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운몽
2. 꿈 형식의 전통을 소급해본다.
3. <조신전>과 <구운몽>의 비교
4. <구운몽>의 몽중세계와 현실세계
2. 꿈 형식의 전통을 소급해본다.
3. <조신전>과 <구운몽>의 비교
4. <구운몽>의 몽중세계와 현실세계
본문내용
서사구조 : 환몽구조 → 현실세계 - 입몽 - 몽중세계 - 각몽 - 현실세계
- 줄거리
ㆍ입몽 전 : 세규사의 농장감독인 조신은 태수 김흔의 딸을 사모하게 된다. 여러 번 낙산사 대비관음께 가서 인연이 맺어지길 빌었으나 그녀는 이미 배필이 정해져 있었고, 조신은 법당에서 소망을 들어주지 않음을 원망하며 슬피 울다 잠이 든다.
ㆍ몽중 : 갑자기 사모하던 김씨가 나타나 함께 살자하니 조신은 기쁜 마음으로 함께 고향으로 간다. 40년을 함께 살며 자식을 다섯 두었는데 너무 가난하여 큰아이가 굶어 죽고, 다른 식구들도 배고픔에 힘들어했다. 결국 부인과 헤어지기로 한 조신은 잠에서 깬다.
ㆍ각몽 후 : 탐욕에 물든 마음은 눈 녹듯 사라지고 그 동안의 잘못을 참회한다. 이후 정토사를 세워 귀의한다.
3.2 <조신전>과 <구운몽>의 공통점과 차이점
조신전
구운몽
공통점
- 환몽구조(현실세계 - 입몽 - 몽중세계 - 각몽 - 현실세계)
- 불교적 사상 : 꿈속에서 깨달음을 얻어 불교로 귀의함.
차이점
-조신은 꿈속에서도 자신 그대로 임.
-조신은 꿈속에서 온갖 고난과 역경을 겪음.
-성진이 환생하여 양소유로 태어남.
-양소유는 일생동안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며 유교이념에 충실한 삶을 살아감.
-구운몽은 불교뿐만 아니라 유교, 도교를 어우른다.
3.3 <조신전>과 <구운몽>의 주제 비교
- <조신전>은 인생무상이라는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꿈속의 내용을 철저히 인생무상에 적합한 고통과 슬픔으로 형상화했고 이 때문에 작품 전체의 구조가 내용과 형식면에서 일관성을 지닌다.
- <구운몽>은 인생무상의 주제를 형상화 하는데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표면적 주제는 인생무상이지만 이면적 주제는 세속적 삶의 즐거움과 소원의 성취라는 영웅소설의 성격을 갖고 있다.
- 즉 구성이나 내용의 다채로움 등은 조신전이 구운몽을 따를 수 없지만 내용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조신전과 비교해서 구운몽은 주제를 표출하는데 상당히 미흡하다고 여겨진다. 만약에 구운몽이 인생무상을 주제로 삼고자 했다면 실제로 꿈속에서 인생무상을 형상화 할 수 있는 구체적 서사 내용을 다루어야 했을 것이다.
4. <구운몽>의 몽중세계와 현실세계
- <구운몽>의 내용 비중을 보면 현실세계는 일부이고 몽중세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것은 작가가 현실세계보다 몽중세계를 중심으로 소설을 썼다고 볼 수 있다.
- 현실세계는 불교의 스님인 성진이 속세를 탐하였다가 꿈을 꾸게 되고, 각몽 후 꿈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불교로 귀의한다는 내용이다. 아주 단순하고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다.
- 물론 꿈속에서 불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건 아니지만, 몽중세계는 유교적 이념이 중시되는 사회이다.
- 만일 성진이 꿈에서 깨지 않고 양소유로 삶을 마감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양소유는 자신이 살아온 삶을 후회하지 않고, 속세에서의 추억을 간직한 채 죽었을 수도 있다.
- 즉 <구운몽>의 궁극적 주제는 성진의 일장춘몽과 불교로의 귀의이지만, 작품의 내용을 본다면 양소유의 속세에서 이룬 부귀와 사랑이 중요하게 이루어져 있다.
- 줄거리
ㆍ입몽 전 : 세규사의 농장감독인 조신은 태수 김흔의 딸을 사모하게 된다. 여러 번 낙산사 대비관음께 가서 인연이 맺어지길 빌었으나 그녀는 이미 배필이 정해져 있었고, 조신은 법당에서 소망을 들어주지 않음을 원망하며 슬피 울다 잠이 든다.
ㆍ몽중 : 갑자기 사모하던 김씨가 나타나 함께 살자하니 조신은 기쁜 마음으로 함께 고향으로 간다. 40년을 함께 살며 자식을 다섯 두었는데 너무 가난하여 큰아이가 굶어 죽고, 다른 식구들도 배고픔에 힘들어했다. 결국 부인과 헤어지기로 한 조신은 잠에서 깬다.
ㆍ각몽 후 : 탐욕에 물든 마음은 눈 녹듯 사라지고 그 동안의 잘못을 참회한다. 이후 정토사를 세워 귀의한다.
3.2 <조신전>과 <구운몽>의 공통점과 차이점
조신전
구운몽
공통점
- 환몽구조(현실세계 - 입몽 - 몽중세계 - 각몽 - 현실세계)
- 불교적 사상 : 꿈속에서 깨달음을 얻어 불교로 귀의함.
차이점
-조신은 꿈속에서도 자신 그대로 임.
-조신은 꿈속에서 온갖 고난과 역경을 겪음.
-성진이 환생하여 양소유로 태어남.
-양소유는 일생동안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며 유교이념에 충실한 삶을 살아감.
-구운몽은 불교뿐만 아니라 유교, 도교를 어우른다.
3.3 <조신전>과 <구운몽>의 주제 비교
- <조신전>은 인생무상이라는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꿈속의 내용을 철저히 인생무상에 적합한 고통과 슬픔으로 형상화했고 이 때문에 작품 전체의 구조가 내용과 형식면에서 일관성을 지닌다.
- <구운몽>은 인생무상의 주제를 형상화 하는데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표면적 주제는 인생무상이지만 이면적 주제는 세속적 삶의 즐거움과 소원의 성취라는 영웅소설의 성격을 갖고 있다.
- 즉 구성이나 내용의 다채로움 등은 조신전이 구운몽을 따를 수 없지만 내용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조신전과 비교해서 구운몽은 주제를 표출하는데 상당히 미흡하다고 여겨진다. 만약에 구운몽이 인생무상을 주제로 삼고자 했다면 실제로 꿈속에서 인생무상을 형상화 할 수 있는 구체적 서사 내용을 다루어야 했을 것이다.
4. <구운몽>의 몽중세계와 현실세계
- <구운몽>의 내용 비중을 보면 현실세계는 일부이고 몽중세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것은 작가가 현실세계보다 몽중세계를 중심으로 소설을 썼다고 볼 수 있다.
- 현실세계는 불교의 스님인 성진이 속세를 탐하였다가 꿈을 꾸게 되고, 각몽 후 꿈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 불교로 귀의한다는 내용이다. 아주 단순하고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다.
- 물론 꿈속에서 불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 건 아니지만, 몽중세계는 유교적 이념이 중시되는 사회이다.
- 만일 성진이 꿈에서 깨지 않고 양소유로 삶을 마감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양소유는 자신이 살아온 삶을 후회하지 않고, 속세에서의 추억을 간직한 채 죽었을 수도 있다.
- 즉 <구운몽>의 궁극적 주제는 성진의 일장춘몽과 불교로의 귀의이지만, 작품의 내용을 본다면 양소유의 속세에서 이룬 부귀와 사랑이 중요하게 이루어져 있다.
추천자료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 구운몽의 문학적 이해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을 읽고
[국문학]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줄거리와 분석
[서포 김만중][구운몽][독서감상문][서평][독후감]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독후감, 서포 김만중...
[서포 김만중][구운몽]서포 김만중과 구운몽의 작품 분석(김만중의 생애, 저작동기, 구운몽의...
[서포 김만중][구운몽][김만중]서포 김만중의 구운몽에 관한 고찰(김만중의 생애, 구운몽의 ...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을 읽고][서포 김만중의 구운몽을 독후감][서포 김만중의 구운몽을 독...
서포 김만중과 구운몽
서포 김만중의 [구운몽]
[국어작문/고전소설] 서포 김만중(金萬重)의 문학사상 및 구운몽,사씨남정기 등 작품분석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