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목적
2. 이론
3. 실험 장비
4, 실험 방법(과정)
5. 실험 시 주의사항
6. 실험 결과
7. 결과 분석 (결론)
2. 이론
3. 실험 장비
4, 실험 방법(과정)
5. 실험 시 주의사항
6. 실험 결과
7. 결과 분석 (결론)
본문내용
OH)2와 공기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탄산석회가 생기고, 시멘트속에 C3A는 수화작용에 의해 석고와 물을 결합하여 시멘트 bazillus를 만든다. 이와 같은 반응으로 시멘트 입자의 포면은 화합물의 피막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작용이 저지되면 반응에 따른 C3A가 감소되므로 응결이 늦어지고 강도가 낮아진다.
시멘트의 저장기간과 비중의 변화
저장기간(개월)
0
1
2
3
6
9
비중
3.14
3.14
3.11
3.09
3.10
3.11
2. 시멘트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비중병에 넣기까지의 과정에서 시멘트의 손실이 발생.
- 시멘트의 무게를 측정한 후,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어 광유로서 그 부피를 측정할 때까지 시멘트의 손실이 있었을 것이다. 운반과정에서 시멘트가 바람에 날려 손실되는 양도 매우 미세한 원인이겠으나 손실의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손실의 주 원인은 깔대기를 통해 시멘트를 털어 넣는 과정에서 깔대기와 병 깊은 안쪽으로 시멘트가 들어가도록 깔대기에 부착한 종이의 표면에 시멘트가 소량 묻어나는 것이다. 실험시에 깔대기에 부착한 종이가 광유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했다. 종이가 광유에 젖게 되면, 시멘트를 넣을 때 광유에 젖은 종이와 흡착력이 증가되어, 종이에 묻어나는 시멘트의 양이 많아 손실이 커진다.
시멘트의 손실이 발생 하면,
시멘트의 밀도 =
위의 식에서 시료의 무게는 손실 전 측정된 값을 사용하므로 오차가 없겠고, 광유에 들어간 시멘트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처음 측정된 시멘트의 무게에 비해서 측정된 시멘트의 부피가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비중병의 읽음 차는 줄어들고 시멘트의 밀도가 크게 측정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3.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
- 광유 속 시멘트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다면 공기의 부피로 인해서 실제 시멘트의 부피보다 부피가 크게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비중병의 읽음 차는 크게 측정 될 것이고 시멘트의 밀도는 실제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나겠다.
4. 비중병의 눈금을 읽을 때 사람의 육안으로 읽는 데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오차.
이외에도 시멘트를 저장하는 동안 불순물이 혼합되어 시멘트의 비중이 줄어들었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오차의 원인에 대해서 생각 해 보았지만, 실험의 결과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측정했을 때,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사실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오차의 원인 중에서도 시멘트의 풍화와 시멘트 손실에 의한 영향이 가장 유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시멘트의 밀도는 배합설계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용적을 계산할 때 사용되며, 시멘트의 밀도를 통해서 그 시멘트의 풍화정도나 시멘트의 종류, 특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의 밀도 실험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멘트의 밀도만으로 그 시멘트의 풍화도를 판단해서는 안되며, 시멘트의 저장시에 풍화작용의 여부에 따라 밀도는 작아지고 시멘트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저장할 때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시멘트의 저장기간과 비중의 변화
저장기간(개월)
0
1
2
3
6
9
비중
3.14
3.14
3.11
3.09
3.10
3.11
2. 시멘트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비중병에 넣기까지의 과정에서 시멘트의 손실이 발생.
- 시멘트의 무게를 측정한 후,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어 광유로서 그 부피를 측정할 때까지 시멘트의 손실이 있었을 것이다. 운반과정에서 시멘트가 바람에 날려 손실되는 양도 매우 미세한 원인이겠으나 손실의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손실의 주 원인은 깔대기를 통해 시멘트를 털어 넣는 과정에서 깔대기와 병 깊은 안쪽으로 시멘트가 들어가도록 깔대기에 부착한 종이의 표면에 시멘트가 소량 묻어나는 것이다. 실험시에 깔대기에 부착한 종이가 광유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했다. 종이가 광유에 젖게 되면, 시멘트를 넣을 때 광유에 젖은 종이와 흡착력이 증가되어, 종이에 묻어나는 시멘트의 양이 많아 손실이 커진다.
시멘트의 손실이 발생 하면,
시멘트의 밀도 =
위의 식에서 시료의 무게는 손실 전 측정된 값을 사용하므로 오차가 없겠고, 광유에 들어간 시멘트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처음 측정된 시멘트의 무게에 비해서 측정된 시멘트의 부피가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비중병의 읽음 차는 줄어들고 시멘트의 밀도가 크게 측정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3.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
- 광유 속 시멘트의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았다면 공기의 부피로 인해서 실제 시멘트의 부피보다 부피가 크게 측정될 것이다. 따라서 비중병의 읽음 차는 크게 측정 될 것이고 시멘트의 밀도는 실제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나겠다.
4. 비중병의 눈금을 읽을 때 사람의 육안으로 읽는 데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오차.
이외에도 시멘트를 저장하는 동안 불순물이 혼합되어 시멘트의 비중이 줄어들었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오차의 원인에 대해서 생각 해 보았지만, 실험의 결과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측정했을 때, 소수점 둘째 자리 이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사실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오차의 원인 중에서도 시멘트의 풍화와 시멘트 손실에 의한 영향이 가장 유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시멘트의 밀도는 배합설계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용적을 계산할 때 사용되며, 시멘트의 밀도를 통해서 그 시멘트의 풍화정도나 시멘트의 종류, 특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시멘트의 밀도 실험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멘트의 밀도만으로 그 시멘트의 풍화도를 판단해서는 안되며, 시멘트의 저장시에 풍화작용의 여부에 따라 밀도는 작아지고 시멘트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저장할 때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