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험의 매개와 자기회귀성
2. 자기 회귀의 시적 양상
3. 메타시의 유형
4. 우리 시의 경우
2. 자기 회귀의 시적 양상
3. 메타시의 유형
4. 우리 시의 경우
본문내용
상법을 제외하고 30년대 이상의 (이런시) 사실상 산문이다 떠나는 님을 원망하지 않고 ,내내 어여쁘소서‘처럼 오히려 행복이나 행운을 비는 전통적 이별가와 같은 시작품을 쓰고 싶지 않다는 시관이 표명 된 점 시 쓰기 관점을 서술한 메타시 라는 점 오규원(안락 의자의 시) 한 의미의 구상이 후속되는 다른 구상들에 의해 지워져 가는 시작과정을 서술한 메타 시다 메타시는 귀결됨으로서 시 속의 일부인 동시 현실의 일부로 분열되는 이중성의 전략으로 패러디의 자기 반영성을 특이 하게 보인다 아니 나는 지금 시를 쓰고 있지 않다 이런 ‘ 자기비판’ 자기 부정은 다분히 해체 주의적 비평적이다.딱 보구서 그게 시가 되어 있으면 바로 그게 시다 나머지 이러쿵 저러쿵 깡그리 사족이다 군더더기요 설명의 김빠진 맥주다 그건 시 밖으로의 똥 오줌 누기 일뿐 시 안의 걸레질이 아니다 - 박상배 의 시론시 「풀잎송 8」
이 시론시는 전혀 서정적이지 않다 거친 일상 회화체와 비속어체를 터놓고 구사해서 독자시에 대한 선입관과 기대감을 위반하고 거역한다 이 시론시는 시와 비평을 겸한 것인데 여기서 비평은 오규원과 달리 시 비평가의 비평을 겨냥한 것 .이 시론시는 비평의 페러디 이기도 하다
이 시론시는 전혀 서정적이지 않다 거친 일상 회화체와 비속어체를 터놓고 구사해서 독자시에 대한 선입관과 기대감을 위반하고 거역한다 이 시론시는 시와 비평을 겸한 것인데 여기서 비평은 오규원과 달리 시 비평가의 비평을 겨냥한 것 .이 시론시는 비평의 페러디 이기도 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