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소개
2. 품질
3. 마케팅
4. 생산
5. 재무분석
6. 인사관리
7. 한국사례로 본 해외진출 과정
8. 모토로라의 몰락요인과 시사점
* 참고문헌
2. 품질
3. 마케팅
4. 생산
5. 재무분석
6. 인사관리
7. 한국사례로 본 해외진출 과정
8. 모토로라의 몰락요인과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스템 사업, EMX-5000
1985
한국대표자 사무소
KOMO
1985
컴퓨터 사업
승전상사
VME 보드
(2) 제2단계 : 직접 판매, 마케팅
1) 반도체 국내 판매사업의 전개(KMO office)
1975년 모토로라 코리아에서 분리하여 한국 내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자 KMO(Korea Marketing Office)를 세우게 되었으며, 이것은 오늘날 반도체 사업본부의 근간이 되었다. 반도체 사업본부는 한국에 진출한 외국 반도체 회사 중 최초로 응용연구실(application lab)을 갖추고, 1975년에 국내 마케팅을 시작했다. <표Ⅲ-3 참조>,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개념이 대두되기 이전인 1985년에 지역고객의 욕구에 신속히 부응하기 위하여 부산에 지사를 설립하고 1990년대에는 광주와 구미에 지사를 설치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1980년대에는 첨단 반도체 기술과 제품으로 정부관련 국책 사업에 활발히 참여하여 우리나라 전자산업계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1980년대 초 정부의 산업 연구기관인(KIET) 및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ETRI)과 공동 추진한 32비트의 슈퍼 미니 컴퓨터 개발과 국산 전자교환기(TDX) 개발 참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반도체 업계 중 최초로 하이테크 세일즈 방식(hi-tech sales scheme)을 채택, 성공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는 영업 엔지니어들에게 최신 휴대용 컴퓨터와 통신 기기를 지급함으로써 사무실 근무를 최소화하고 업체 방문을 효율화시켜 이로 절약되는 시간을 고객의 크고 작은 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 양측 모두에게 최대한 이익을 줄 수 있는 윈윈(win&win)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다.
반도체 사업부와 국내 전자업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응용기술팀이 국내 고객의 주문형 반도체(customer IC) 또는 CSIC 등의 기술개발에 동참함으로써 더욱 공고해 짐은 물론 더 나아가 국내 전자 산업계의 발전과 첨단 기술력 확보에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본부는 완벽하고 능률적인 고객지원을 위하여 응용 연구실을 비롯, 영업 지원팀, 고객지원 센터를 운영하며 품질관리 및 마케팅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표Ⅲ-3> 반도체 사업부 초기 전략
초기전략
내용
직접 판매 마케팅
- 외국인 반도체 회사 최초의 응용 연구실
- 부산, 광주, 구미에 자사 설립
- 하이테크 세일즈 방식
- 정부 관련 국책 사업에 활발히 참여
- 영업 지원팀, 고객지원 센터 운영으로 품질 관리 및 마케팅
2) 모토로라 인터내셔널 잉크 한국지점(MIIKB)
모토로라 한국 지점은 1967년 설립 이래 국내에서 반도체 조립 생산에 주력해 온 모토로라 코리아의 활동을 제외한 모든 부문의 국내 사업 전개를 위한 시장조사, 전략 수립, 영업 지원 등을 목표로 1985년에 설립되었다.
① 모토로라는 1982년 10월 전세계적으로 무선 호출기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기존 모토로라 코리아 공장 내에 무선 호출기 생산 라인을 설치했다. 내수시장의 부재로 전량 수출했던 모토로라의 무선 호출기는 국내 통신기기 수출에도 일익을 담당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무선 호출기생산 관련 기술이 전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생산라인이 설치되기 직전이 9월 모토로라 페낭 공장에서 단말기 제조기술을 이수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무선 호출기는 1985년까지 100% 전량 세계시장에 수출되었으며 1986년 8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찰에 2천대를 납품, 국내 제조 무선 호출기 판매 1호를 기록했다. 당시 공장에서는 반조립 생산방식(semi knock down)으로 BPS 2000과 OPTRX 두 개의 기종을 생산했다.
1981년 정부는 무선 호출 서비스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1982년 일본 NES사의 시스템을 들여와 1만 회선을 설치했다. 그 해 12월 15일부터 단말기 3백대로 삐삐 소리만 들리는 신호음(tone) 방식의 무선 호출 서비스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이다. 단순히 삐삐 신호음만 내는 방식에서 무선 호출기의 문자 표시판에 신호음과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2세대 기종이 등장하면서 무선호출 서비스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② 셀룰라 시스템 산업
셀룰라 방식의 도입 방침에 따라 체신부는 1982년 2월 모토로라, AT&T, NEC, 에릭슨 등 외국 이동전화 시스템 개발회사를 초청, 국내 이동전화 시스템 도입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어 7월에 모토로라와 AT&T 기종을 일차 선정 대상으로 지정하고 상세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를 종합 검토한 체신부는 1982년 10월 ‘이동 무선전화 현대화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는 모토로라의 .AMPS 방식 전화시스템을 도입하는 세계 4번째 국가가 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으로 선정된 모토로라 시스템은 타사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국내 정부기관에서 이미 운용 중이던 기종과 같아 기술축적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통신은 1983년 8월 조달청에서 모토로라와 구매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11월부터 시설공사에 착수했다. 총 38억 7백만원을 투자, 3천 가입자 용량의 교환시설, 수도권에 10개 기지국을 건설해 1984년 5월 7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한국의 이동통신의 역사는 모토로라와 함께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파수 재 사용 및 셀 분할 개념에 기초한 모토로라의 AMPS 방식을 채택한 EMX-2500 교환기는 1984년 국내에 현대식 이동전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당시 3회선을 구입한 한국 전기통신공사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첫 서비스에 돌입했으며, 1985년 5천 회선을 증설했다. 정부의 이동전화 기술개발 방향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으로 확정됨에 따라 모토로라는 국내에 관련 기술 도입을 통한 시장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③ 컴퓨터 사업
초기 모토로라의 컴퓨터 사업부문은 승전상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그리고 자동화 장치 중 하나인 VME 보드는 1985년 엠시스터즈와 계약, 국내 판매를 개시했다. 이
1985
한국대표자 사무소
KOMO
1985
컴퓨터 사업
승전상사
VME 보드
(2) 제2단계 : 직접 판매, 마케팅
1) 반도체 국내 판매사업의 전개(KMO office)
1975년 모토로라 코리아에서 분리하여 한국 내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자 KMO(Korea Marketing Office)를 세우게 되었으며, 이것은 오늘날 반도체 사업본부의 근간이 되었다. 반도체 사업본부는 한국에 진출한 외국 반도체 회사 중 최초로 응용연구실(application lab)을 갖추고, 1975년에 국내 마케팅을 시작했다. <표Ⅲ-3 참조>,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개념이 대두되기 이전인 1985년에 지역고객의 욕구에 신속히 부응하기 위하여 부산에 지사를 설립하고 1990년대에는 광주와 구미에 지사를 설치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1980년대에는 첨단 반도체 기술과 제품으로 정부관련 국책 사업에 활발히 참여하여 우리나라 전자산업계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1980년대 초 정부의 산업 연구기관인(KIET) 및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ETRI)과 공동 추진한 32비트의 슈퍼 미니 컴퓨터 개발과 국산 전자교환기(TDX) 개발 참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반도체 업계 중 최초로 하이테크 세일즈 방식(hi-tech sales scheme)을 채택, 성공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는 영업 엔지니어들에게 최신 휴대용 컴퓨터와 통신 기기를 지급함으로써 사무실 근무를 최소화하고 업체 방문을 효율화시켜 이로 절약되는 시간을 고객의 크고 작은 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 양측 모두에게 최대한 이익을 줄 수 있는 윈윈(win&win)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다.
반도체 사업부와 국내 전자업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응용기술팀이 국내 고객의 주문형 반도체(customer IC) 또는 CSIC 등의 기술개발에 동참함으로써 더욱 공고해 짐은 물론 더 나아가 국내 전자 산업계의 발전과 첨단 기술력 확보에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본부는 완벽하고 능률적인 고객지원을 위하여 응용 연구실을 비롯, 영업 지원팀, 고객지원 센터를 운영하며 품질관리 및 마케팅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표Ⅲ-3> 반도체 사업부 초기 전략
초기전략
내용
직접 판매 마케팅
- 외국인 반도체 회사 최초의 응용 연구실
- 부산, 광주, 구미에 자사 설립
- 하이테크 세일즈 방식
- 정부 관련 국책 사업에 활발히 참여
- 영업 지원팀, 고객지원 센터 운영으로 품질 관리 및 마케팅
2) 모토로라 인터내셔널 잉크 한국지점(MIIKB)
모토로라 한국 지점은 1967년 설립 이래 국내에서 반도체 조립 생산에 주력해 온 모토로라 코리아의 활동을 제외한 모든 부문의 국내 사업 전개를 위한 시장조사, 전략 수립, 영업 지원 등을 목표로 1985년에 설립되었다.
① 모토로라는 1982년 10월 전세계적으로 무선 호출기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기존 모토로라 코리아 공장 내에 무선 호출기 생산 라인을 설치했다. 내수시장의 부재로 전량 수출했던 모토로라의 무선 호출기는 국내 통신기기 수출에도 일익을 담당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무선 호출기생산 관련 기술이 전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생산라인이 설치되기 직전이 9월 모토로라 페낭 공장에서 단말기 제조기술을 이수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된 무선 호출기는 1985년까지 100% 전량 세계시장에 수출되었으며 1986년 8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찰에 2천대를 납품, 국내 제조 무선 호출기 판매 1호를 기록했다. 당시 공장에서는 반조립 생산방식(semi knock down)으로 BPS 2000과 OPTRX 두 개의 기종을 생산했다.
1981년 정부는 무선 호출 서비스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1982년 일본 NES사의 시스템을 들여와 1만 회선을 설치했다. 그 해 12월 15일부터 단말기 3백대로 삐삐 소리만 들리는 신호음(tone) 방식의 무선 호출 서비스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이다. 단순히 삐삐 신호음만 내는 방식에서 무선 호출기의 문자 표시판에 신호음과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2세대 기종이 등장하면서 무선호출 서비스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② 셀룰라 시스템 산업
셀룰라 방식의 도입 방침에 따라 체신부는 1982년 2월 모토로라, AT&T, NEC, 에릭슨 등 외국 이동전화 시스템 개발회사를 초청, 국내 이동전화 시스템 도입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어 7월에 모토로라와 AT&T 기종을 일차 선정 대상으로 지정하고 상세한 자료를 요구했다. 이를 종합 검토한 체신부는 1982년 10월 ‘이동 무선전화 현대화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는 모토로라의 .AMPS 방식 전화시스템을 도입하는 세계 4번째 국가가 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으로 선정된 모토로라 시스템은 타사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국내 정부기관에서 이미 운용 중이던 기종과 같아 기술축적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통신은 1983년 8월 조달청에서 모토로라와 구매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11월부터 시설공사에 착수했다. 총 38억 7백만원을 투자, 3천 가입자 용량의 교환시설, 수도권에 10개 기지국을 건설해 1984년 5월 7일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한국의 이동통신의 역사는 모토로라와 함께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파수 재 사용 및 셀 분할 개념에 기초한 모토로라의 AMPS 방식을 채택한 EMX-2500 교환기는 1984년 국내에 현대식 이동전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 당시 3회선을 구입한 한국 전기통신공사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첫 서비스에 돌입했으며, 1985년 5천 회선을 증설했다. 정부의 이동전화 기술개발 방향이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으로 확정됨에 따라 모토로라는 국내에 관련 기술 도입을 통한 시장진출을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③ 컴퓨터 사업
초기 모토로라의 컴퓨터 사업부문은 승전상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그리고 자동화 장치 중 하나인 VME 보드는 1985년 엠시스터즈와 계약, 국내 판매를 개시했다. 이
키워드
추천자료
CISC와 RISC
6 시그마를 활용한 인사혁신
CEO의 생존철학
컬러마케팅 사례분석-휴대폰의 색채변화
[교육학]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D램산업(플래시메모리)과 전망
메카트로닉스 신기술
올림푸스 코리아의 한국시장 성공전략
글로벌 기업 - 삼성 애니콜 (Anycall)
구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
2011 M&A 동향과 사례
[무선통신 반도체][무선통신 반도체 유비쿼터스][무선통신 반도체 신소자 기술]무선통신 반도...
[전자부품산업][전자부품산업 미국 사례]전자부품산업의 산업공동화, 전자부품산업의 선행연...
영화 속 광고가 실제 상품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위한 방안 모색 (PPL 문제제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