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1) 유아용 침대
유아용 침대 사용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한다.
① 침대 세로대 간격은 6㎝이하여야 한다.
② 침대 표면은 무연 페인트로 칠해야 하며 갈라진 부분이 없어야 한다.
③ 매트리스는 침대 아랫면과 같은 크기여야 한다.
④ 모서리 기둥이 높거나 뾰족한 디자인은 피한다.
⑤ 세로대 높이는 침대 매트리스 면에 유아가 섰을 때 키의 3/4이상이어야 한다.
⑥ 침대 안에는 유아가 발판으로 짚고 올라갈 수 있는 큰 장난감이나 물건을 놓지 않는다.
⑦ 비닐로 된 방수 매트리스 커버는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⑧ 침대는 창문이나 커튼, 블라인드 줄에서 안전하게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⑨ 침대 주변의 모빌이나 기저귀 핀, 아기분 등은 유아가 잡지 못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⑩ 유아가 침대 안에 있을 때에는 항상 옆면을 잠궈 놓아야 하며 잠금장치는 쉽게 풀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
(2) 유아용 식탁의자
유아용 식탁의자를 선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도록 한다.
① 다리 밑면이 넓은 것이 안정적이다.
② 의자에는 반드시 안전벨트가 있어야 한다.
③ 식판 양끝이 잘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④ 접는 식탁의자일 경우에는 의자를 펼 때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⑤ 문이 열릴 때 부딪히지 않는 장소에 놓고 이용한다.
⑥ 절대로 유아를 의자에 앉혀 놓은 상태로 방을 비우지 않아야 한다.
⑦ 항상 앉아서 사용하도록 한다.
⑧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치워 놓는다.
⑨ 나이 많은 아이가 매달리지 않도록 한다.
⑩식판을 떼고 달 때 손이 끼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3) 유모차
유모차를 이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한다.
① 안전벨트를 확인하고 잠깐 동안 이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착용하도록 한다.
②양 바퀴에 브레이크가 있는지 확인하고 작동하는지 점검하며 밀지 않을 때는 반드시 사용한다.
③ 뾰족한 모서리나 튀어나온 골조가 있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④ 뒤로 젖혀져도 넘어가지 않도록 밑면이 넓은 것을 선택한다.
⑤ 접을 수 있는 유모차는 반드시 잠금장치를 확인하고 접을 때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⑥ 손잡이에 절대로 가방을 걸지 않는다.
⑦ 유모차에 타고 있는 유아는 우모차를 미는 사람보다 위험상황에 먼저 도달한다는 것을 항상 명심하여야 한다.
⑧ 어린이가 유모차를 밀지 못하도록 한다.
⑨ 유아를 유모차에 태운 채 절대로 혼자 두지 않는다.
⑩ 유모차에 큰 아이를 태우거나 유모차를 갖고 놀 경우에느 s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한다.
(4) 안는 띠와 업는 띠
유아를 안거나 업고 다니는 띠가 많이 사용되고 있어 안전한 제품 선택과 이용에 유의하여야 한다.
① 머리를 가누기 전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②유아의 신체크기와 체중에 알맞은 것으로 고르되 가능한 앞쪽으로 매는 것이 머리와 목을 받쳐 주어 안정한다.
③ 유아의 얼굴, 머리 가까이에 골조가 없는 것이 좋다.
④ 좌석 벨트에 부드러운 패드가 있는 것이 좋다.
⑤ 이음새가 거칠어 살갗이나 옷이 끼지 않는지 확인한다.
⑥ 잠금장치는 크고 단단해야 한다.
⑦ 유아의 등을 충분히 받쳐 주는 것이 좋다.
⑧ 유아의 다리를 끼는 구멍은 유아가 빠지지 않을 만큼 좁아야 하나 다리가 너무 조이지 않을 정도로 넓어야 한다.
⑨ 띠의 재질은 질기고 바느질이 튼튼하며, 끈이나 조임쇠가 유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⑩ 철제 틀에는 부드러운 쿠션이 대어져 있어야 한다.
⑪ 띠를 이용할 때는 유아의 머리가 성인의 머리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주의한다.
⑫ 걸을 때에도 유아의 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살살 걷는다.
⑬ 업는 띠를 이용할 경우 뒤쪽에 닫히는 문에 주의한다.
⑭ 유아를 뒤에 업은 채로 자전거 등을 절대로 타지 않는다.
⑮ 물건을 집을 때 몸의 상체를 숙이지 말고 무릎을 굽힌다.
성인이 자동차를 탈 때 안는 띠를 사용해서 유아를 안고 앞쪽에 승차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5) 보행기
대부분 사람들은 보행기가 다리의 힘을 길러주고 걸음마를 빨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믿으나 보행기는 아기의 성장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바퀴가 달려 있어 위험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한 용품이 되고 있다.
부득이하여 보행기를 사용해야 한다면 우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고 안전수칙에 유의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① 보행기는 바퀴달린 밑면이 넓고 재질이 단단한 것으로 선택한다.
② 보행기를 타는 방에는 떨어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두지 않으며 작동중인 가전제품의 전선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③ 계단이 있는 층에서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 계단에 보호대를 설치하고 가능한 계단 쪽 문은 항상 닫아 놓는다.
④ 가능한 계단이나 턱이 있는 곳에서는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유아가 보행기를 타고 문턱을 넘을 경우 도와주고 장애물을 치워준다.
⑤ 보행기를 지지하고 있는 X자형의 틀에 손가락이 끼이면 절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⑥ 보행기를 사용하는 동안 성인이 항상 유아 옆에 있어야 한다.
(6) 유아용 놀이장
놀이장이 부모가 눈을 떼고 있어도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것이라고 믿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무척 위험한 생각이다. 놀이장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① 놀이장의 세로대 간격은 6㎝ 이하가 되어야 하며 망으로 된 놀이장은 구멍이 0.6㎝이하여야 한다.
② 놀이장의 모서리나 잠금장치 등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마무리가 잘된 것이어야 한다.
③ 유아가 뛰어도 안전할 만큼 놀이장 바닥은 단단해야 하며 바닥에는 이가 나는 유아들이 씹거나 물어뜯을 수 없는 패드를 깐다.
④ 찢어진 커버, 튀어나온 부속품, 거칠고 뾰족한 부분, 느슨해진 부분들이 있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⑤ 놀이장 바닥에 유아가 딛고 올라갈 수 있는 큰 놀잇감은 놓지 않는다.
⑥ 놀이장 틀을 가로질러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걸어 놓지 않는다.
⑦ 놀이장이 열려 있을 때는 절대로 유아를 혼자 두면 안된다.
⑧ 실외에서 놀이장을 사용할 경우 놀이 후에는 반드시 실내로 들여 놓는다.
⑨항상 유아를 감시해야 한다.
(1) 유아용 침대
유아용 침대 사용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한다.
① 침대 세로대 간격은 6㎝이하여야 한다.
② 침대 표면은 무연 페인트로 칠해야 하며 갈라진 부분이 없어야 한다.
③ 매트리스는 침대 아랫면과 같은 크기여야 한다.
④ 모서리 기둥이 높거나 뾰족한 디자인은 피한다.
⑤ 세로대 높이는 침대 매트리스 면에 유아가 섰을 때 키의 3/4이상이어야 한다.
⑥ 침대 안에는 유아가 발판으로 짚고 올라갈 수 있는 큰 장난감이나 물건을 놓지 않는다.
⑦ 비닐로 된 방수 매트리스 커버는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⑧ 침대는 창문이나 커튼, 블라인드 줄에서 안전하게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⑨ 침대 주변의 모빌이나 기저귀 핀, 아기분 등은 유아가 잡지 못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⑩ 유아가 침대 안에 있을 때에는 항상 옆면을 잠궈 놓아야 하며 잠금장치는 쉽게 풀 수 없는 것이어야 한다.
(2) 유아용 식탁의자
유아용 식탁의자를 선택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도록 한다.
① 다리 밑면이 넓은 것이 안정적이다.
② 의자에는 반드시 안전벨트가 있어야 한다.
③ 식판 양끝이 잘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④ 접는 식탁의자일 경우에는 의자를 펼 때 잠금장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⑤ 문이 열릴 때 부딪히지 않는 장소에 놓고 이용한다.
⑥ 절대로 유아를 의자에 앉혀 놓은 상태로 방을 비우지 않아야 한다.
⑦ 항상 앉아서 사용하도록 한다.
⑧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치워 놓는다.
⑨ 나이 많은 아이가 매달리지 않도록 한다.
⑩식판을 떼고 달 때 손이 끼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3) 유모차
유모차를 이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한다.
① 안전벨트를 확인하고 잠깐 동안 이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착용하도록 한다.
②양 바퀴에 브레이크가 있는지 확인하고 작동하는지 점검하며 밀지 않을 때는 반드시 사용한다.
③ 뾰족한 모서리나 튀어나온 골조가 있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④ 뒤로 젖혀져도 넘어가지 않도록 밑면이 넓은 것을 선택한다.
⑤ 접을 수 있는 유모차는 반드시 잠금장치를 확인하고 접을 때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⑥ 손잡이에 절대로 가방을 걸지 않는다.
⑦ 유모차에 타고 있는 유아는 우모차를 미는 사람보다 위험상황에 먼저 도달한다는 것을 항상 명심하여야 한다.
⑧ 어린이가 유모차를 밀지 못하도록 한다.
⑨ 유아를 유모차에 태운 채 절대로 혼자 두지 않는다.
⑩ 유모차에 큰 아이를 태우거나 유모차를 갖고 놀 경우에느 s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한다.
(4) 안는 띠와 업는 띠
유아를 안거나 업고 다니는 띠가 많이 사용되고 있어 안전한 제품 선택과 이용에 유의하여야 한다.
① 머리를 가누기 전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②유아의 신체크기와 체중에 알맞은 것으로 고르되 가능한 앞쪽으로 매는 것이 머리와 목을 받쳐 주어 안정한다.
③ 유아의 얼굴, 머리 가까이에 골조가 없는 것이 좋다.
④ 좌석 벨트에 부드러운 패드가 있는 것이 좋다.
⑤ 이음새가 거칠어 살갗이나 옷이 끼지 않는지 확인한다.
⑥ 잠금장치는 크고 단단해야 한다.
⑦ 유아의 등을 충분히 받쳐 주는 것이 좋다.
⑧ 유아의 다리를 끼는 구멍은 유아가 빠지지 않을 만큼 좁아야 하나 다리가 너무 조이지 않을 정도로 넓어야 한다.
⑨ 띠의 재질은 질기고 바느질이 튼튼하며, 끈이나 조임쇠가 유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⑩ 철제 틀에는 부드러운 쿠션이 대어져 있어야 한다.
⑪ 띠를 이용할 때는 유아의 머리가 성인의 머리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주의한다.
⑫ 걸을 때에도 유아의 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살살 걷는다.
⑬ 업는 띠를 이용할 경우 뒤쪽에 닫히는 문에 주의한다.
⑭ 유아를 뒤에 업은 채로 자전거 등을 절대로 타지 않는다.
⑮ 물건을 집을 때 몸의 상체를 숙이지 말고 무릎을 굽힌다.
성인이 자동차를 탈 때 안는 띠를 사용해서 유아를 안고 앞쪽에 승차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5) 보행기
대부분 사람들은 보행기가 다리의 힘을 길러주고 걸음마를 빨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믿으나 보행기는 아기의 성장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바퀴가 달려 있어 위험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한 용품이 되고 있다.
부득이하여 보행기를 사용해야 한다면 우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고 안전수칙에 유의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① 보행기는 바퀴달린 밑면이 넓고 재질이 단단한 것으로 선택한다.
② 보행기를 타는 방에는 떨어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두지 않으며 작동중인 가전제품의 전선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③ 계단이 있는 층에서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 계단에 보호대를 설치하고 가능한 계단 쪽 문은 항상 닫아 놓는다.
④ 가능한 계단이나 턱이 있는 곳에서는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유아가 보행기를 타고 문턱을 넘을 경우 도와주고 장애물을 치워준다.
⑤ 보행기를 지지하고 있는 X자형의 틀에 손가락이 끼이면 절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⑥ 보행기를 사용하는 동안 성인이 항상 유아 옆에 있어야 한다.
(6) 유아용 놀이장
놀이장이 부모가 눈을 떼고 있어도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것이라고 믿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무척 위험한 생각이다. 놀이장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① 놀이장의 세로대 간격은 6㎝ 이하가 되어야 하며 망으로 된 놀이장은 구멍이 0.6㎝이하여야 한다.
② 놀이장의 모서리나 잠금장치 등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마무리가 잘된 것이어야 한다.
③ 유아가 뛰어도 안전할 만큼 놀이장 바닥은 단단해야 하며 바닥에는 이가 나는 유아들이 씹거나 물어뜯을 수 없는 패드를 깐다.
④ 찢어진 커버, 튀어나온 부속품, 거칠고 뾰족한 부분, 느슨해진 부분들이 있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⑤ 놀이장 바닥에 유아가 딛고 올라갈 수 있는 큰 놀잇감은 놓지 않는다.
⑥ 놀이장 틀을 가로질러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걸어 놓지 않는다.
⑦ 놀이장이 열려 있을 때는 절대로 유아를 혼자 두면 안된다.
⑧ 실외에서 놀이장을 사용할 경우 놀이 후에는 반드시 실내로 들여 놓는다.
⑨항상 유아를 감시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