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2. 긴급체포의 요건
3. 긴급체포의 절차
4. 관련문제 : 긴급체포의 요건을 결여한 체포 중 작성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2. 긴급체포의 요건
3. 긴급체포의 절차
4. 관련문제 : 긴급체포의 요건을 결여한 체포 중 작성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본문내용
부대 장교들에 대한 동향관찰보고를 통하여 진급, 인사 등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무부대장으로 근무하고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피고인이 관련자들과의 접촉을 통하여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고 보이므로, 피고인을 긴급체포할 당시 그 요건의 충족 여부에 관한 검찰관의 판단이 경험칙에 비추어 현저히 합리성을 잃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고, 긴급체포 당시 피고인이 범죄사실의 요지, 긴급체포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고지 받았고 변명의 기회가 주어진 사실도 인정되므로, 피고인에 대한 긴급체포가 적법하게 이루어졌음을 전제로 검찰관 작성의 피고인에 대한 각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긴급체포의 요건 및 증거능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추천자료
초상권과 알권리의 갈등에 관한 연구 - 영상취재를 중심으로 -
반민특위의 활동
[형사소송법]형사절차상의 검사의 지위
(국제형사경찰기구) 인터폴에 대한 이해와 해부-INTERPOL
범죄수사론(시험대비)
신체의 자유
[서평, 독후감] 『블랙 라이크 미(black like me)』 _ 존 하워드 그리핀 저
<불심검문 및 무기의 사용> 1. 불심검문 (판례, 내용) & 2. 무기의 사용 (판례, 내용)
[토론thoron문] 흉악범 얼굴 공개에 대한 찬성과 반대
2016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형사소송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