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2.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3.면역학적 방어기전 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2.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3.면역학적 방어기전 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본문내용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4
모유수유를 한 후, V/S를 할 때, 신생아가 울거나 보챌 때마다 꾸준히 기저귀를 갈아주었고, 기저귀를 갈 때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였다. 처음에는 발적과 짓무름의 정도가 심하였지만 처치 결과 발적과 짓무름의 현상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퇴원을 할 때 즈음에는 발적과 짓무름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모습이었다.
4-②
기저귀를 교환할 때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는다.
4-②
기저귀를 교환할 때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고, 톡톡 부드럽게 두드리는 느낌으로 닦아주었다.
4-②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질러 닦는 것은 피부가 많이 자극되어 피부손상정도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4-③
기저귀를 교환할 때 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한다.
4-③
적절한 간호처치와 함께 기저귀를 교환할 때 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였다.
4-③
규칙적으로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는 것은 처치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다.
<세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① 대상자는 신생아이고, 면역력이 결핍되어 있어 감염에 취약하다.
② 신생아가 지내는 정상아 방은 체온계, 청진기 등의 물품을 모든 신생아가 같이 사용한다.
간호진단
면역학적 방어기전 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신생아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장기목표
신생아가 감염의 증상 없이 건강하게 퇴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
철저한 손 씻기를 한다.
1-①
외부에서 신생아실에 들어올 때에는 신생아실
문 옆에 있는 세면대에서 팔꿈치까지 비누칠
을 꼼꼼히 해서 손을 씻었다.
1.
손 씻기는 미생물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고, 감염관리 및 간호처치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되는 사
항이다.
1.
모든 직원 및 간호학생들
은 철저한 손 씻기를 하여
손으로 인한 감염의 기회
를 막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그 결과 그로 인한 감염의 징후가 신생아에게서 발견되지 아니하였다.
1-②
외부에서 신생아실에 들어올 때에는 내과적 손 씻기의 6단계 동작에 맞게 깨끗이 손을 씻었다.
1-③
각각의 신생아를 만질 때 마다, 혹은 각각의 간호처치를 할 때 마다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거나 손을 씻지 못할 상황이라면 손 씻기 젤리를 이용하여 내과적 손 씻기 동작 6단계에 맞추어 손을 소독하거나 신생아 옆에 항상 구비되어 있는 위생장갑을 착용하고 처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2-①
실습복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다.
2-①
본 병원에서는 신생아실에서 별도로 특수가운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습복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2
간호학생들은 신생아와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신생아를 안는 횟수가 많기 때문에 늘 실습복 청결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2
실습복은 항상 청결을 유지하였고, 외부 균에 의해 신생아가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였다. 그 결과 신생아에게 그로 인한 감염의 증후가 보이지 않았다.
2-②
신생아실에서 외부에 나갈 때에는 가운을 착용한다.
2-②
신생아실에서 외부에 나갈 때에는 항상 가운을 단정하게 착용하여 외부 균에 의한 감염을 막도록 노력하였다.
3
신생아의 몸에 닿는 물품은 항상 청결과 위생을 유지한다.
3-①
체온계와 청진기를 사용할 때 항상 알코올 솜으로 신생아의 몸에 접하는 부위를 꼼꼼하게 닦았다.
3-②
인공수유를 할 때 젖꼭지는 항상 소독된 것을 이용하였으며, 젖꼭지가 손이나 다른 물품에 닿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3
청결하지 않은 물품의 접촉으로 신생아 감염의 기회가 증가할 수 있다.
3
신생아의 몸에 닿는 물품들은 항상 위생을 유지하였고, 그로 인한 신생아 감염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4
상기도에 감염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주의한다.
4-①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은 신생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4-②
간호직원 및 간호학생들은 감기의 증상이 있을시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4
상기도 감염은 전염성이 강하고,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4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았고 따라서 신생아에게 그로 인한 감염의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네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 “이것(side rail) 좀 내려주세요.”
② “내리고 밥 먹자 아가야”
객관적 자료
①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②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1-①입원 시 보호자에게 side rail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1-②side rail작동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이며 교육하였다.
1.보호자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1.보호자는 side rail중요성에 대해 인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며, 올렸다가 내리는 등 사용법을 익히는 모습을 보임.
2.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2.보호자에게 아동과 항상 함께 있도록 교육하였으며, 특히 아동의 간호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교육함.
2.아동 입원 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사고는 낙상이므로, 보호자와 함께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보호자는 낙상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함께 있겠다고 함.
<다섯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① 간호사를 보면 무서워하거나 운다.
② 항상 엄마 옆에 붙어있거나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울면서 엄마를 찾는다.
③ 약을 먹을때마다 얼굴을 찡그렸다.
간호진단
치료와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
간호목표
단기목표
투약과 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간호행위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3-①
제대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3-①
제대는 태어난 후 7~10일 이내에 자연히 건조되어 떨어지게 되고, 제대소독은 75% 알코올로 하루에 2~3회 제대를 닦고 햇
4
모유수유를 한 후, V/S를 할 때, 신생아가 울거나 보챌 때마다 꾸준히 기저귀를 갈아주었고, 기저귀를 갈 때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였다. 처음에는 발적과 짓무름의 정도가 심하였지만 처치 결과 발적과 짓무름의 현상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퇴원을 할 때 즈음에는 발적과 짓무름의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모습이었다.
4-②
기저귀를 교환할 때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는다.
4-②
기저귀를 교환할 때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고, 톡톡 부드럽게 두드리는 느낌으로 닦아주었다.
4-②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질러 닦는 것은 피부가 많이 자극되어 피부손상정도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4-③
기저귀를 교환할 때 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한다.
4-③
적절한 간호처치와 함께 기저귀를 교환할 때 마다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였다.
4-③
규칙적으로 피부 손상 부위를 사정하는 것은 처치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다.
<세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① 대상자는 신생아이고, 면역력이 결핍되어 있어 감염에 취약하다.
② 신생아가 지내는 정상아 방은 체온계, 청진기 등의 물품을 모든 신생아가 같이 사용한다.
간호진단
면역학적 방어기전 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신생아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장기목표
신생아가 감염의 증상 없이 건강하게 퇴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
철저한 손 씻기를 한다.
1-①
외부에서 신생아실에 들어올 때에는 신생아실
문 옆에 있는 세면대에서 팔꿈치까지 비누칠
을 꼼꼼히 해서 손을 씻었다.
1.
손 씻기는 미생물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고, 감염관리 및 간호처치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되는 사
항이다.
1.
모든 직원 및 간호학생들
은 철저한 손 씻기를 하여
손으로 인한 감염의 기회
를 막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그 결과 그로 인한 감염의 징후가 신생아에게서 발견되지 아니하였다.
1-②
외부에서 신생아실에 들어올 때에는 내과적 손 씻기의 6단계 동작에 맞게 깨끗이 손을 씻었다.
1-③
각각의 신생아를 만질 때 마다, 혹은 각각의 간호처치를 할 때 마다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거나 손을 씻지 못할 상황이라면 손 씻기 젤리를 이용하여 내과적 손 씻기 동작 6단계에 맞추어 손을 소독하거나 신생아 옆에 항상 구비되어 있는 위생장갑을 착용하고 처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2-①
실습복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한다.
2-①
본 병원에서는 신생아실에서 별도로 특수가운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습복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2
간호학생들은 신생아와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신생아를 안는 횟수가 많기 때문에 늘 실습복 청결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2
실습복은 항상 청결을 유지하였고, 외부 균에 의해 신생아가 감염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였다. 그 결과 신생아에게 그로 인한 감염의 증후가 보이지 않았다.
2-②
신생아실에서 외부에 나갈 때에는 가운을 착용한다.
2-②
신생아실에서 외부에 나갈 때에는 항상 가운을 단정하게 착용하여 외부 균에 의한 감염을 막도록 노력하였다.
3
신생아의 몸에 닿는 물품은 항상 청결과 위생을 유지한다.
3-①
체온계와 청진기를 사용할 때 항상 알코올 솜으로 신생아의 몸에 접하는 부위를 꼼꼼하게 닦았다.
3-②
인공수유를 할 때 젖꼭지는 항상 소독된 것을 이용하였으며, 젖꼭지가 손이나 다른 물품에 닿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3
청결하지 않은 물품의 접촉으로 신생아 감염의 기회가 증가할 수 있다.
3
신생아의 몸에 닿는 물품들은 항상 위생을 유지하였고, 그로 인한 신생아 감염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4
상기도에 감염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주의한다.
4-①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은 신생아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4-②
간호직원 및 간호학생들은 감기의 증상이 있을시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4
상기도 감염은 전염성이 강하고,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4
상기도 감염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지 않았고 따라서 신생아에게 그로 인한 감염의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네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 “이것(side rail) 좀 내려주세요.”
② “내리고 밥 먹자 아가야”
객관적 자료
①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②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1-①입원 시 보호자에게 side rail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1-②side rail작동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이며 교육하였다.
1.보호자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1.보호자는 side rail중요성에 대해 인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며, 올렸다가 내리는 등 사용법을 익히는 모습을 보임.
2.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2.보호자에게 아동과 항상 함께 있도록 교육하였으며, 특히 아동의 간호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교육함.
2.아동 입원 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사고는 낙상이므로, 보호자와 함께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보호자는 낙상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함께 있겠다고 함.
<다섯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① 간호사를 보면 무서워하거나 운다.
② 항상 엄마 옆에 붙어있거나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울면서 엄마를 찾는다.
③ 약을 먹을때마다 얼굴을 찡그렸다.
간호진단
치료와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
간호목표
단기목표
투약과 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간호행위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3-①
제대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3-①
제대는 태어난 후 7~10일 이내에 자연히 건조되어 떨어지게 되고, 제대소독은 75% 알코올로 하루에 2~3회 제대를 닦고 햇
추천자료
제왕절개[c/sec]
모성간호학_통증에관한레포트
모성간호학 - 낙태주의
[모성간호학][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전치태반][placenta prev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endometriosis][자궁내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Uterine myoma]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 케이스][분만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자연분만][NSVD][PROM]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 - 제왕절개와 둔위 문헌고찰
모성간호학 임신여성과 가족의 적응 요약
모성간호학 임신시기에 따른 변화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