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yroidectomy c mRND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hyroidectomy c mRN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부 (Anatomy)
- Thyroid 의 Anatomy
- 경부의 Anatomy
Ⅱ. Thyroid cancer의 정의 (Definition)
- 원인과 증상 (Etiology & Symptoms)

Ⅲ. 병태생리 (Pathology)
- 갑상선암의 분류 (Classification)

Ⅳ. 진단 (Diagnosis)

Ⅴ. 치료 (Treatment)

Ⅵ. neck dissection의 분류

Ⅶ. OP procedure

Ⅷ. 수술후 합병증

본문내용

reatment)
Ⅵ. neck dissection의 분류
Ⅶ. OP procedure
Ⅷ. 수술후 합병증
Ⅰ. Anatomy
1. Thyroid
1) 갑상선의 해부
갑상선이란 여포세포가 이루는 30-500㎛크기의 여포를 기본단위로 구성되며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갑상선은 후두와 기관 옆으로 2개의 엽과 엽을 연결하는 협부 isthmus로 구성되며 신체에서 혈관 분포가 많은 기관중 하나다 무게는 20-30g 이고 길이는 약 5cm정도의 각각 길쭉한 모양의 상극과 하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갑상선은 심경근막, 중층인 기관전막에 의해서 기관과 단단히 붙어 있어 침을 삼킬때 움직이므로 새낭종이나 유피낭종과 구별이 가능하다. 갑상선의 상극은 위쪽으로 갑상연골의 사선까지 올라가며 하극은 아래로 제5와 6기관연골 부위에 위치한다.갑상선의 협부나 측엽으로부터 위쪽으로 설골에 이르기까지 갑상선 조직이 연장되어 존재 할 수 있는데 이는 추체엽 Pyramidal lobe 이라고 부르며 정상인의 50%에서 발견된다. 신경분포는 경신경고리 , 미주신경, 상후두신경 등으로부터 받는다.
2) 동맥분포
갑상선은 2개의 상갑상동맥과 2개의 하갑상동맥으로부터 이중의 혈액공급을 받으며 이 동맥들을 동측과 반대측으로 많은 교통을 형성한다.갑상선 절제술시 갑상선에 분포하는 혈관은 후두로 가는 운동신경과 함께 주행하므로 갑상선 혈관의 결찰시 신경의 손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1) 상갑상동맥 superior thyroid artery
견갑설골근의 상복과 흉쇄갑상근밑으로 경부의 측면을 따라 내려와 갑상선 측엽의 전상연을 따라 협 부쪽으로 주행하여 일부의 분지가 반대측의 상갑상동맥의 분지와 연결된다.
(2) 하갑상동맥 inferior thyroid artery
1번 늑골 부위에서 쇄골하동맥 subclavian artery의 첫 번째 분지인 갑상경동맥간에서 시작하여, 총 경동맥의 뒤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행하다가 내측으로 선회하여 루프를 형성하고 기관식도구로 들어가 며 대개 두개의 분지를 형성한다.
3) 정맥분포
정맥의 분포는 3쌍의 정맥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갑상정맥 superior thyroid vein 은 갑상선의 상부에서 나와 상갑상동맥과 같이 주행하다 내경정맥이나 안면 정맥으로 정맥혈 배류가 이루어진다. 중갑상정맥
middle thyroid vein 은 갑상선의 측면에서 나와 총경동맥 위를 지나 내경정맥으로 연결된다
하갑상정맥은 하갑상동맥이 갑상선 후면에 놓인 것과는 반대로 갑상선의 전면에 위치한다.
우측의 하갑상정맥은 우측이나 좌측의 상완두정맥으로 연결되며 좌측은 좌측의 상완두정맥과 연결된다
4) 신경분포
갑상선과 부갑상선의 자율신경 중 부교감신경은 미주신경으로부터 분지 되고 교감신경은 교감신경간의 상,중,하 교감신경절로부터 분지된다. 자율신경이 갑상선호르몬의 분비에 관여하는 역할은 아직명백하지않으며 갑상선의 혈액 공급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여겨진다.
5)림프계
갑상선의 림프배액은 광범위하고 실제로 모든 방향으로 배액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 갑상선의 림프배액은 경동맥초를 경계로 부선강 paraglandular space과 측경영역 lateral cervical region의 두 영역으로 나누며 부선강은 다시 후두전 prelaryngeal group 및 기관전군 pretracheal group 과 기관식도주위군 paratracheoesophageal group 의 두 군으로 나뉜다.
6)반회후두신경 reccurent laryngeal nerve
반회두신경은 미주신경으로부터 분지하여 후두에 분포하는 신경으로 우측은 쇄골하동맥 아에서 분지하여 쇄골하동맥을 돌아 내측을 향하여 위로 주행하며, 좌측은 대동맥궁 앞에서 분지하여 대동맥궁을 돌아 상행한다. 반회두신경은 기원 부위에서 심장으로 가는 분지를 내며 하후두신경이 되어 후두내로 들어가 분포하게 된다. 갑상선은 제1에서 제3 기관연골에 현수인대라 불리는 결체조직에 의해 단단히 붙어 있는데 이 부위에 반회후두신경과의 관계를 보면 반회후두신경이 현수인대의 뒤로 지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외 현수 인대 사이를 통과해 지나거나 갑상선 실질 내를 통과해 지나게 된다.
2. 경부의 Anatomy
1) 경부의 근육 Muscle of neck
(1)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SCM m.)
흉쇄유돌근은 측두골의 유양돌기와 후두골의 측면에 부착되어 흉골두와 쇄골두로 나뉘어져서 흉골과 쇄골에 부착된다. 흉쇄유돌근의 혈액공급은 후두동맥, 후이개동맥, 상갑상동맥, 천 및 횡경동맥으로부터 받으며 흉부외곽가 견대를 올리고 머리를 동측으로 측방굴곡시키는 작용을 한다. 운동신경지배는 척추부신경이 담당하고 있다.
(2) 설골하근 Infrahyoid muscles
설골하근은 피대근 strap muscle 이라고 하는데 후두와 갑상선, 기도의 앞을 덮고 있는 4개의 근육인 갑상설골근, 흉골설골근, 흉골갑상근, 견갑설골근이다. 신경지배는 경신경고리가 담당한다. strap muscle 의 기능은 호흡의 보조 근육으로써 호흡시 후두 관강의 크기를 조절한다.
견갑설골근은 수술 경계지표의 의미를 갖는데 견갑설골근 상복의 심층에는 경동맥초 carotid sheath가 있고 하복의 심층에는 상완신경총, 횡격신경, 쇄골하혈관이 있으며 외경정맥만이 하복의 전층에 있다.
(3) 설골상근 Suprahyoid muscles
설골상근은 이복근, 경동설골근, 하악설골근, 이설골근의 4개의 근육이 포함된다. 이복근과 경돌설곤근의 복합체는 수술 경계지표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경부의 중요구조믈 즉, 경동맥, 내경정맥, 미주신경, 설하신경, 척추부신경 등이 이 근육의 심층에 위치하며 안면신경의 하악분지, 전안면정맥, 후안면정맥만이 전층에 위치한다.
(4) 승모근 Trapezius
승모근은 삼각형 모양의 넓고 얇은 근육으로 후두골의 항부선과 후두융기, 제7번경추, 12개 흉추의 극돌기로부터 기시하며 상 1/3은 쇄골의 외측 1/3, 중간 1/3은 견봉돌기와 견갑극, 하부 1/3은 내측견갑극으로 부착된다. 척추부신경이 운동을 지배하며 승모근이 쇄골에 부착하는 곳에서 손가락 2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