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1. 국내 섬유산업의 개괄
2. 대구 섬유산업의 현황
■ 본 론
○갑 을 방 적 과 태 왕 물 산 분 석
•갑 을 방 적
Ⅰ. 회사 개요
Ⅱ. 회사 연혁
Ⅲ. 언론을 통해본 갑을방적의 수출 및 해외투자 현황
•태 왕 물 산
Ⅰ. 회사 연혁
Ⅱ. 중국 진출배경
Ⅲ. 1. 한국의 섬유, 의류기업의 대중투자 현황
2. 중국 투자의 애로사항
3. <태왕물산>의 중국투자현황 분석
○포 트 폴 리 오 비 교 분 석
■결 론
1. 국내 섬유산업의 개괄
2. 대구 섬유산업의 현황
■ 본 론
○갑 을 방 적 과 태 왕 물 산 분 석
•갑 을 방 적
Ⅰ. 회사 개요
Ⅱ. 회사 연혁
Ⅲ. 언론을 통해본 갑을방적의 수출 및 해외투자 현황
•태 왕 물 산
Ⅰ. 회사 연혁
Ⅱ. 중국 진출배경
Ⅲ. 1. 한국의 섬유, 의류기업의 대중투자 현황
2. 중국 투자의 애로사항
3. <태왕물산>의 중국투자현황 분석
○포 트 폴 리 오 비 교 분 석
■결 론
본문내용
이제 월 200여만 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이는 역군들.
이곳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면화, 값싼 노동력, 한국의 선진 기술을 아우른 갑을타직의 전략 은 성공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연이은 한국기업 진출의 계기가 됐다.
또 독일 영국 등 유럽시장 개발로 외화 획득이 늘어나 워크아웃에 들어간 모기업 위기 타 파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박경호 차장(44)은 “유럽 및 미국 시장으로의 직접 수출을 통한 달러벌이만이 현지 진출 이후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귀띔한다. 갑을방적 홈페이지 www.kabool.co.kr/
■ 태 왕 물 산
○ 연 혁
76.8.30 태왕섬유공업사설립
80.11.20 태왕물산주식회사설립
80.12.2. 태왕물산(주)경산공장계열확장
81.12.22 태왕물산(주)수출의날국무총리표창수상
83.1.4 태왕물산(주)압량공장계열확장
84.6.15 태왕물산(주)압량공장 증축 및 시설개체
84.10.4 태왕섬유월배공장계열확장
85.3.20 태왕물산(주)상공의날상관부장관표창
86.3.11 태왕물산(주)진량공장계열확장
86.11.28 태왕물산(주) 수출의날 대통령표창수상
87.3.1 태왕염공주식회사설립
87.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2000만불수출탑수상
87-91 태왕물산(주)진량공장전자동화시설완료
92.6.12 중국청도태창섬유유한고사설립
93.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5000만수출탑수상
94.9.1 중국청도태왕화섬유한공사설립
95.4.20 태왕물산(주)동탑산업훈장수상
95.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 1억불수출탑수상
96.6.3 (주)태왕 품질시스템(ISO9001)인증서획득
(주)태왕이 태왕물산(주)합병(건설사업부,섬유사업부로 경영)
00.12.1 섬유부문과 건설부문의통합
1.. 태왕물산<주>의 중국투자현황 분석
1) 태왕물산 투자사 현황
① 태창섬유유한공사
태창섬유유한 공사는 중국 山東省 靑鳥市 膠州지역에 있으며 태왕물산<주>의 직접투자방식에 의해 진출한 회사로서 94년 3월에 중국과 한국 양측이 설립 협의서를 작성하고 공동서명해 투자가 이루어졌다.
최초 600만달러의 자본금으로 94년 7워 일반직기 482대와 연사기외 기타 설비 938대를 투입하였다.
이같은 설비투입에 앞서 중국 靑鳥市인민정부는 외자기업 비준증서를 발급하고, 국가공상행정 관리국도 영업허가서를 발급했으며 靑鳥市세무국이 절차를 통해 한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공부와 한국은행이 해외투자허가서를 발급, 투자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태왕물산<주>은 1차 설비를 가동한 후 8개월만에 건물증축공사를 하고 일반직기 108대와 기타설비 400대 등 현물투자를 포함해 150만달러를 추가 투자했다.
2000년말 태왕물산<주>은 원사로 2400톤의 원재료가 들어가며 연간 매출액은 1200만달러이다.
태왕물산<주>의 투자액에는 현물이 75%를 차지하고 나머지 25%는현금이다.
연간 생산량 및 매출액을 보면 설비규모와 인력의 증가는 20~30%에 불과하나 매출액 및 생산량은 50%나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의 기업과 근로자들이 초창기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근무에 적응하지 못해오다 시간이 지나면서 제대로 적응한 데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2) 생산 및 판매
* 태왕물산<주>
태왕물산<주>은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종전 국내에서 전량 수입했으나 현재는 대만, 중국, 한국의 고합, 동국합섬 등으로 수입처를 다변화했다.
이 같은 원자재구입의 다변화는 섬유원사구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던 태왕물산<주>이 만들어낸 고육지책이다. 원사구입이 어려워지게 된 것은 한국의 통화가치가 평가절하되면서 섬유공급회사가 이를 국내기존 공급망에 판매하지 않고 상당부분을 외국에 수출했기 때문이다.
태왕물산<주>은 따라서 국내 원사공급선을 동국합섬, 코오롱 등으로 다변화하고 이들로부터 재료를 구입, 중국현지 투자기업인 태창섬유유한공사와 태왕화섬유한공사에 공급해 왔다.
완재품 생산 후 이를 한국내에 일단 가져갔다가 홍콩을 통해 중국으로 역수입하는 제품의 비중은 WTO가입과 함께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이들 생산제품 중 40%정도는 내수허가를 받아 중국내 직물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으나 현재 내수판매를 중국이 부가세 등 세금을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일부만 판매한다.
태왕물산<주>은 앞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소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선진국 섬유업체의 중국시장진출을 대비하고 있으며 기술향상을 통한 선진국형 제품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투자회사인 태왕화섬유한공사와 태창섬유유한공사의 제품생산량은 한국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70~75%수준이며 품질은 이보다 더 떨어진다.
중국에서의 가동률은 80~85%선이며 한국보다 떨어진다. 가동률이 떨어지는 것은 순간정전 등 간접지원시설의 부족과 기술적인 차이에 의한 관리부족에 따른 것이다.
4) 투자 기업에서 나타난 애로사항
① 세제 및 근로자 복지제도의 부담
중국정부는 국가세무 행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무행정 총괄기구인 국가 세무총국을 재정부와 같은 등급으로 격상시키고 성, 직할시, 자치구 정부에는 세무국을 지구, 시급 정부에는 세무분국은 설치함으로서 지방 세무 행정을 중앙으로부터 분리 시켰다. 또한 복잡하고 중복이 많았던 32종의 공상 통일세를 폐지하는 대신 특별 소비세를 소비세에 통합시키고 영업세 (서비스산업), 증치세 (비 서비스 업종에 대한 일종의 부가세)를 분리, 과세하였다. 개인소득세, 토지 증치세, 인지세 , 부동산세 , 선박차량세 , 사회보장세 등을 신설하였다.
외국기업에는 기업소득세, 소비세 ,영업세, 증치세 등이 투자와 경영에 비교적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해외기업 유지초기에는 진출기업에 대해 세제 혜택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각종 지원을 했으나 현재는 오히려 사회보장제도 시행에 따른 재정적인 부담을 외국기업에 맡기는 등 많은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업들의 운영비 부담은 물론 혼란마저 가중되는 상태이다.
초기 진출 기업들은 각종근로자 복지 지원금을 월급에 일괄 포함시켜 지급해 왔으나 최근들어 중국정부가 근로자 복지를 강화할 목적으로 급여에 포함된 지원금외에 정식 항목으로 지원금을 만들어 급여에 추가시킬 것을 요구해 한국기업에 부담이
이곳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면화, 값싼 노동력, 한국의 선진 기술을 아우른 갑을타직의 전략 은 성공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연이은 한국기업 진출의 계기가 됐다.
또 독일 영국 등 유럽시장 개발로 외화 획득이 늘어나 워크아웃에 들어간 모기업 위기 타 파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박경호 차장(44)은 “유럽 및 미국 시장으로의 직접 수출을 통한 달러벌이만이 현지 진출 이후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귀띔한다. 갑을방적 홈페이지 www.kabool.co.kr/
■ 태 왕 물 산
○ 연 혁
76.8.30 태왕섬유공업사설립
80.11.20 태왕물산주식회사설립
80.12.2. 태왕물산(주)경산공장계열확장
81.12.22 태왕물산(주)수출의날국무총리표창수상
83.1.4 태왕물산(주)압량공장계열확장
84.6.15 태왕물산(주)압량공장 증축 및 시설개체
84.10.4 태왕섬유월배공장계열확장
85.3.20 태왕물산(주)상공의날상관부장관표창
86.3.11 태왕물산(주)진량공장계열확장
86.11.28 태왕물산(주) 수출의날 대통령표창수상
87.3.1 태왕염공주식회사설립
87.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2000만불수출탑수상
87-91 태왕물산(주)진량공장전자동화시설완료
92.6.12 중국청도태창섬유유한고사설립
93.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5000만수출탑수상
94.9.1 중국청도태왕화섬유한공사설립
95.4.20 태왕물산(주)동탑산업훈장수상
95.11.30 태왕물산(주)무역의날 1억불수출탑수상
96.6.3 (주)태왕 품질시스템(ISO9001)인증서획득
(주)태왕이 태왕물산(주)합병(건설사업부,섬유사업부로 경영)
00.12.1 섬유부문과 건설부문의통합
1.. 태왕물산<주>의 중국투자현황 분석
1) 태왕물산 투자사 현황
① 태창섬유유한공사
태창섬유유한 공사는 중국 山東省 靑鳥市 膠州지역에 있으며 태왕물산<주>의 직접투자방식에 의해 진출한 회사로서 94년 3월에 중국과 한국 양측이 설립 협의서를 작성하고 공동서명해 투자가 이루어졌다.
최초 600만달러의 자본금으로 94년 7워 일반직기 482대와 연사기외 기타 설비 938대를 투입하였다.
이같은 설비투입에 앞서 중국 靑鳥市인민정부는 외자기업 비준증서를 발급하고, 국가공상행정 관리국도 영업허가서를 발급했으며 靑鳥市세무국이 절차를 통해 한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공부와 한국은행이 해외투자허가서를 발급, 투자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태왕물산<주>은 1차 설비를 가동한 후 8개월만에 건물증축공사를 하고 일반직기 108대와 기타설비 400대 등 현물투자를 포함해 150만달러를 추가 투자했다.
2000년말 태왕물산<주>은 원사로 2400톤의 원재료가 들어가며 연간 매출액은 1200만달러이다.
태왕물산<주>의 투자액에는 현물이 75%를 차지하고 나머지 25%는현금이다.
연간 생산량 및 매출액을 보면 설비규모와 인력의 증가는 20~30%에 불과하나 매출액 및 생산량은 50%나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의 기업과 근로자들이 초창기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근무에 적응하지 못해오다 시간이 지나면서 제대로 적응한 데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2) 생산 및 판매
* 태왕물산<주>
태왕물산<주>은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종전 국내에서 전량 수입했으나 현재는 대만, 중국, 한국의 고합, 동국합섬 등으로 수입처를 다변화했다.
이 같은 원자재구입의 다변화는 섬유원사구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던 태왕물산<주>이 만들어낸 고육지책이다. 원사구입이 어려워지게 된 것은 한국의 통화가치가 평가절하되면서 섬유공급회사가 이를 국내기존 공급망에 판매하지 않고 상당부분을 외국에 수출했기 때문이다.
태왕물산<주>은 따라서 국내 원사공급선을 동국합섬, 코오롱 등으로 다변화하고 이들로부터 재료를 구입, 중국현지 투자기업인 태창섬유유한공사와 태왕화섬유한공사에 공급해 왔다.
완재품 생산 후 이를 한국내에 일단 가져갔다가 홍콩을 통해 중국으로 역수입하는 제품의 비중은 WTO가입과 함께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이들 생산제품 중 40%정도는 내수허가를 받아 중국내 직물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으나 현재 내수판매를 중국이 부가세 등 세금을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일부만 판매한다.
태왕물산<주>은 앞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소량 생산하는 방식으로 선진국 섬유업체의 중국시장진출을 대비하고 있으며 기술향상을 통한 선진국형 제품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투자회사인 태왕화섬유한공사와 태창섬유유한공사의 제품생산량은 한국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70~75%수준이며 품질은 이보다 더 떨어진다.
중국에서의 가동률은 80~85%선이며 한국보다 떨어진다. 가동률이 떨어지는 것은 순간정전 등 간접지원시설의 부족과 기술적인 차이에 의한 관리부족에 따른 것이다.
4) 투자 기업에서 나타난 애로사항
① 세제 및 근로자 복지제도의 부담
중국정부는 국가세무 행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무행정 총괄기구인 국가 세무총국을 재정부와 같은 등급으로 격상시키고 성, 직할시, 자치구 정부에는 세무국을 지구, 시급 정부에는 세무분국은 설치함으로서 지방 세무 행정을 중앙으로부터 분리 시켰다. 또한 복잡하고 중복이 많았던 32종의 공상 통일세를 폐지하는 대신 특별 소비세를 소비세에 통합시키고 영업세 (서비스산업), 증치세 (비 서비스 업종에 대한 일종의 부가세)를 분리, 과세하였다. 개인소득세, 토지 증치세, 인지세 , 부동산세 , 선박차량세 , 사회보장세 등을 신설하였다.
외국기업에는 기업소득세, 소비세 ,영업세, 증치세 등이 투자와 경영에 비교적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해외기업 유지초기에는 진출기업에 대해 세제 혜택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각종 지원을 했으나 현재는 오히려 사회보장제도 시행에 따른 재정적인 부담을 외국기업에 맡기는 등 많은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업들의 운영비 부담은 물론 혼란마저 가중되는 상태이다.
초기 진출 기업들은 각종근로자 복지 지원금을 월급에 일괄 포함시켜 지급해 왔으나 최근들어 중국정부가 근로자 복지를 강화할 목적으로 급여에 포함된 지원금외에 정식 항목으로 지원금을 만들어 급여에 추가시킬 것을 요구해 한국기업에 부담이
추천자료
섬유산업
원화의 평가절상과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독일패션섬유산업의 현재와 미래
한국 니트산업의 현황과 니트업체의 경로구성원 및 경쟁력 강화
자연친화성 생분해성섬유
효소와 섬유산업의 관련성
한미 FTA 체결에 따른 섬유부문 전망
[섬유][텐셀][텐셀섬유]섬유의 분류, 섬유의 특성과 신소재 섬유의 등장 및 텐셀(텐셀섬유)의...
우리나라 섬유 산업의 문제점 검토
효소와 섬유산업의 관련성
[1970년대][노동정책][노동운동][노동계급][노동자]1970년대의 노동정책, 1970년대의 노동운...
[섬유공학][대한섬유공업연구회][섬유공학회지][텐셀섬유]섬유공학의 역사, 섬유공학의 교육...
[1980년대, 세계무역, 산업구조, 기업체제, 은행위기]1980년대의 세계무역, 1980년대의 산업...
목질계 바이오에너지 (바이오 매스 섬유산업에서의 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