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및 실험 [뼈대 근육의 수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3장 뼈대근육의 수축
1. 뼈대근육의 구조
2. 근육섬유의 구조
3. 근육수축
4. 흥분수축연관
5. 근육수축 역학
6. 근육의 에너지 발생
제 4장 신경생리

본문내용

신경이 전도된다.
2) 신경전달물질 : 뉴런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흥분성 전달물질에는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히스타민등이 있고 억제성 전달물질에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이 있다.
3) 시냅스의 지연과 피로
시냅스 지연 : 흥분이 시냅스를 지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지연시간은 신경전달물질ㅇ이 방출되어 시냅스틈새 내로 확산된 다음, 시냅스이후뉴런이 탈분극하여 활동전압을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시냅스 피로 : 종말단추에서의 전달물질의 생산보다 흥분성 활동전압이 더 빠른 빈도로 반복하여 생기기 때문.
4. 신경의 변성과 재생
1) 신경의 변성 : 신경조직의 변성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뇌이다. 변성의 원인은 질병, 외상, 노화 등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변성이 일어난다.
왈러 변성 : 축삭이나 가지돌기가 세포체와 연결이 절단되면 절단부분보다는 말초쪽으로 지방성 변성이 일어나는 순행성 변성
역핵성 변성 : 축삭이 절단되었을 때 말초쪽이 아니라 세포체의 변성이 일어나 핵이 위축되고 니슬소체가 분절되며 염색질의 용해가 일어나는 것
연접횡단 변성 : 축삭이 절단되면 연접된 뉴런에 염색질 용해가 일어나는 변성. 주로 시각전도로에서 일어난다.
2) 신경의 재생 : 축삭이 절단된 후 역행성 변성이 세포체에 도달하기 전에 멈추면 중추쪽으로부터 50~100개의 가느다란 가지가 새로이 나오기 시작한다. 이 가지가 신경집세포에 접촉되면 이 세포가 다리 역할을 하여 재생하게 된다. 재생과정은 말초신경섬유에서만 일어나며 중추신경섬유에서는 중추신경계의뉴런에 신경집세포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9.01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