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본문내용
며 종명의 Scolymus는 가시가 있다는 뜻의 scolos에서 비롯된 것이다.
요리
주된 요리는 샐러드나, 스프, 피자 토핑, 스테이크 소스
효능
알코올 분해효과 및 간세포막의 변화를 안정시킴으로써 간세포에 대한 직접적 간장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래전부터
숙취해소에 사용되어왔다
단백질,비타민 A. C, 칼슘, 철, 인, 당류, 이누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주는 인슐린 같은 작용을 하는
당류가 있어서 약용으로도 중요하다.
NO.32 알로에 (용설란)
학명
Aloe barbadensis MILLER
영어
aloe
원산지
아프리카
분류
그노회, 또는 나무노회라고도 하고, 알로에속(Aloe)에 속하는 식물 전체를 가리키거나 그 한 종을 가리킨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고,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다. 관엽식물로 온실에서 재배하거나 약으로 쓰려고 가정에서 기르기도 한다.
요리
차, 술, 쥬스, 냉채
효능
궤양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고 한다.
스테로이드·아미노산·사포닌·항생물질·상처치유 호르몬·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외상이나 화상
NO.33 앵초 (카우슬립)
학명
Primula veris
영어
Cowslip
원산지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시베리아 동부
서식장소 산과 들의 물가나 풀밭의 습지
분류
일본에서는 이것의 자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곳도 있다. 한국의 앵초류는 10종인데, 산지의 냇가와 숲 속에서 자라고 잎이 거의 둥근 큰앵초, 높은 산 위에서 자라는 설앵초, 잎이 작고 뒷면에
황색 가루가 붙어 있는 좀설앵초 등이 있다.
요리
꽃쌈, 비빔밥, 전
효능
사포닌이 들어 있어 유럽에서는 뿌리를 감기·기관지염·백일해 등에 거담제로 사용하여 왔으며, 신경통·류머티즘·요산성 관절염에도 사용한다.
NO.34 엉겅퀴(밀크시슬)
학명
Silybum marianum
영어
milk thistle
원산지
한국·일본·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산이나 들
분류
가시나물이라고도 한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시엉겅퀴라고 한다.
요리
무침, 국, 찌개, 나물
효능
혈액응고촉진작용, 간해독작용, 강압작용, 이담작용, 소염작용, 정력증진, 옻오른데, 토혈, 폐결핵, 고혈압,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여러 가지 출혈, 대하, 각종 간장질환, 동맥경화, 임파성결핵, 부스럼, 화상, 독사에 물린데, 숙취해소, 마약중독, 어혈을 다스린다.
NO.35 용담 (젠시안)
학명
Gentiana lutea
영어
gentian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산지의 풀밭
분류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톱니가 없다.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와 끝에 달리고 포는 좁으며 바소꼴이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36 창 질경이 (립워트)
학명
Plantago lanceolata
영어
Ribwort
원산지
유럽
경기도 ·경상남도
분류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지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양 끝이 좁다. 또한 위를 향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리
나물, 무침, 묵, 국, 쌈, 차, 튀김
NO.37 닷사이
영어
datsai
원산지
중국
분류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지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양 끝이 좁다. 또한 위를 향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리
나물, 무침, 묵, 국, 쌈, 차, 튀김
NO.38 뉴그린
영어
New green
원산지
중국
분류
잎을 먹을 수 있는 브로콜리 종류로, 잎의 앞면이 올록볼록한 것이 특징이다. 녹색채소 가운데서도 영양가가 높으며, 소화기관에서 항암 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효능
영양 성분은 생채 100g당 비타민C 96㎎, 베타카로틴 766㎍, 칼륨 3.7㎎, 칼슘 64㎎, 인 195㎎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함량이 보통 채소의 2배에 달하여 녹색채소 가운데서도 영양가가 높다. 플라보노이드와 인돌,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구성물질이 소화기관에서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채로 섭취하면 소장을 튼튼하게 하여 영양흡수를 개선해주고, 말려서 차로 마시면 육식과 스트레스로 쌓인 간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요리
쌈으로 주로 먹고, 샐러드나 무침, 국거리와 비빔밥의 재료 등으로도 이용된다.
NO.39 라바바 (대황)
학명
Rheum undulatum
원산지
원산지는 중국 서장·청해 지방.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분류
속이 비어 있으며, 잎 모양은 넓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잎몸 길이는 25∼30cm이다. 뒷면의 잎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가 드물게 있고 끝도 둔한 편이다.
효능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健胃作用)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緩下劑)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쓰기도 한다.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것을 쓰며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하며 숯으로 마른 것은 지혈력이 강하다.
요리
신맛 외에는 맛이 없어서 케
요리
주된 요리는 샐러드나, 스프, 피자 토핑, 스테이크 소스
효능
알코올 분해효과 및 간세포막의 변화를 안정시킴으로써 간세포에 대한 직접적 간장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래전부터
숙취해소에 사용되어왔다
단백질,비타민 A. C, 칼슘, 철, 인, 당류, 이누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 주는 인슐린 같은 작용을 하는
당류가 있어서 약용으로도 중요하다.
NO.32 알로에 (용설란)
학명
Aloe barbadensis MILLER
영어
aloe
원산지
아프리카
분류
그노회, 또는 나무노회라고도 하고, 알로에속(Aloe)에 속하는 식물 전체를 가리키거나 그 한 종을 가리킨다. 아프리카가 원산지이고, 전세계에 약 300종이 있다. 관엽식물로 온실에서 재배하거나 약으로 쓰려고 가정에서 기르기도 한다.
요리
차, 술, 쥬스, 냉채
효능
궤양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고 한다.
스테로이드·아미노산·사포닌·항생물질·상처치유 호르몬·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다.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외상이나 화상
NO.33 앵초 (카우슬립)
학명
Primula veris
영어
Cowslip
원산지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시베리아 동부
서식장소 산과 들의 물가나 풀밭의 습지
분류
일본에서는 이것의 자생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곳도 있다. 한국의 앵초류는 10종인데, 산지의 냇가와 숲 속에서 자라고 잎이 거의 둥근 큰앵초, 높은 산 위에서 자라는 설앵초, 잎이 작고 뒷면에
황색 가루가 붙어 있는 좀설앵초 등이 있다.
요리
꽃쌈, 비빔밥, 전
효능
사포닌이 들어 있어 유럽에서는 뿌리를 감기·기관지염·백일해 등에 거담제로 사용하여 왔으며, 신경통·류머티즘·요산성 관절염에도 사용한다.
NO.34 엉겅퀴(밀크시슬)
학명
Silybum marianum
영어
milk thistle
원산지
한국·일본·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 산이나 들
분류
가시나물이라고도 한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시엉겅퀴라고 한다.
요리
무침, 국, 찌개, 나물
효능
혈액응고촉진작용, 간해독작용, 강압작용, 이담작용, 소염작용, 정력증진, 옻오른데, 토혈, 폐결핵, 고혈압,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여러 가지 출혈, 대하, 각종 간장질환, 동맥경화, 임파성결핵, 부스럼, 화상, 독사에 물린데, 숙취해소, 마약중독, 어혈을 다스린다.
NO.35 용담 (젠시안)
학명
Gentiana lutea
영어
gentian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산지의 풀밭
분류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톱니가 없다. 꽃은 8∼10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잎겨드랑이와 끝에 달리고 포는 좁으며 바소꼴이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36 창 질경이 (립워트)
학명
Plantago lanceolata
영어
Ribwort
원산지
유럽
경기도 ·경상남도
분류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지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양 끝이 좁다. 또한 위를 향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리
나물, 무침, 묵, 국, 쌈, 차, 튀김
NO.37 닷사이
영어
datsai
원산지
중국
분류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지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양 끝이 좁다. 또한 위를 향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효능
간 기능 저하된 사람, 음주로 간장을 혹사사하는 사람이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사람은 용담꽃을 가까이 하도록 한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어지러움, 귀울림, 두통, 방광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리
나물, 무침, 묵, 국, 쌈, 차, 튀김
NO.38 뉴그린
영어
New green
원산지
중국
분류
잎을 먹을 수 있는 브로콜리 종류로, 잎의 앞면이 올록볼록한 것이 특징이다. 녹색채소 가운데서도 영양가가 높으며, 소화기관에서 항암 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효능
영양 성분은 생채 100g당 비타민C 96㎎, 베타카로틴 766㎍, 칼륨 3.7㎎, 칼슘 64㎎, 인 195㎎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함량이 보통 채소의 2배에 달하여 녹색채소 가운데서도 영양가가 높다. 플라보노이드와 인돌,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구성물질이 소화기관에서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채로 섭취하면 소장을 튼튼하게 하여 영양흡수를 개선해주고, 말려서 차로 마시면 육식과 스트레스로 쌓인 간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요리
쌈으로 주로 먹고, 샐러드나 무침, 국거리와 비빔밥의 재료 등으로도 이용된다.
NO.39 라바바 (대황)
학명
Rheum undulatum
원산지
원산지는 중국 서장·청해 지방.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분류
속이 비어 있으며, 잎 모양은 넓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잎몸 길이는 25∼30cm이다. 뒷면의 잎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가 드물게 있고 끝도 둔한 편이다.
효능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健胃作用)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緩下劑)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쓰기도 한다.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것을 쓰며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하며 숯으로 마른 것은 지혈력이 강하다.
요리
신맛 외에는 맛이 없어서 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