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서양음악의 흐름
1. 고대음악 - 기원전 ~ 4세기
2. 중세음악 - 4세기 ~ 14세기
3. 르네상스음악 - 14세기 ~ 16세기
4. 바로크음악 - 17세기 ~ 18세기
5. 고전파음악 - 18세기후반 ~ 19세기초
6. 낭만파음악 - 19세기
7. 국민악파음악 - 19세기 후반
8. 인상파음악 - 19세기말
9. 현대음악 - 20세기초
Ⅲ. 서양음악 근대음악
Ⅳ. 서양음악 중세음악
Ⅴ. 서양음악 바로크시대음악
Ⅵ. 서양음악 고전주의음악
Ⅶ. 서양음악 낭만주의음악
Ⅷ. 서양음악 현대음악
1. 인상주의
2. 원시주의
3. 표현주의
4. 신고전주의
5. 12음 기법 = 음열주의
참고문헌
Ⅱ. 서양음악의 흐름
1. 고대음악 - 기원전 ~ 4세기
2. 중세음악 - 4세기 ~ 14세기
3. 르네상스음악 - 14세기 ~ 16세기
4. 바로크음악 - 17세기 ~ 18세기
5. 고전파음악 - 18세기후반 ~ 19세기초
6. 낭만파음악 - 19세기
7. 국민악파음악 - 19세기 후반
8. 인상파음악 - 19세기말
9. 현대음악 - 20세기초
Ⅲ. 서양음악 근대음악
Ⅳ. 서양음악 중세음악
Ⅴ. 서양음악 바로크시대음악
Ⅵ. 서양음악 고전주의음악
Ⅶ. 서양음악 낭만주의음악
Ⅷ. 서양음악 현대음악
1. 인상주의
2. 원시주의
3. 표현주의
4. 신고전주의
5. 12음 기법 = 음열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립적인 것은 아니었다. 적어도 예술작품을 놓고 볼 때 이 점은 분명하다.
프랑스 혁명이후에 계속된 정치적 변혁, 산업혁명으로 야기된 삶의 기계화와 평중화, 인간소외의 현상, 다가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보이지 않는 손’의 신화가 점차 내보이기 시작한 어두운 그림자가 던져주는 불안감등은 낭만주의 예술에서 그 안식처를 찾으려고 하였다. 바그너 오페라는 이렇게 좌절된 인간 심정에 대한 과잉보상이었다. 사람들은 혁명 이후 자신을 받쳐 줄 일체의 외부적 근거를 상실하고 말았으며, 따라서 자기 안에서 그것을 찾고자 하였다. 음악가들은 이제 자기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따라 자기 방식대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표현하게 되었다. 질풍노도 문학의 주된 테마였던 개인주의가 음악에도 침투한 것이다. 작곡행위는 이제 본질적으로 자기 표현행위가 되었다. 음악가들은 자기 자신의 세계와 사회적 환경과의 조화로운 공존에 실패했으며, 자신의 내면으로 고개를 돌리고 말았다. 끊임없는 사회적 변동 속에서 음악은 이러한 사회적 계기들을 음악으로 표현해 내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구체적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표제 음악이나 오페라에서도 이러한 시도의 편린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오페라는 여전히 ‘과거’에의 집착을 버리지 않았고, 순수음악은 소박한 낭만주의적 감성을 노래했을 뿐이다.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은 자연의 찬미나 신화적인 소재에의 집착, 구원의 모티브에 대한 갈망과 같은 현실도피적 성향을 띠고 있었다. 낭만주의 정신에 대한 투쟁은 19세기의 음악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음악에 있어서 19세기의 낭만주의는 외재적 목적으로부터의 해방, 후원자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음악은 이제 예술과 삶에 근본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디어니소느적 충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낭만주의 음악에서 이 충동은 작품 내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예술적 진보의 전제조건으로서 자율성의 확립은 무엇보다도 소중한 낭만주의의 선물이었다. 역사에 있어서 비약이란 없다. 음악은 자신을 지배해 온 형이상학적 제약들로부터 독립해 그 자체의 형식적 가능성을 마음껏 탐지해 본 다음에야 비로소 그 후의 사회적 계기들을 작품 속에 반영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기 때문이다.
Ⅷ. 서양음악 현대음악
1. 인상주의
19세기 주관주의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 미술의 색채와 감각을 음악에 표현한 것이다. 프랑스의 드뷔시가 창안한 인상주의 음악은 낭만주의에서 현대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 악파이다.
자연으로부터 받은 순간적인 인상을 그린 음악으로 반음계적 변화, 5음 음계, 복잡한 화음 구조, 관현악법의 변화 등을 통해 새로운 색채를 표현하였다.
인상주의와 낭만주의는 민감한 감수성에 호소하는 것을 중히 여긴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인상주의는 공감각을 중요시 여겨 객관적인 것을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고도의 기교 과시가 없지만, 낭만주의는 객관적이며 고도의 기교 과시가 있다는 점에서 인상주의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2. 원시주의
19세기말 문화적으로 찬란한 당시 유럽의 시민 계급에 대한 권태로 인해, 원시적 생명력에 대한 동경에서 온 것이다. 당시 음악의 지나치게 세련된 음악에 이국적인 제재를 도입하여 새로운 것을 표현함으로써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음악이라 하겠다. 기법 상으로는 일정한 리듬을 반복하거나 폴리리듬을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스트라빈스키\"가 있다.
3. 표현주의
20세기 초 독일의 쇤베르크를 중심으로 일어난 표현주의는 인상주의와의 대립으로 인간의 내면적인 생활을 밖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당시 세계대전의 불안에 따른 사람들의 마음을 거의 광란에 가까운 격정을 보여주는데 이는 새로운 음악의 본질이 되어 극단적인 불협화음과 무조의 멜로디 등을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추상세계라고 할 만한 12음 기법에 이르는 과도기에 있어서 표현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
4. 신고전주의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음악의 뿌리를 되찾고자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스트라빈스키, 힌데미트\"에 의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신고전주의\"가 일어났다.
신고전주의는 감정의 절제, 간결한 형식미 등 고전주의적 개념을 추구하지만, 이는 고전주의를 부활시키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 낭만주의의 과장된 표현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으며, 새로움을 가짐과 동시에 전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들에 이어 \"바르토크\"는 직접 인근 국가들의 마을로 돌아다니면서 농부들의 노래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민속음악에 대한 인식을 보다 풍부하게 지니게 되어 새로운 민속 음악 어법을 창조하였다.
5. 12음 기법 = 음열주의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반음계주의\"의 증대로 점차 조성이 파괴되어 무조음악이 나타났으며, 쇤베르크는 종래의 조성 음악에서 벗어나 철저한 무조성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12음에 의한 작곡 기법을 창시하였다.
이 기법은 1옥타브 안에 있는 12개의 서로 다른 음을 1회씩 일정한 순서에 따라 사용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음조직을 해체하고 12개의 음을 모두 평등한 가치로 독립시킴으로써 새로운 음의 표현을 시도한 것이다.
따라서 장대한 곡에 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쇤베르크가 취한 음높이 뿐 아니라 리듬, 강약 까지도 순열적인 사용에 의해 정밀한 음악 감각을 표현하는 음열주의가 대두된다.
이 음악은 쇤베르크의 제자 베베른과 베르크에 의해서 계승되었고 제2차 대전 후에는 여러 나라에 보급되어 더욱 새로운 발전을 보였다.
그러나 쇤베르크의 제자인 베르크와 베베른의 음열 방식은 쇤베르크와 다소 다르다. 베르크는 12음기법의 무조음악과 전통적인 음악을 조합하고 있으며, 베베른은 베르크보다 훨씬 더 전위적이며 음열의 사용에서도 더욱 엄격하다.
참고문헌
신동헌(2000), 재미있는 음악사이야기, 서울미디어
세광 음악 출판사 편집국(1996), 서양 음악사
양일용(2000), 서양음악사, 편집부
홍정수, 두길 서양 음악사, 나남출판사
홍세원, 서양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R. 캐미언, 김학민 역(1993), 서양음악의 유산, 예솔
프랑스 혁명이후에 계속된 정치적 변혁, 산업혁명으로 야기된 삶의 기계화와 평중화, 인간소외의 현상, 다가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보이지 않는 손’의 신화가 점차 내보이기 시작한 어두운 그림자가 던져주는 불안감등은 낭만주의 예술에서 그 안식처를 찾으려고 하였다. 바그너 오페라는 이렇게 좌절된 인간 심정에 대한 과잉보상이었다. 사람들은 혁명 이후 자신을 받쳐 줄 일체의 외부적 근거를 상실하고 말았으며, 따라서 자기 안에서 그것을 찾고자 하였다. 음악가들은 이제 자기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따라 자기 방식대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표현하게 되었다. 질풍노도 문학의 주된 테마였던 개인주의가 음악에도 침투한 것이다. 작곡행위는 이제 본질적으로 자기 표현행위가 되었다. 음악가들은 자기 자신의 세계와 사회적 환경과의 조화로운 공존에 실패했으며, 자신의 내면으로 고개를 돌리고 말았다. 끊임없는 사회적 변동 속에서 음악은 이러한 사회적 계기들을 음악으로 표현해 내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구체적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표제 음악이나 오페라에서도 이러한 시도의 편린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오페라는 여전히 ‘과거’에의 집착을 버리지 않았고, 순수음악은 소박한 낭만주의적 감성을 노래했을 뿐이다.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동경은 자연의 찬미나 신화적인 소재에의 집착, 구원의 모티브에 대한 갈망과 같은 현실도피적 성향을 띠고 있었다. 낭만주의 정신에 대한 투쟁은 19세기의 음악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음악에 있어서 19세기의 낭만주의는 외재적 목적으로부터의 해방, 후원자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음악은 이제 예술과 삶에 근본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디어니소느적 충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낭만주의 음악에서 이 충동은 작품 내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예술적 진보의 전제조건으로서 자율성의 확립은 무엇보다도 소중한 낭만주의의 선물이었다. 역사에 있어서 비약이란 없다. 음악은 자신을 지배해 온 형이상학적 제약들로부터 독립해 그 자체의 형식적 가능성을 마음껏 탐지해 본 다음에야 비로소 그 후의 사회적 계기들을 작품 속에 반영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기 때문이다.
Ⅷ. 서양음악 현대음악
1. 인상주의
19세기 주관주의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 미술의 색채와 감각을 음악에 표현한 것이다. 프랑스의 드뷔시가 창안한 인상주의 음악은 낭만주의에서 현대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 악파이다.
자연으로부터 받은 순간적인 인상을 그린 음악으로 반음계적 변화, 5음 음계, 복잡한 화음 구조, 관현악법의 변화 등을 통해 새로운 색채를 표현하였다.
인상주의와 낭만주의는 민감한 감수성에 호소하는 것을 중히 여긴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인상주의는 공감각을 중요시 여겨 객관적인 것을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고도의 기교 과시가 없지만, 낭만주의는 객관적이며 고도의 기교 과시가 있다는 점에서 인상주의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2. 원시주의
19세기말 문화적으로 찬란한 당시 유럽의 시민 계급에 대한 권태로 인해, 원시적 생명력에 대한 동경에서 온 것이다. 당시 음악의 지나치게 세련된 음악에 이국적인 제재를 도입하여 새로운 것을 표현함으로써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음악이라 하겠다. 기법 상으로는 일정한 리듬을 반복하거나 폴리리듬을 사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스트라빈스키\"가 있다.
3. 표현주의
20세기 초 독일의 쇤베르크를 중심으로 일어난 표현주의는 인상주의와의 대립으로 인간의 내면적인 생활을 밖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당시 세계대전의 불안에 따른 사람들의 마음을 거의 광란에 가까운 격정을 보여주는데 이는 새로운 음악의 본질이 되어 극단적인 불협화음과 무조의 멜로디 등을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추상세계라고 할 만한 12음 기법에 이르는 과도기에 있어서 표현주의로 간주될 수 있다.
4. 신고전주의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음악의 뿌리를 되찾고자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스트라빈스키, 힌데미트\"에 의해 프랑스를 중심으로 \"신고전주의\"가 일어났다.
신고전주의는 감정의 절제, 간결한 형식미 등 고전주의적 개념을 추구하지만, 이는 고전주의를 부활시키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 낭만주의의 과장된 표현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으며, 새로움을 가짐과 동시에 전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들에 이어 \"바르토크\"는 직접 인근 국가들의 마을로 돌아다니면서 농부들의 노래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민속음악에 대한 인식을 보다 풍부하게 지니게 되어 새로운 민속 음악 어법을 창조하였다.
5. 12음 기법 = 음열주의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반음계주의\"의 증대로 점차 조성이 파괴되어 무조음악이 나타났으며, 쇤베르크는 종래의 조성 음악에서 벗어나 철저한 무조성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12음에 의한 작곡 기법을 창시하였다.
이 기법은 1옥타브 안에 있는 12개의 서로 다른 음을 1회씩 일정한 순서에 따라 사용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음조직을 해체하고 12개의 음을 모두 평등한 가치로 독립시킴으로써 새로운 음의 표현을 시도한 것이다.
따라서 장대한 곡에 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쇤베르크가 취한 음높이 뿐 아니라 리듬, 강약 까지도 순열적인 사용에 의해 정밀한 음악 감각을 표현하는 음열주의가 대두된다.
이 음악은 쇤베르크의 제자 베베른과 베르크에 의해서 계승되었고 제2차 대전 후에는 여러 나라에 보급되어 더욱 새로운 발전을 보였다.
그러나 쇤베르크의 제자인 베르크와 베베른의 음열 방식은 쇤베르크와 다소 다르다. 베르크는 12음기법의 무조음악과 전통적인 음악을 조합하고 있으며, 베베른은 베르크보다 훨씬 더 전위적이며 음열의 사용에서도 더욱 엄격하다.
참고문헌
신동헌(2000), 재미있는 음악사이야기, 서울미디어
세광 음악 출판사 편집국(1996), 서양 음악사
양일용(2000), 서양음악사, 편집부
홍정수, 두길 서양 음악사, 나남출판사
홍세원, 서양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R. 캐미언, 김학민 역(1993), 서양음악의 유산, 예솔
추천자료
- 슈만 가곡의 반주법과 가곡 연구
- 문학, 미술 속의 라틴아메리카,멕시코: 네 명의 여성화가와 한 남성화가
- 낭만주의 음악 연구
- 바로크 음악 - 기악작품 및 중요 작곡가를 중심으로
- 바로크 음악 - 역사적 배경과 성악작품을 중심으로
- 오페라에 대하여
-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
- 영화 왕과의 춤을 읽고 나 (독후감)
-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음악][문학][미술][발레...
- 바로크 시대와 고전시대에 사용된 음악 용어 내용 및 특징
- [바로크의 음악][바로크의 미술][바로크의 건축][바로크의 장신구][바로크의 연극][바로크의 ...
- 트롬본
- 기말the end of a term고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