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논의의 배경
2. 새로운 무역이론
3. 새로운 무역이론: 규모의 경제, 불완전경쟁의 무역이론
4. 마샬외부성과 국제무역
5. 독점적 경쟁과 제품차별화
6. 독점적 경쟁과 국제무역
2. 새로운 무역이론
3. 새로운 무역이론: 규모의 경제, 불완전경쟁의 무역이론
4. 마샬외부성과 국제무역
5. 독점적 경쟁과 제품차별화
6. 독점적 경쟁과 국제무역
본문내용
MR=MC)에서
대칭기업의 조건에서 S = nQ임. 따라서,
즉 산업내 기업수가 증가하면 각 기업이 설정하는 가격은 하락함. (그림에서 곡선 PP).
균형기업수
가격 PP CC
E
기업수
- 균형기업수는 이며 그때의 재화의 균형가격은 임.
균형에서 개별기업의 이윤은 제로이며, 따라서 점 E는 장기균형점.
기업수가 이면 양(+)의 이윤발생⇒신규기업의 진입
기업수가 이면 음(-)의 이윤⇒기업의 퇴출
- 이상에서 균형기업수와 기업이 설정하는 평균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독점적 경쟁산업의 모델을 전개하였음.
이 모델을 이용하면 국제무역에서 규모경제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검토가능함.
- 독점적 경쟁 모델의 한계
독점적 경쟁 모델에서는 과점시장에서 보여지는 기업간의 상호의존관계를 고려할 수가 없음. 즉 기업의 전략적 행동, 기업간의 공모 등을 설명하기가 어려움.
□ 독점적 경쟁과 무역
- 독점적 경쟁 모델의 무역에의 응용에서 기본적인 생각은 무역은 시장규모를 확대한다는 것임.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되는 재화의 수와 생산규모는 시장규모에 의해 제약을 받음. 따라서 무역은 이러한 제약을 완화시킴.
- 각국은 무역을 안하는 경우보다 무역을 행함으로써
ⅰ) 더욱 좁은 범위의 재화생산에 특화하여 규모의 경제를 이용함.
ⅱ) 재화의 구입으로 소비자의 다양성은 증가.
즉, 각국의 자원, 기술 등의 차이가 없어도 무역은 쌍방에 이익을 줄 수 있음.
- 시장규모 확대의 효과
독점적 경쟁에서 재화의 수(n), 재화의 가격(P)은 시장규모(S)에 의해 영향을 받음.
즉, S ↑ ⇒ n ↑, Q ↑, P↓
규모가 큰 시장의 소비자는 규모가 작은 시장의 소비자보다도 더욱 낮은 가격으로 더욱 많은 종류의 재화를 입수할 수 있음.
시장확대⇒ 곡선 C1C1에서 C2C2 로 이동⇒n↑, P↓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작은 규모의 시장보다도 큰 규모의 시장에 참가하는게 훨씬 유리함.
기업수와 평균비용과의 관계
가격 PP
1
2
기업수
□ 통합시장의 이익(numerical example):
무역전
자국시장
무역전
외국시장
무역후
통합시장
자동차 총매출
90만대
160만대
250만대
기업수
6
8
10
1사당 매출
15만대
20만대
25만대
평균비용
10,000달러
8,750달러
8,000달러
가격
10,000달러
8,750달러
8,000달러
- 통합의 결과, 다음의 이득이 존재
소비자의 선택의 폭 증가
각 기업의 생산량 증가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에 의한 저가격 판매가 가능해짐.
□ 규모의 경제와 비교우위
- 독점적 경쟁의 무역모델에서 규모의 경제의 결과로 생기는 무역패턴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언급되지 않고 있음.
모델의 가정: 생산비용은 양국이 동일, 수송비는 존재하지 않음
- 다만 무역후의 통합시장에서 기업이 10사 존재하나 기업의 입지(location)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즉, 어느 기업이 어떠한 제품을 수출하는지에 대해서는 정보가 없음(무역패턴을 알 수 없음).
- 무역패턴을 보기 위해 비교우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고찰하자. 다음 가정을 설정함.
2국(H국, F국), 2생산요소(L, K)
자국이 자본풍부국[즉, 임]
자본집약적 공업제품은 차별재생산의 독점적 경쟁의 시장구조이며, 노동집약적의 식품은 완전경쟁의 시장구조임.
- 공업제품의 독점적 경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무역패턴은 크게 달라짐. 이를 현저히 보기 위해 공업제품 부문이 완전경쟁의 동질재를 생산하는 경우와 대비하기로 하자.
- 공업제품이 차별화되지 않았다면 무역패턴은 H=O 의 경우와 동일함. 즉, 자본풍부국인 H국은 자본집약재인 공업제품을 수출하고 노동풍부국인 F국은 노동집약재인 식품을 수출할 것임.
자국
자본풍부국
공업제품 식료품
외국
노동풍부국
- 공업제품이 차별화되고 독점적 경쟁의 경우: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므로, 무역의 결과, 어느 국가도 자기 자신이 모든 제품을 생산할 수는 없음.
따라서 양국은 어느 정도는 공업제품을 생산할 것이나 서로 다른(즉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할 것.
공업제품 식료품
자국
자본풍부국
산업간무역
외국
노동풍부국
산업내무역
무역패턴: H국은 공업제품의 순수출국, 식품의 수입국
F국은 공업제품의 순수입국, 식품의 수출국
- 무역패턴에 대한 4가지의 주의점
ⅰ) 산업간 무역은 비교우위를 반영함.
ⅱ) 산업내 무역은 비교우위를 반영한 것이 아님.
즉, 각국이 동일한 자본/노동 비율을 가진다해도 각 기업은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며 해외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에 의해 국제무역이 발생함.
각국이 모든 재화를 자신이 생산하지 않는 것은 비교우위 때문이 아니고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기 때문
ⅲ) 산업내 무역의 무역패턴에 대해서는 예측이 불가능
ⅳ) 산업내 무역과 산업간 무역의 상대적 비중은 각국이 어느 정도 유사한가에 의존함.
양국간 자본/노동 비율이 유사할수록 산업간무역 비중↓,
산업내무역 비중↑
양국간 자본/노동 비율이 다를수록 산업간무역 비중↑,
산업내무역 비중↓
□ 산업내 무역의 의의
- 동종 산업내에서의 무역을 의미: 일반적으로 통계적으로는 SITC 4단위내에서의 무역을 많이 이용함.
- 일반적으로 선진국은 자본, 노동, 기술수준, 숙련노동 등 많은 점에서 유사함.
⇒ 선진국간에는 산업내 무역의 비중이 높아짐.
- 산업내무역지수: i제품에 대한 j국과의 산업내무역지수()는,
: i제품의 j국에 대한 수출
: i제품의 j국으로부터의 수입
□ 왜 산업내무역이 중요한가?
- 대부분의 국가에서 산업내무역의 비중이 매우 높음(특히 선진국간에). 세계무역의 1/4이 산업내무역임.
ⅰ) 산업내무역은 비교우위에서 생기는 이익에 추가적인 이익을 가져다 줌. 즉 산업내무역은 시장규모 확대에 의한 이익을 주기때문임.
산업내무역⇒ 각국은 생산하는 재화종류를 감소 ⇒ 규모경제의 달성
소비자는 더욱 다양한 소비 가능 ⇒ 선택범위의 확대
ⅱ) 소득분배상의 문제가 약화됨.
H=O의 산업간 무역⇒상대가격의 변화⇒ 소득분배의 문제를 야기
규모경제의 산업내 무역⇒ 상대가격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적어도 공업제품간에)⇒ 소득분배가 문제시되지 않음.
대칭기업의 조건에서 S = nQ임. 따라서,
즉 산업내 기업수가 증가하면 각 기업이 설정하는 가격은 하락함. (그림에서 곡선 PP).
균형기업수
가격 PP CC
E
기업수
- 균형기업수는 이며 그때의 재화의 균형가격은 임.
균형에서 개별기업의 이윤은 제로이며, 따라서 점 E는 장기균형점.
기업수가 이면 양(+)의 이윤발생⇒신규기업의 진입
기업수가 이면 음(-)의 이윤⇒기업의 퇴출
- 이상에서 균형기업수와 기업이 설정하는 평균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독점적 경쟁산업의 모델을 전개하였음.
이 모델을 이용하면 국제무역에서 규모경제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검토가능함.
- 독점적 경쟁 모델의 한계
독점적 경쟁 모델에서는 과점시장에서 보여지는 기업간의 상호의존관계를 고려할 수가 없음. 즉 기업의 전략적 행동, 기업간의 공모 등을 설명하기가 어려움.
□ 독점적 경쟁과 무역
- 독점적 경쟁 모델의 무역에의 응용에서 기본적인 생각은 무역은 시장규모를 확대한다는 것임.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되는 재화의 수와 생산규모는 시장규모에 의해 제약을 받음. 따라서 무역은 이러한 제약을 완화시킴.
- 각국은 무역을 안하는 경우보다 무역을 행함으로써
ⅰ) 더욱 좁은 범위의 재화생산에 특화하여 규모의 경제를 이용함.
ⅱ) 재화의 구입으로 소비자의 다양성은 증가.
즉, 각국의 자원, 기술 등의 차이가 없어도 무역은 쌍방에 이익을 줄 수 있음.
- 시장규모 확대의 효과
독점적 경쟁에서 재화의 수(n), 재화의 가격(P)은 시장규모(S)에 의해 영향을 받음.
즉, S ↑ ⇒ n ↑, Q ↑, P↓
규모가 큰 시장의 소비자는 규모가 작은 시장의 소비자보다도 더욱 낮은 가격으로 더욱 많은 종류의 재화를 입수할 수 있음.
시장확대⇒ 곡선 C1C1에서 C2C2 로 이동⇒n↑, P↓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작은 규모의 시장보다도 큰 규모의 시장에 참가하는게 훨씬 유리함.
기업수와 평균비용과의 관계
가격 PP
1
2
기업수
□ 통합시장의 이익(numerical example):
무역전
자국시장
무역전
외국시장
무역후
통합시장
자동차 총매출
90만대
160만대
250만대
기업수
6
8
10
1사당 매출
15만대
20만대
25만대
평균비용
10,000달러
8,750달러
8,000달러
가격
10,000달러
8,750달러
8,000달러
- 통합의 결과, 다음의 이득이 존재
소비자의 선택의 폭 증가
각 기업의 생산량 증가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에 의한 저가격 판매가 가능해짐.
□ 규모의 경제와 비교우위
- 독점적 경쟁의 무역모델에서 규모의 경제의 결과로 생기는 무역패턴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언급되지 않고 있음.
모델의 가정: 생산비용은 양국이 동일, 수송비는 존재하지 않음
- 다만 무역후의 통합시장에서 기업이 10사 존재하나 기업의 입지(location)에 대해서는 알 수 없음.
즉, 어느 기업이 어떠한 제품을 수출하는지에 대해서는 정보가 없음(무역패턴을 알 수 없음).
- 무역패턴을 보기 위해 비교우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고찰하자. 다음 가정을 설정함.
2국(H국, F국), 2생산요소(L, K)
자국이 자본풍부국[즉, 임]
자본집약적 공업제품은 차별재생산의 독점적 경쟁의 시장구조이며, 노동집약적의 식품은 완전경쟁의 시장구조임.
- 공업제품의 독점적 경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무역패턴은 크게 달라짐. 이를 현저히 보기 위해 공업제품 부문이 완전경쟁의 동질재를 생산하는 경우와 대비하기로 하자.
- 공업제품이 차별화되지 않았다면 무역패턴은 H=O 의 경우와 동일함. 즉, 자본풍부국인 H국은 자본집약재인 공업제품을 수출하고 노동풍부국인 F국은 노동집약재인 식품을 수출할 것임.
자국
자본풍부국
공업제품 식료품
외국
노동풍부국
- 공업제품이 차별화되고 독점적 경쟁의 경우: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므로, 무역의 결과, 어느 국가도 자기 자신이 모든 제품을 생산할 수는 없음.
따라서 양국은 어느 정도는 공업제품을 생산할 것이나 서로 다른(즉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할 것.
공업제품 식료품
자국
자본풍부국
산업간무역
외국
노동풍부국
산업내무역
무역패턴: H국은 공업제품의 순수출국, 식품의 수입국
F국은 공업제품의 순수입국, 식품의 수출국
- 무역패턴에 대한 4가지의 주의점
ⅰ) 산업간 무역은 비교우위를 반영함.
ⅱ) 산업내 무역은 비교우위를 반영한 것이 아님.
즉, 각국이 동일한 자본/노동 비율을 가진다해도 각 기업은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며 해외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에 의해 국제무역이 발생함.
각국이 모든 재화를 자신이 생산하지 않는 것은 비교우위 때문이 아니고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기 때문
ⅲ) 산업내 무역의 무역패턴에 대해서는 예측이 불가능
ⅳ) 산업내 무역과 산업간 무역의 상대적 비중은 각국이 어느 정도 유사한가에 의존함.
양국간 자본/노동 비율이 유사할수록 산업간무역 비중↓,
산업내무역 비중↑
양국간 자본/노동 비율이 다를수록 산업간무역 비중↑,
산업내무역 비중↓
□ 산업내 무역의 의의
- 동종 산업내에서의 무역을 의미: 일반적으로 통계적으로는 SITC 4단위내에서의 무역을 많이 이용함.
- 일반적으로 선진국은 자본, 노동, 기술수준, 숙련노동 등 많은 점에서 유사함.
⇒ 선진국간에는 산업내 무역의 비중이 높아짐.
- 산업내무역지수: i제품에 대한 j국과의 산업내무역지수()는,
: i제품의 j국에 대한 수출
: i제품의 j국으로부터의 수입
□ 왜 산업내무역이 중요한가?
- 대부분의 국가에서 산업내무역의 비중이 매우 높음(특히 선진국간에). 세계무역의 1/4이 산업내무역임.
ⅰ) 산업내무역은 비교우위에서 생기는 이익에 추가적인 이익을 가져다 줌. 즉 산업내무역은 시장규모 확대에 의한 이익을 주기때문임.
산업내무역⇒ 각국은 생산하는 재화종류를 감소 ⇒ 규모경제의 달성
소비자는 더욱 다양한 소비 가능 ⇒ 선택범위의 확대
ⅱ) 소득분배상의 문제가 약화됨.
H=O의 산업간 무역⇒상대가격의 변화⇒ 소득분배의 문제를 야기
규모경제의 산업내 무역⇒ 상대가격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적어도 공업제품간에)⇒ 소득분배가 문제시되지 않음.
추천자료
세계화와 지방화가 각 국가가 처한 상황에 따라 경제활동공간에 발현되는 특징
우리나라 자동차보험 교통법규위반 요소의 적절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통신산업]인도의 통신서비스시장 제도개혁과 발전전략
[무역][무역이론][무역기구][상품사이클][무역 전자화][무역관리정책][무역 평가]무역의 역사...
WTO의 새로운 협상방향과 전망
월마트 기업분석 (영문자료)
Business 관련 기사 영작
SWOT-Air India, Deccan
Joint_Venture
글로벌경제기구의 의의와 종류
번역본입니다^^
[A+] [개방경제의이해] 국제무역론 강의노트 기회비용 비교우위론 비교우위를 결정짓는 요소 ...
국제무역사준비 무역계약기초 및 성립
[A+영어-영문 레포트] Case Study on IKEA - 이케아(IKEA)의 글로벌화 과정, 마케팅,현지화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