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3장 뼈대근육의 수축
1. 뼈대근육의 구조
2. 근육섬유의 구조
3. 근육수축
4. 흥분수축연관
5. 근육수축 역학
6. 근육의 에너지 발생
제 4장 신경생리
1. 뼈대근육의 구조
2. 근육섬유의 구조
3. 근육수축
4. 흥분수축연관
5. 근육수축 역학
6. 근육의 에너지 발생
제 4장 신경생리
본문내용
신경이 전도된다.
2) 신경전달물질 : 뉴런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흥분성 전달물질에는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히스타민등이 있고 억제성 전달물질에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이 있다.
3) 시냅스의 지연과 피로
시냅스 지연 : 흥분이 시냅스를 지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지연시간은 신경전달물질ㅇ이 방출되어 시냅스틈새 내로 확산된 다음, 시냅스이후뉴런이 탈분극하여 활동전압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시냅스 피로 : 종말단추에서의 전달물질의 생산보다 흥분성 활동전압이 더 빠른 빈도로 반복하여 생기기 때문.
4. 신경의 변성과 재생
1) 신경의 변성 : 신경조직의 변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뇌이다. 변성의 원인은 질병, 외상, 노화 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변성이 일어난다.
왈러 변성 : 축삭이나 가지돌기가 세포체와 연결이 절단되면 절단부분보다는 말초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는 순행성 변성
역핵성 변성 : 축삭이 절단되었을 때 말초쪽이 아니라 세포체의 변성이 일어나 핵이 위축되고 니슬소체가 분절되며 염색질의 용해가 일어나는 것
연접횡단 변성 : 축삭이 절단되면 연접된 뉴런에 염색질 용해가 일어나는 변성. 주로 시각전도로에서 일어난다.
2) 신경의 재생 : 축삭이 절단된 후 역행성 변성이 세포체에 도달하기 전에 멈추면 중추쪽으로부터 50~100개의 가느다란 가지가 새로이 나오기 시작한다. 이 가지가 신경집세포에 접촉되면 이 세포가 다리 역할을 하여 재생하게 된다. 재생과정은 말초신경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섬유에서는 중추신경계의뉴런에 신경집세포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
2) 신경전달물질 : 뉴런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흥분성 전달물질에는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히스타민등이 있고 억제성 전달물질에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이 있다.
3) 시냅스의 지연과 피로
시냅스 지연 : 흥분이 시냅스를 지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지연시간은 신경전달물질ㅇ이 방출되어 시냅스틈새 내로 확산된 다음, 시냅스이후뉴런이 탈분극하여 활동전압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시냅스 피로 : 종말단추에서의 전달물질의 생산보다 흥분성 활동전압이 더 빠른 빈도로 반복하여 생기기 때문.
4. 신경의 변성과 재생
1) 신경의 변성 : 신경조직의 변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뇌이다. 변성의 원인은 질병, 외상, 노화 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변성이 일어난다.
왈러 변성 : 축삭이나 가지돌기가 세포체와 연결이 절단되면 절단부분보다는 말초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는 순행성 변성
역핵성 변성 : 축삭이 절단되었을 때 말초쪽이 아니라 세포체의 변성이 일어나 핵이 위축되고 니슬소체가 분절되며 염색질의 용해가 일어나는 것
연접횡단 변성 : 축삭이 절단되면 연접된 뉴런에 염색질 용해가 일어나는 변성. 주로 시각전도로에서 일어난다.
2) 신경의 재생 : 축삭이 절단된 후 역행성 변성이 세포체에 도달하기 전에 멈추면 중추쪽으로부터 50~100개의 가느다란 가지가 새로이 나오기 시작한다. 이 가지가 신경집세포에 접촉되면 이 세포가 다리 역할을 하여 재생하게 된다. 재생과정은 말초신경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섬유에서는 중추신경계의뉴런에 신경집세포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
추천자료
등장성 등속성 등척성 수축의 형태 비교및 장단점
지연성 근육통의 정의 및 예방
근육통증의 원인
생리학:근육계
근육의 정의와 기능
[관절][주관절][고관절][근육][견부통증][등척성운동][도수저항운동]주관절, 고관절 고찰 및 ...
근육계의 개요
[근육계] 의학용어 정리 및 해설
근 수축 때 사용되는 ATP의 역할
머리_및_목의_근육
[해부생리] 근육 생리에 관해
[해부생리] 근육방추, 골지힘줄기관, 상호억제
골격근의 생체역학 (근육힘줄단위의 활동특성, 골격근의 구조, 골격근의 기능, 근력생성에 영...
운동생리학 - 에너지 생성시스템 정리 및 골격근의 미세구조와 근 수축 기전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