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필요성
Ⅲ.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실태
1. 소외된 성
2. 성관계는 남자가 여자에게 베푸는 것
3. 오르가슴을 못 느끼면 불행하다
Ⅳ.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십계명
Ⅴ.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딘스족
Ⅵ.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성문제
Ⅶ.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문제 사례
Ⅷ.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Ⅱ.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필요성
Ⅲ.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실태
1. 소외된 성
2. 성관계는 남자가 여자에게 베푸는 것
3. 오르가슴을 못 느끼면 불행하다
Ⅳ.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십계명
Ⅴ.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딘스족
Ⅵ.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성문제
Ⅶ.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문제 사례
Ⅷ.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쁠 때나 슬플 때나 동고동락하며 검은 머리가 파뿌리 되도록 해로하겠노라고 맹세했던 사이 아닌가? 부부간의 섹스는 부부생활 그 자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부부간의 다정한 대화도 섹스요, 가벼운 입맞춤도 섹스다. 단순한 스킨십(skinship)만으로도 쾌감을 느낄 수 있고 아무런 육체적 접촉이 없이 정신적 교감을 이루는 것도 섹스이기 때문이다. 구체적 성기결합만이 섹스라고 주장하는 사이라면 벌써 갈라진 애정의 틈새에 갈등과 불신이 깔려 있는 부부다.
Ⅷ.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방향
오늘날 사회가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해지면서 부부간의 문제가 심심치 않게 노출되고 있다. 그러한 것들 중 하나가 부부간의 성문제라 할 수 있다.
과거 우리 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부부간에 갈등이 야기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처럼 생각되어 왔다. 왜냐하면 이런 문제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관계로 우선 노출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내로서의 여성들은 이러한 문제를 남편의 허물로 항의하거나 불평하는 것은 올바른 부덕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교육받았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여성들은 설혹 이러한 문제로 갈등을 겪게 되거나 불행을 경험하게 되어도 운명적으로 순응하며 가정을 지키는 보루의 역할을 해내었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는 크게 변화되었다. 우선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주종적 관계에서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조정되었다. 그리고 결혼의 개념도 여성은 남성에 종속된 존재라는 차원에서 동등한 인격체의 만남이라는 민주적 선택의 의미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우선 여성의 남성에 대한 태도에서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도 남성의 외도가 부정적인 것이었음에는 틀림없었지만 적어도 용인 받을 수는 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부정적인 정도가 아니라 용인될 수 없는 행위가 되었다. 그래서 이것은 당연한 이혼사유가 되고, 또 그로 인해 이혼하는 부부가 생겨날 만큼 우리 사회도 변화하였다.
이것은 전통적 관념에서는 가정의 불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변화라 하겠지만 사회의 전체적 맥락에서는 긍정적 측면이 많은 변화라 할 수 있다. 이제 성의 윤리적 측면에서 여성이 침묵하는 시대는 지났다. 부부관계란 여전히 부부 두 사람 간의 사생활의 문제이지만, 어느 한 편이 인격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것은 용인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점에서 남성들은 원만한 부부관계를 위해서 기존에 습관되어 온 남성위주의 성윤리나 성관계를 포기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간본위의 윤리를 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부부관계에서 인간 본위의 윤리란 첫째로 여성을 독립된 그리고 동등한 인격체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여성에게도 성생활을 포함한 모든 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둘째로 부부생활에서의 만족을 여성인 아내와 공유하려는 나눔의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부부관계가 남성위주로서가 아니라 함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되면 그것은 진정으로 하나가 되는 일체감을 가져다 줄 것이다.
셋째로 부부관계에서 순결은 여성만의 의무가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부부관계의 진정한 사랑은 오직 배우자 한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여자에게 동시에 나누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부부간의 사랑이 될 수 없으며, 단지 일탈적 성 만족을 위한 핑계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제는 순결이 남성에게도 지켜져야 할 의무이며 덕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Ⅸ. 결론
부부 중 혼 외 관계가 부부의 관계를 깨뜨리게 하는 요소이며 부부의 관계에 있어서 치명적인 오점이 될 수 있다.
결혼하기 전부터 여인은 몸을 잘 간수하여야 하며 또한 결혼 후에 부부는 서로의 실행(失行)이 없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남자들이건 자기 부인을 내어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자는 본성적으로 범죄 한 것이며, 뿐만 아니라 부인도 자기 남편을 버리고 다른 데로 시집가면 성적으로 용서받을 수 없다고 성경은 말한다.
간음하지 말라는 계명은 부부 사랑의 유희에 가장 기본적인 도리이다. 혼인한 자들에게 내가 명하노니 여자는 남편에게서 갈리지 말고 만일 갈릴지라도 그냥 지나든지 다시 그 남편과 화합하든지 하라 남편도 아내를 버리지 말라. 또 신앙 때문에 결혼 후에 믿지 않는 남편이나 아내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를 버리지 말라며 서로 화평하기를 바란다.
그 남은 사람들에게 내가 말하나니 만일 어떤 형제에게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있어 남편과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저를 버리지 말며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속받을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
\"아내 된 자여 네가 남편을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며 남편 된 자여 네가 네 아내를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리요.\"
부부의 인간관계는 서로의 사랑에서부터 출발하여 부부의 사이와 가족의 인간관계를 훌륭히 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가정을 떠나 외도가 성행하고 있는데 미국 부부 중 1/4이 혼외 섹스를 즐긴다고 한다. 우리 나라도 부부가 아닌 애인 만들기 유행병에 걸린 사회의 이면을 보면서 부부의 정상적인 관계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 안명옥(1996), 여성 종합 병원, (주)프레스빌
- 안길인(2000), 부부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이론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 이영숙 외(2001),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 현문사
- 이동원(1991), 사랑과 믿음이 있는 곳에, 서울 : 두란노서원
- 장영민, 부부간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부부강간죄의 성립여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수
- 피즈&피즈(2002),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서울 : 가야넷
Ⅷ. 부부 성생활(섹스, sex)의 방향
오늘날 사회가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해지면서 부부간의 문제가 심심치 않게 노출되고 있다. 그러한 것들 중 하나가 부부간의 성문제라 할 수 있다.
과거 우리 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부부간에 갈등이 야기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처럼 생각되어 왔다. 왜냐하면 이런 문제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관계로 우선 노출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내로서의 여성들은 이러한 문제를 남편의 허물로 항의하거나 불평하는 것은 올바른 부덕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교육받았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여성들은 설혹 이러한 문제로 갈등을 겪게 되거나 불행을 경험하게 되어도 운명적으로 순응하며 가정을 지키는 보루의 역할을 해내었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는 크게 변화되었다. 우선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주종적 관계에서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조정되었다. 그리고 결혼의 개념도 여성은 남성에 종속된 존재라는 차원에서 동등한 인격체의 만남이라는 민주적 선택의 의미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우선 여성의 남성에 대한 태도에서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도 남성의 외도가 부정적인 것이었음에는 틀림없었지만 적어도 용인 받을 수는 있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부정적인 정도가 아니라 용인될 수 없는 행위가 되었다. 그래서 이것은 당연한 이혼사유가 되고, 또 그로 인해 이혼하는 부부가 생겨날 만큼 우리 사회도 변화하였다.
이것은 전통적 관념에서는 가정의 불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변화라 하겠지만 사회의 전체적 맥락에서는 긍정적 측면이 많은 변화라 할 수 있다. 이제 성의 윤리적 측면에서 여성이 침묵하는 시대는 지났다. 부부관계란 여전히 부부 두 사람 간의 사생활의 문제이지만, 어느 한 편이 인격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것은 용인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점에서 남성들은 원만한 부부관계를 위해서 기존에 습관되어 온 남성위주의 성윤리나 성관계를 포기하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인간본위의 윤리를 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부부관계에서 인간 본위의 윤리란 첫째로 여성을 독립된 그리고 동등한 인격체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여성에게도 성생활을 포함한 모든 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둘째로 부부생활에서의 만족을 여성인 아내와 공유하려는 나눔의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부부관계가 남성위주로서가 아니라 함께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되면 그것은 진정으로 하나가 되는 일체감을 가져다 줄 것이다.
셋째로 부부관계에서 순결은 여성만의 의무가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부부관계의 진정한 사랑은 오직 배우자 한 사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여자에게 동시에 나누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부부간의 사랑이 될 수 없으며, 단지 일탈적 성 만족을 위한 핑계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제는 순결이 남성에게도 지켜져야 할 의무이며 덕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Ⅸ. 결론
부부 중 혼 외 관계가 부부의 관계를 깨뜨리게 하는 요소이며 부부의 관계에 있어서 치명적인 오점이 될 수 있다.
결혼하기 전부터 여인은 몸을 잘 간수하여야 하며 또한 결혼 후에 부부는 서로의 실행(失行)이 없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남자들이건 자기 부인을 내어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자는 본성적으로 범죄 한 것이며, 뿐만 아니라 부인도 자기 남편을 버리고 다른 데로 시집가면 성적으로 용서받을 수 없다고 성경은 말한다.
간음하지 말라는 계명은 부부 사랑의 유희에 가장 기본적인 도리이다. 혼인한 자들에게 내가 명하노니 여자는 남편에게서 갈리지 말고 만일 갈릴지라도 그냥 지나든지 다시 그 남편과 화합하든지 하라 남편도 아내를 버리지 말라. 또 신앙 때문에 결혼 후에 믿지 않는 남편이나 아내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를 버리지 말라며 서로 화평하기를 바란다.
그 남은 사람들에게 내가 말하나니 만일 어떤 형제에게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있어 남편과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저를 버리지 말며 어떤 여자에게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있어 아내와 함께 살기를 좋아하거든 그 남편을 버리지 말라 믿지 아니하는 남편이 아내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고 믿지 아니하는 아내가 남편으로 인하여 거룩하게 되나니 그렇지 아니하면 너희 자녀도 깨끗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혹 믿지 아니하는 자가 갈리거든 갈리게 하라 형제나 자매나 이런 일에 구속받을 것이 없느니라 그러나 하나님은 화평 중에서 너희를 부르셨느니라.
\"아내 된 자여 네가 남편을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며 남편 된 자여 네가 네 아내를 구원할는지 어찌 알 수 있으리요.\"
부부의 인간관계는 서로의 사랑에서부터 출발하여 부부의 사이와 가족의 인간관계를 훌륭히 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가정을 떠나 외도가 성행하고 있는데 미국 부부 중 1/4이 혼외 섹스를 즐긴다고 한다. 우리 나라도 부부가 아닌 애인 만들기 유행병에 걸린 사회의 이면을 보면서 부부의 정상적인 관계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 안명옥(1996), 여성 종합 병원, (주)프레스빌
- 안길인(2000), 부부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이론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 이영숙 외(2001), 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 현문사
- 이동원(1991), 사랑과 믿음이 있는 곳에, 서울 : 두란노서원
- 장영민, 부부간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부부강간죄의 성립여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수
- 피즈&피즈(2002),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서울 : 가야넷
추천자료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
동거와 미혼모, 낙태의 문제점
여성의 불륜에 대하여
우리사회의 가정폭력과 가족문제
법은 침실로 들어 올 수 있는가?
외도에 관한 성경적 입장
★★★부부강간의 개념과 심각성 및 부부강간 대처방안★★★
강제적 섹스 - 성희롱과 성폭력(성희롱,성폭력,성희롱과성폭력,성희롱유형,성폭력유형,성희롱...
가족복지론_전통적 가족 개념과 현대적 가족 개념 및 가족의 기능
신혼부부교육프로그램(신혼기부부문제, 신혼기이혼, 신혼부부프로그램계획서, 가족프로그램, ...
가족관계론_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의 특성과 현대 가족의 특성에 대해 각각 비교, 정리하고,...
가족의 개념과 특성, 가족의 기능 및 형태
[성행동의 유형] 혼전성교, 부부간의 성, 혼외정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