보전을 위한 연맹(BUND)
시민포럼2001
WELL COMPANY
환경과지속사회연구센터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회
흥사단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연합
조직 및 의사결정구조
총회가 실질적으로 최고의 의사결정기구
의사결정권이 특정기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은 분권적 조직의 특성
총회가 실질적으로 최고의 의사결정기구
의사결정권이 특정 조직과 기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은 분권적 조직의 특징
총회가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구이지만 회원이 단체에 편지, 전화나 각종 위원회, 총회를 통해 참여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간접적 의사 개진
일반회원 중심의 총회에 의한 결정보다는 소수의 전문가와 상근 운동가들이 중심이 되어 결정되는 중앙집권적 의사결정구조
리더쉽
시민과 조직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민주적 리더쉽
신속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참여지향적 민주적 리더쉽
민주적 리더쉽, 중간적 리더쉽, 권위적 리더쉽이 상존
시민문화의 변혁보다는 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권위적 리더십
인력운영방식
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운영됨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율이 증가함
여성인력의비율 높음
국민의 57%가 참여
조직에 상주하는 소수의 사무직원을 제외한 모든 활동을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운영함
여성들이 많은 단체는 반수를 넘고 있으며, 연령을 보면 50대에서 60대 이상이 각각 40%를 넘어 연령층이 높음
일반회원중심이라기 보다는 소수의 상근운동가와 전문가 중심임
재정운
영방식
미국 NGO의 전체수입은 약6,700억 달러
NGO 재정적 기반으로는①회원들의 회비서비스요금(자주재원) ②정부보조금(보조금, 프로젝트계약 등) ③민간기부(개인기부, 기업기부, 재단조성금 등)으로 구성됨
가장 큰 재원으로는 회원들의 회비와 서비스요금으로 50%
NGO 재원은 정부보조금, 기업 및 개인의 기부금, 회원회비 구성됨
NGO에 대한 재정분담방식을 1962년에 최초로 시행한 국가이며, 정부에 대한 재정의존도가 68.2%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단체의 운영비는 물론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함으로써 NGO의 재원확보
일본의 NGO의 재원은 자체조달, 외부조달 등임
자체조달은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기부금모금, 회원의 회비, 사업수입, 기금운용 등을 통해 조달하며, 전체 재원 가운데 약 62%정도
외부조달은다양한 기관과 기금에서 지원
NGO의 재원은 회원의 회비 및 기부금, 정부보조금, 자체수익금 등이 있음
정부로부터 보조되는 기금은 정부의 관심사안에 따라 기금이 사용되기 쉽상이고 NGO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나 연구조사 사업에는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
< 결 론 >
NGO는 비정부기구로서 현재 매스컴에 자주 등장하는 단체이다. 이 단체들은 정부에 대해 우호적이기 보다는 반감을 많이 갖고 있으며, 이들이 내거는 목표도 각기 다양하여 정부가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많다. 현재 세계에서 NGO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엄청나며, 각종 운동이나 정치적 개입을 서슴지 않고 있다. NGO도 정부 비판이라든지 정책결정에 있어서 이로운 조직임에는 사실이지만, 이런 개입 작용의 남발은 자칫 부정적인 요소를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NGO는 미래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으나, 무력시위라든지 정책 반감으로 인한 집단운동 같은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NGO의 입장과 부합된 적절한 정책을 세우고 집행함으로써 정부와 NGO간에 좋은 협력 관계를 이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NGO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NGO조직자체의 의사결정구조나 조직운영 등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한 시민정신라고 판단된다. NGO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형성된 비영리단체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민정신인 것이다. 시민정신이 살아있는 경우 NGO자체의 조직운영이나 조직구조는 그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크며, 대 정부관계나 대기업관계에도 적절하게 형성, 유지해갈 가능성이 큰 것이다. 따라서 NGO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시민정신이 무엇보다도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서적
NGO란 무엇인가 저자 아르케 옮긴이 조희연
NGO 가이드 저자 김호기
정부와 NGO 저자 김준기
정부와 NGO 저자 박재창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인 및 블로그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main.jsp
`
ⓔ프랑스의 NPO
프랑스에서 NPO 정의의 특징은 그것이 매우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는 것인데, 그 중심개념 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협력한다는 연대성에 있다. 비록 역사적으로 프랑스 에서는 국가 그 자체가 가장 높은 수중의 연대성을 나태내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1901년 법률에 의해 국가 이외의 비영리 부문이 제도화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프랑스에서 NPO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경제로 통칭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부문은 크게 세가 지 형태의 조직을 포괄하는데, 협동조합, 상조회, 협회가 그것이다.
협동조합은 부분적으로 상업행위를 하지만, 기본적으로 회원 중심의 비영리 조직인 농업협 동조합, 소비자협동조합 및 협동금고 등을 포함한다. 상조회는 공공 사회 안정망 제계 이 외의 보험이나 의료부조 등을 담ㄷ망하는 조직을 일컫는다. 최근에는 상당수의 상호부조 조직이 영리부문의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보험분야가 그렇다.
마지막으로 현재 프랑스에는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협회가 70만개 이상이며, 비공식적인 것 은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아들 협회는 스포츠, 레크레이션, 보건 및 복지 등의 분야에서 폭 넓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ㄹ고 이중 약 2천개의 공익적 협회가 있는데, 이들은 부 동산을 소유할 수 있으며 세금환급권한이 있다.
< 각국 NGO의 종합적 비교 >
비교요인
미국
독일
일본
한국
각국 주요 NGO
씨에라클럽(Sierra Club)
지구의친구들(Friends of Earth)
Common Caus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독일자연보호연합(DNR)
독일환경과 자연보전을 위한 연맹(BUND)
시민포럼2001
WELL COMPANY
환경과지속사회연구센터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회
흥사단
참여연대
경제정의실천연합
조직 및 의사결정구조
총회가 실질적으로 최고의 의사결정기구
의사결정권이 특정기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은 분권적 조직의 특성
총회가 실질적으로 최고의 의사결정기구
의사결정권이 특정 조직과 기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은 분권적 조직의 특징
총회가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구이지만 회원이 단체에 편지, 전화나 각종 위원회, 총회를 통해 참여
상대적으로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간접적 의사 개진
일반회원 중심의 총회에 의한 결정보다는 소수의 전문가와 상근 운동가들이 중심이 되어 결정되는 중앙집권적 의사결정구조
리더쉽
시민과 조직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민주적 리더쉽
신속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참여지향적 민주적 리더쉽
민주적 리더쉽, 중간적 리더쉽, 권위적 리더쉽이 상존
시민문화의 변혁보다는 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권위적 리더십
인력운영방식
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운영됨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참여율이 증가함
여성인력의비율 높음
국민의 57%가 참여
조직에 상주하는 소수의 사무직원을 제외한 모든 활동을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운영함
여성들이 많은 단체는 반수를 넘고 있으며, 연령을 보면 50대에서 60대 이상이 각각 40%를 넘어 연령층이 높음
일반회원중심이라기 보다는 소수의 상근운동가와 전문가 중심임
재정운
영방식
미국 NGO의 전체수입은 약6,700억 달러
NGO 재정적 기반으로는①회원들의 회비서비스요금(자주재원) ②정부보조금(보조금, 프로젝트계약 등) ③민간기부(개인기부, 기업기부, 재단조성금 등)으로 구성됨
가장 큰 재원으로는 회원들의 회비와 서비스요금으로 50%
NGO 재원은 정부보조금, 기업 및 개인의 기부금, 회원회비 구성됨
NGO에 대한 재정분담방식을 1962년에 최초로 시행한 국가이며, 정부에 대한 재정의존도가 68.2%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정부는 단체의 운영비는 물론 연구 프로젝트를 의뢰함으로써 NGO의 재원확보
일본의 NGO의 재원은 자체조달, 외부조달 등임
자체조달은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기부금모금, 회원의 회비, 사업수입, 기금운용 등을 통해 조달하며, 전체 재원 가운데 약 62%정도
외부조달은다양한 기관과 기금에서 지원
NGO의 재원은 회원의 회비 및 기부금, 정부보조금, 자체수익금 등이 있음
정부로부터 보조되는 기금은 정부의 관심사안에 따라 기금이 사용되기 쉽상이고 NGO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나 연구조사 사업에는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
< 결 론 >
NGO는 비정부기구로서 현재 매스컴에 자주 등장하는 단체이다. 이 단체들은 정부에 대해 우호적이기 보다는 반감을 많이 갖고 있으며, 이들이 내거는 목표도 각기 다양하여 정부가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많다. 현재 세계에서 NGO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엄청나며, 각종 운동이나 정치적 개입을 서슴지 않고 있다. NGO도 정부 비판이라든지 정책결정에 있어서 이로운 조직임에는 사실이지만, 이런 개입 작용의 남발은 자칫 부정적인 요소를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NGO는 미래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으나, 무력시위라든지 정책 반감으로 인한 집단운동 같은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NGO의 입장과 부합된 적절한 정책을 세우고 집행함으로써 정부와 NGO간에 좋은 협력 관계를 이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NGO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NGO조직자체의 의사결정구조나 조직운영 등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한 시민정신라고 판단된다. NGO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형성된 비영리단체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민정신인 것이다. 시민정신이 살아있는 경우 NGO자체의 조직운영이나 조직구조는 그에 따라 변화될 가능성이 크며, 대 정부관계나 대기업관계에도 적절하게 형성, 유지해갈 가능성이 큰 것이다. 따라서 NGO가 건전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시민정신이 무엇보다도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서적
NGO란 무엇인가 저자 아르케 옮긴이 조희연
NGO 가이드 저자 김호기
정부와 NGO 저자 김준기
정부와 NGO 저자 박재창
참고 사이트
네이버 지식인 및 블로그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main.jsp
`
추천자료
NGO의 발생배경과 의의,역할,필요성,현황 및 지위향상방안 연구
NGO의 대한 교통부분 활성화 모색
NGO의 대중성과 전문성에 따라 정부 정책결정과정에서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
NGO에 대한 정리
NGO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
NGO에 대하여
[독후감/서평/요약] NGO(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NGO(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NGO의 의의와 등장배경.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NGO 강의 요약
NGO 단체조사 보고서 (한국해비타트)
NGO는 우리에게 필요한가
NGO활동과 지역사회복지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해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