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2
1)연구의 필요성‥‥‥‥‥‥‥‥‥‥‥‥‥‥‥‥‥‥‥‥‥‥‥‥‥‥‥‥
2)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 2
1) 정의 ‥‥‥‥‥‥‥‥‥‥‥‥‥‥‥‥‥‥‥‥‥‥‥‥‥‥‥‥‥‥
2) 정상분만요소 ‥‥‥‥‥‥‥‥‥‥‥‥‥‥‥‥‥‥‥‥‥‥‥‥‥‥
3) 자연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 분만의 전구 증상 ‥‥‥‥‥‥‥‥‥‥‥‥‥‥‥‥‥‥‥‥‥‥‥
5) 분만 4단계 ‥‥‥‥‥‥‥‥‥‥‥‥‥‥‥‥‥‥‥‥‥‥‥‥‥‥
6) 자연분만시 사용되는 약물 ‥‥‥‥‥‥‥‥‥‥‥‥‥‥‥‥‥‥‥‥
Ⅲ. Case Study ‥‥‥‥‥‥‥‥‥‥‥‥‥‥‥‥‥‥‥‥‥ 8
1) 입원시 정보 ‥‥‥‥‥‥‥‥‥‥‥‥‥‥‥‥‥‥‥‥‥‥‥‥‥‥‥
2) 신체 사정 ‥‥‥‥‥‥‥‥‥‥‥‥‥‥‥‥‥‥‥‥‥‥‥‥‥‥‥‥
3) 분만 4단계 ‥‥‥‥‥‥‥‥‥‥‥‥‥‥‥‥‥‥‥‥‥‥‥‥‥‥‥‥
4) 간호 과정 ‥‥‥‥‥‥‥‥‥‥‥‥‥‥‥‥‥‥‥‥‥‥‥‥‥‥‥‥
Ⅳ. 참고문헌 ‥‥‥‥‥‥‥‥‥‥‥‥‥‥‥‥‥‥‥‥‥‥ 15
1)연구의 필요성‥‥‥‥‥‥‥‥‥‥‥‥‥‥‥‥‥‥‥‥‥‥‥‥‥‥‥‥
2)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문헌고찰 ‥‥‥‥‥‥‥‥‥‥‥‥‥‥‥‥‥‥‥‥‥‥ 2
1) 정의 ‥‥‥‥‥‥‥‥‥‥‥‥‥‥‥‥‥‥‥‥‥‥‥‥‥‥‥‥‥‥
2) 정상분만요소 ‥‥‥‥‥‥‥‥‥‥‥‥‥‥‥‥‥‥‥‥‥‥‥‥‥‥
3) 자연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 분만의 전구 증상 ‥‥‥‥‥‥‥‥‥‥‥‥‥‥‥‥‥‥‥‥‥‥‥
5) 분만 4단계 ‥‥‥‥‥‥‥‥‥‥‥‥‥‥‥‥‥‥‥‥‥‥‥‥‥‥
6) 자연분만시 사용되는 약물 ‥‥‥‥‥‥‥‥‥‥‥‥‥‥‥‥‥‥‥‥
Ⅲ. Case Study ‥‥‥‥‥‥‥‥‥‥‥‥‥‥‥‥‥‥‥‥‥ 8
1) 입원시 정보 ‥‥‥‥‥‥‥‥‥‥‥‥‥‥‥‥‥‥‥‥‥‥‥‥‥‥‥
2) 신체 사정 ‥‥‥‥‥‥‥‥‥‥‥‥‥‥‥‥‥‥‥‥‥‥‥‥‥‥‥‥
3) 분만 4단계 ‥‥‥‥‥‥‥‥‥‥‥‥‥‥‥‥‥‥‥‥‥‥‥‥‥‥‥‥
4) 간호 과정 ‥‥‥‥‥‥‥‥‥‥‥‥‥‥‥‥‥‥‥‥‥‥‥‥‥‥‥‥
Ⅳ.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
s)
실제적인 분만과정은 자궁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장시간에 걸친 자궁 수축은 경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 하강을 초래 하며 분만 2기에 산부가 밑으로 밀어내는 힘( 아래로 힘주는 노력)과 합쳐져 쉽게 분만할 수 있다. 규칙적이고 점진적 변화의 자궁수축은 분만시작의 신호이다.
①수축(contraction) : 근육세포들이 단축되고 두꺼워지면서 자궁이 단단해짐
②이완(relaxation) : 수축이 끝난후 다시 근육세포는 길어지고 이완됨
③견축(retraction) : 자궁근육이 수축되었다가 이완될시에 덜 이완되므로서 점차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와 경관의 조직이 당겨져 올라감.(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저부와 상부의 근육이 점차 짧아지고 두꺼워짐)
4) 산부의 자세
분만과정 동안의 산부의 자세는 자궁 수축에 영향을 준다. 기립자세, 앉아 있는 자세가 경관개대에 가장 효과적이며(분만 초기이고 파수가 안되었을 시) 제대압박이 적고 모체가 편안하게 느끼는 자세이다. 자주 자세를 바꿈으로써 순환을 증가 시키고 피로 완화에 도움을 주며 통증을 덜 느끼게 해준다.
**자연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모체의 연령 - 모체의 연령이 낮은경우(16세 이하)는 미성숙, 작은 골반으로 인한 아두골반 불균형, 자간전증의 위험이 높다. 모체의 연령이 많은 경우(35세 이상)는 쌍태아 둔위, 후방후두위, 분만 2기의 지연이 되기 쉽다.
2) 모체의 체중 - 모체가 과다체중인 경우 잠재기 활동기 지연 또는 정지의 위험 및 과다 체중으로 인한 연조직과 관련된 난산 분만 2기 지연의 위험이 있다.
3) 출산 간격 - 최종 출산과의 간격이 1년 이하인 경우 급속분만의 위험과 저체중아의 출산 위험이 있으며 10년 이상의 간격인 경우 경관 강직으로 개대가 지연되기도 하며 난산의 위험이 있다.
4) 출산체중과 제태연령 - 조산과 태아크기가 작은 경우 일반적으로 급속 분만이 되며 태아가 큰 경우는 지연 분만 특히 분만 2기가 지연 된다. 재태 연령이 37주 이하인 경우는 선진부 이상으로 분만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42주 이상인 경우는 거구증으로 체구가 커서 출산 합병증의 위험이 높다.
5) 태향 - 분만 진행은 아두가 잘 굴곡된 두정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6) 태반 착상부위 - 태반이 자궁의 밑부분 또는 상부에 부착이 된 경우 지연 분만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자궁근육 수축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심리적 요인 - 모체의 심리적 상태는 분만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스트레스와 불안은 자궁활동을 저해하는 호르몬(카테콜라민)을 자극한다. 분만과정 및 출산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킴으로서 순조로운 분만 진행이 될 수 있다.
** 분만의 전구 증상
1) 태아하강 : 분만 2-4주 전에 아두가 골반 내로 들어가는 것.(특히 초임부에게 주로 나타남)
2) 가진통 : 분만의 시작 때와 같이 자궁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 (자궁수축이 불규칙. 이슬 없음. 자궁경관의 개대 없음. 분만 진행 안됨.)
3) 이슬 :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 혈관들이 압박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마개와 섞여져 나오는 혈성 점액질(만삭에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시작되었거나 몇시간 내지 며칠 내에 분만이 시작됨)
4) 양막파열 :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이 파열되는 것(만삭시 파막은 80-90%에서 24시간 내에 분만 시작)
5) 기타 증상
*경관의 연화-경관이 부드러워지고, 거상되며 1-2cm정도 개대
*체중감소-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전해질 변화→약 1kg정도 감소될 수 있음
**분만 4단계
1. First stage of labor ( 분만 1기 )
- 확장기(dilatation stage)로서, 진진통의 증상이 시작되는 것에서부터 경부의 완전개대가 끝날 때까지의 시기
① 질검사(vaginal examination)
1-2회의 검진으로 충분하며 ROM 시에는 좀더 검진을 해야한다.
자궁의 수축양상, 이슬의 양, 복부에서 fetal sound 가 들리는 지점의 점진적 하강여부와 자궁 수축에 대한 산모의 반응을 사정한다.
② 자궁수축
일반적으로 분만이 진행될수록 통증이 증가되므로 간호사는 가진통은 아닌지, 진진통 인지, 불편감은 어떤 지 알아야한다.
③ 자궁수축 시기
fetal monitor를 이용하여 수축의 기간, 빈도, 강도를 측정하고 관찰한다.
분만이 진행되는 동안 수축의 강도는 더 강해지고 기간은 길어지며(30-60초), 간격은 더 짧아진다.(매 2-3분마다)
모니터가 정확하지 않으면 간호사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가볍게 fundus를 촉지해 본다.
이행기가 다가오면 진통은 2-3분 간격으로 60초정도 지속된다.
진통이 90초이상 지속되거나 휴식기를 가지지 않을 때는 의사에게 알린다.
④ 이슬
mucose plug가 사라진 후에 존재하는 자궁 경부로부터의 점액성 분비물을 말한다.
자궁 경부의 개대가 진행됨에 따라 자궁 수축이 강해져 포면의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bloody show가 보이게 된다.
⑤활력징후
체온, 맥박, 호흡은 4시간마다 측정하고 혈압은 매 시간마다, 또는 산모의 상태를 봐서 측정한다.
⑥태아심음(FHR Fetal heart rate)
저위험 신호: 1st stage(active phase).. 자궁수축 후 30분마다 측정한다.
2nd stage.. 15분마다 측정한다.
고위험 신호: 1st stage(actie phase).. 15분마다 측정한다.
2nd stage.. 5분마다 측정한다.
⑦체위
산모는 fetal monitoring에 적절하게 침대에 누워야함. 산모는 분만을 위해 sim\'s position으로 좌측위로 누워있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
⑧자궁수축관리
통증 시 산모는 불안을 경험하므로 통증이 끝나거나 최소의 통증이라도 불안 때문에 통증이 주관적으로 강화된다.
이 악순환을 끊어주기 위해 자궁 수축이 끝날 때를 산모에게 알려주고 편안히 이완하게 해주게 되면 이 때 통증과 관련된 불안은 사라진다.
⑨호흡법
분만 1기 동안 자궁수축은 비자발적이고 임부에 의해 조절이 되지 않기
실제적인 분만과정은 자궁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장시간에 걸친 자궁 수축은 경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 하강을 초래 하며 분만 2기에 산부가 밑으로 밀어내는 힘( 아래로 힘주는 노력)과 합쳐져 쉽게 분만할 수 있다. 규칙적이고 점진적 변화의 자궁수축은 분만시작의 신호이다.
①수축(contraction) : 근육세포들이 단축되고 두꺼워지면서 자궁이 단단해짐
②이완(relaxation) : 수축이 끝난후 다시 근육세포는 길어지고 이완됨
③견축(retraction) : 자궁근육이 수축되었다가 이완될시에 덜 이완되므로서 점차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와 경관의 조직이 당겨져 올라감.(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저부와 상부의 근육이 점차 짧아지고 두꺼워짐)
4) 산부의 자세
분만과정 동안의 산부의 자세는 자궁 수축에 영향을 준다. 기립자세, 앉아 있는 자세가 경관개대에 가장 효과적이며(분만 초기이고 파수가 안되었을 시) 제대압박이 적고 모체가 편안하게 느끼는 자세이다. 자주 자세를 바꿈으로써 순환을 증가 시키고 피로 완화에 도움을 주며 통증을 덜 느끼게 해준다.
**자연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모체의 연령 - 모체의 연령이 낮은경우(16세 이하)는 미성숙, 작은 골반으로 인한 아두골반 불균형, 자간전증의 위험이 높다. 모체의 연령이 많은 경우(35세 이상)는 쌍태아 둔위, 후방후두위, 분만 2기의 지연이 되기 쉽다.
2) 모체의 체중 - 모체가 과다체중인 경우 잠재기 활동기 지연 또는 정지의 위험 및 과다 체중으로 인한 연조직과 관련된 난산 분만 2기 지연의 위험이 있다.
3) 출산 간격 - 최종 출산과의 간격이 1년 이하인 경우 급속분만의 위험과 저체중아의 출산 위험이 있으며 10년 이상의 간격인 경우 경관 강직으로 개대가 지연되기도 하며 난산의 위험이 있다.
4) 출산체중과 제태연령 - 조산과 태아크기가 작은 경우 일반적으로 급속 분만이 되며 태아가 큰 경우는 지연 분만 특히 분만 2기가 지연 된다. 재태 연령이 37주 이하인 경우는 선진부 이상으로 분만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42주 이상인 경우는 거구증으로 체구가 커서 출산 합병증의 위험이 높다.
5) 태향 - 분만 진행은 아두가 잘 굴곡된 두정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6) 태반 착상부위 - 태반이 자궁의 밑부분 또는 상부에 부착이 된 경우 지연 분만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자궁근육 수축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심리적 요인 - 모체의 심리적 상태는 분만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스트레스와 불안은 자궁활동을 저해하는 호르몬(카테콜라민)을 자극한다. 분만과정 및 출산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킴으로서 순조로운 분만 진행이 될 수 있다.
** 분만의 전구 증상
1) 태아하강 : 분만 2-4주 전에 아두가 골반 내로 들어가는 것.(특히 초임부에게 주로 나타남)
2) 가진통 : 분만의 시작 때와 같이 자궁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 (자궁수축이 불규칙. 이슬 없음. 자궁경관의 개대 없음. 분만 진행 안됨.)
3) 이슬 :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 혈관들이 압박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마개와 섞여져 나오는 혈성 점액질(만삭에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시작되었거나 몇시간 내지 며칠 내에 분만이 시작됨)
4) 양막파열 : 양수를 싸고 있는 막이 파열되는 것(만삭시 파막은 80-90%에서 24시간 내에 분만 시작)
5) 기타 증상
*경관의 연화-경관이 부드러워지고, 거상되며 1-2cm정도 개대
*체중감소-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전해질 변화→약 1kg정도 감소될 수 있음
**분만 4단계
1. First stage of labor ( 분만 1기 )
- 확장기(dilatation stage)로서, 진진통의 증상이 시작되는 것에서부터 경부의 완전개대가 끝날 때까지의 시기
① 질검사(vaginal examination)
1-2회의 검진으로 충분하며 ROM 시에는 좀더 검진을 해야한다.
자궁의 수축양상, 이슬의 양, 복부에서 fetal sound 가 들리는 지점의 점진적 하강여부와 자궁 수축에 대한 산모의 반응을 사정한다.
② 자궁수축
일반적으로 분만이 진행될수록 통증이 증가되므로 간호사는 가진통은 아닌지, 진진통 인지, 불편감은 어떤 지 알아야한다.
③ 자궁수축 시기
fetal monitor를 이용하여 수축의 기간, 빈도, 강도를 측정하고 관찰한다.
분만이 진행되는 동안 수축의 강도는 더 강해지고 기간은 길어지며(30-60초), 간격은 더 짧아진다.(매 2-3분마다)
모니터가 정확하지 않으면 간호사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가볍게 fundus를 촉지해 본다.
이행기가 다가오면 진통은 2-3분 간격으로 60초정도 지속된다.
진통이 90초이상 지속되거나 휴식기를 가지지 않을 때는 의사에게 알린다.
④ 이슬
mucose plug가 사라진 후에 존재하는 자궁 경부로부터의 점액성 분비물을 말한다.
자궁 경부의 개대가 진행됨에 따라 자궁 수축이 강해져 포면의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bloody show가 보이게 된다.
⑤활력징후
체온, 맥박, 호흡은 4시간마다 측정하고 혈압은 매 시간마다, 또는 산모의 상태를 봐서 측정한다.
⑥태아심음(FHR Fetal heart rate)
저위험 신호: 1st stage(active phase).. 자궁수축 후 30분마다 측정한다.
2nd stage.. 15분마다 측정한다.
고위험 신호: 1st stage(actie phase).. 15분마다 측정한다.
2nd stage.. 5분마다 측정한다.
⑦체위
산모는 fetal monitoring에 적절하게 침대에 누워야함. 산모는 분만을 위해 sim\'s position으로 좌측위로 누워있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
⑧자궁수축관리
통증 시 산모는 불안을 경험하므로 통증이 끝나거나 최소의 통증이라도 불안 때문에 통증이 주관적으로 강화된다.
이 악순환을 끊어주기 위해 자궁 수축이 끝날 때를 산모에게 알려주고 편안히 이완하게 해주게 되면 이 때 통증과 관련된 불안은 사라진다.
⑨호흡법
분만 1기 동안 자궁수축은 비자발적이고 임부에 의해 조절이 되지 않기
추천자료
(아동)AGE(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case study
(모성간호학)산전, 분만, 산욕 ,간호과정 CASE 총 정리
[논문] 분만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분만실
크룹 (Croup) case study
[모성간호학] 조기분만(preterm delivery)
자궁근종 case study 사례 연구
[모성간호학][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1,2,3,4기][분만기록지]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산부인과 실습 - 유산(절박 유산)case study 컨퍼런스
유방암 케이스 스터디 (Breast cancer case study)
NICU)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A+ (premature baby, CASE, 간호과정, 사례연구)
신생아중환자실(NICU) case study : Cleft lip & palate/ Preterm, LBWI, PPROM/ Broncho...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모성케이스, 여성간호학 case, A+++,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