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실험 목적
②실험 원리
③실험 기구 및 재료
④실험 방법
⑤예상 측정값 및 예상 결론
⑥참고문헌 및 출처
②실험 원리
③실험 기구 및 재료
④실험 방법
⑤예상 측정값 및 예상 결론
⑥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에 연결해서 저항값 Ri를 읽고 기록한후 장치에 붙어 있는 저항 대 온도표를 참조해서 측정한 저항값에 대응하는 Ti를 찾아 기록한다. 그리고 저항 대 온도표에 나타나있지 않은 중간 영역의 값은 비례식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크랭크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설정도니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돌린후 저항값 Rf와 회전수 N을 기록한후 가열도니 실린더를 식힌 후 위 과정을 반복한다.
⑤예상 측정값 및 예상 결론
㉠예상 측정값
횟수
온도
1
2
3
291
292
291.2
293.4
298.2
294.5
시간 t(sec)
73.5
172.5
90
일당량
(J/cal)
3.500
3.256
3.256
평균 일당량 = 3.337 J/cal
㉡예상 결론
-> 줄이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론 “ 마찰을 받는 물질이 액체든 고체든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해준 일과 발생한 열 사이에는 일정한 전환비가 존재하므로 열의 일당량을 정의할 수 있다.”이다.
.
⑥참고문헌 및 출처
1.일반물리학 실험 교재.
2.네이버 지식in
3.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wonder112?Redirect=Log&logNo=110023576280
(예상 결과-줄의 실험)
㉣크랭크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설정도니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돌린후 저항값 Rf와 회전수 N을 기록한후 가열도니 실린더를 식힌 후 위 과정을 반복한다.
⑤예상 측정값 및 예상 결론
㉠예상 측정값
횟수
온도
1
2
3
291
292
291.2
293.4
298.2
294.5
시간 t(sec)
73.5
172.5
90
일당량
(J/cal)
3.500
3.256
3.256
평균 일당량 = 3.337 J/cal
㉡예상 결론
-> 줄이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론 “ 마찰을 받는 물질이 액체든 고체든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해준 일과 발생한 열 사이에는 일정한 전환비가 존재하므로 열의 일당량을 정의할 수 있다.”이다.
.
⑥참고문헌 및 출처
1.일반물리학 실험 교재.
2.네이버 지식in
3.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wonder112?Redirect=Log&logNo=110023576280
(예상 결과-줄의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