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나이키 소개
(1) 개요
(2) 로고
(3) 기업문화
(4) 라인
2. 환경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마케팅 성공사례
(1) 스타마케팅
(2) 광고 캠페인 계획
(3) TV 광고
(4) 스폰서십/브랜드 전략
(5) Better World 캠페인
(6) Price off
5. 성공요인 및 과제
(1) 나이키 성공요인
(2) 나이키 과제
6. 평가 및 전망
(1) 개요
(2) 로고
(3) 기업문화
(4) 라인
2. 환경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마케팅 성공사례
(1) 스타마케팅
(2) 광고 캠페인 계획
(3) TV 광고
(4) 스폰서십/브랜드 전략
(5) Better World 캠페인
(6) Price off
5. 성공요인 및 과제
(1) 나이키 성공요인
(2) 나이키 과제
6. 평가 및 전망
본문내용
본사경영 방식에 익숙지 않은 사람은 본사로 1주일씩 출장을 보낸다. 또 나이키의 전 세계적 경영슬로건인 정식성과 경쟁성에 관한 교육을 수시로 실시한다.
본사도 일본식 정원과 호수, 육상 트랙을 갖춘 건물로 셔츠바람에 운동화를 신고 근무할 수 있고 건강과 창의력을 중시하는 나이키의 경영철학에 따라 담배를 필수 없다고 한다. 회장 자신이 본사 캠퍼스 주변을 자주 뛰면서 종업원이나 고객들과 마주치면 끊임없이 제품의 질이나 만족도에 대해서 질문하며 시장과 소비자에 초점을 두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신발과 의류용품 3개 분야에서 동종업계 최다수의 디자이너를 확보하고 최대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본사 스포츠 연구소에는 14명의 연구원이 운동선수들의 신기록 경신을 위한 제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스포츠 연구를 위해 일본과 유럽에도 스포츠 리서치랩을 설치하고 디자인개발을 위해 본사 제품 혁신팀 내에 73명의 디자이너를 확보하고 연간 700여종의 신제품을 내놓고 있다. 이런 연구개발과 함께 전 직원이 스포츠 정신으로 무장하기 위해 본사곳곳에 농구장 테니스장 축구장 등을 갖추고 스포츠와 가깝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4) 라인
1) 나이키스포츠
스포츠가 들어가는 만큼 퍼포먼스(Performance, 개인의 연주, 능력, 성과를 뜻함)를 위한 기능성 제품들에 초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히 보는 나이키 관련 상품 군에 해당한다. 기능성 축구화, 런닝화, 농구화, 나이키 프로제품들이 출시되는 라인이다. 이 라인의 경우 나이키에서 가장 많은 매장들을 차지하고 있다.
2) NSW(Nike Sport Wear)
나이키 스포츠보다 좀 더 캐주얼한 느낌에 초점을 맞춘 라인이다. 나이키 스포츠웨어는 나이키의 히스토리를 이야기하는 매장이다. 나이키 스포츠웨어에서는 기능성을 겸비한 스트리트 패션 제품군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3) 나이키 골프
라인 이름대로 골프에 관련된 상품 군으로 골프 천재 타이거 우즈를 대표 모델로 기용한 스타마케팅을 함에 따라 이전까지 골프 시장에서 바닥이었던 인지도를 업계 1위로 끌어올렸다.
4) 나이키 키즈
아동용 의복이나 신발, 소품 등의 상품 군을 판매한다.
2. 환경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1) 경제적 환경
① 우리나라 신발산업 발전 수준
신발산업은 1970~1980년대의 효자 수출산업으로 경제성장의 주역이었다. 1990년 이후 원자재 가격상승, 원화 평가 절하 및 급격한 임금상승 등으로 대표적인 국내 신발완제품 생산업체가 저임금의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수출 가격 경쟁력을 상실함으로써 산업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국내 신발산업은 중저가품 생산라인의 개도국 이전과 함께 신발 생산기지로서의 전통적 위치는 약화되는 반면, 기술 집약적이고 고급 신제품 및 고기능성 소재나 부품의 개발 및 수출기지로서의 위치는 강화되고 있다. 생산거점의 상당부문을 해외 이전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개발, 제품기획, 마케팅 등의 전략을 총괄하면서 고가의 기능성 신발 위주의 생산을 실시하고 해외공장에서는 중저가품을 대량 생산, 수출하는 생산체제와 이원화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신발산업은 1980년대까지 한국의 주요 수출산업으로 고용과 성장의 주역이었으나 1990년대부터 경쟁력을 상실하여 신발산업의 총 수출 중 신발 산업 비중은 1977년에 5.0%, 1990년 6.6%, 2008년 0.1%로 변화 하였다. 1990년대 초반 생산규모가 4조 원대였던 한국의 신발산업은 제조거점의 해외 이전으로 인한 수출물량 감소로 2005년 생산규모가 1.7조 원으로 축소되었다. 신발 수출은 달러기준으로 1977년에 49000달러, 1990년에 437000달러, 2005년에 48000달러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2005년 이후 연평균 6.6%의 성장으로 2008년에는 생산규모가 2조 원대로 회복되었다.
② 신발 소비패턴
신발 소비 패턴이 유명브랜드 위주에서 실용성과 기능성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으로 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국에 둘레길, 올레길 등 워킹 문화가 확산되면서 걷기 열풍과 맞물려 기능성 운동화 시장이 2007년 1천억 원, 2009년 3천억 원 규모였지만 2010년에는 6천 억 원대로 커졌다. 소비자들은 워킹, 조깅, 러닝, 다이어트, 등산, 트레킹 등 소비자가 원하는 목적과 생활 패턴에 따라 신발을 선택하여 단순한 걷기용 운동화가 맞춤형 고객 라이프스타일과 접목되면서 시장이 갈수록 커지는 등 실용성과 기능성을 가진 운동화의 소비가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정치적, 법률적 환경
미국의 신발시장 규모는 20억 컬레, 530억 달러가 넘고 있고 미국 신발시장의 80%를 넘게 공급하는 중국은 제품의 가격경쟁력으로 장악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미국 진출 확대의 가장 걸림돌이 가격경쟁력으로 판단된다.
한미 FTA 협상 및 체결이 된 후 상호 관세가 없는 무세화 교역이 이루어졌다. FTA 협상(안)으로 신발류 평균관세가 미국 11.1%, 한국 10.2%로 관세 철폐의 협상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원산지 규정(안)은 HS 4단위 변경인 경우 최종 생산 국가에 원산지 인정하고 HS6406에서 6401~6405로 변경되는 경우 갑피, 창, 조립 의 3공정 중 2가지 공정을 수행한 국가를 원산지로 인정한다. 개성공단 제품의 국내산으로 원산지를 인정하는 방안은 칠레, 아세안 FTA협상안과 같이 진행, 아세안과의 협상과 같이 생산품목(100개)로 시작하여 점차 생산품목을 매년 첨부하는 방식도 협의하였다.
3) 기술적 환경
신발기술 개발은 소재개발, 편의성 향상 및 디자인 혁신 등에서 나타난다. 소재개발은 생산기지 이전 후 집중하였는데 성신 신소재의 압축성형 중창용 EVA resin 개발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피혁소재개발(방수 및 통기성 제고), 고탄성 유지 또는 충격 흡수력 향상, 미끄럼 방지 등 사용 목적에 따라 관련 소재를 개발하는데 우리나라의 운동화 용 피혁 품질은 세계 제 1수준이다. 유명 Sole 제조사인 이태리의 Vivram 에 이어 한국에서도 하이퍼그
본사도 일본식 정원과 호수, 육상 트랙을 갖춘 건물로 셔츠바람에 운동화를 신고 근무할 수 있고 건강과 창의력을 중시하는 나이키의 경영철학에 따라 담배를 필수 없다고 한다. 회장 자신이 본사 캠퍼스 주변을 자주 뛰면서 종업원이나 고객들과 마주치면 끊임없이 제품의 질이나 만족도에 대해서 질문하며 시장과 소비자에 초점을 두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신발과 의류용품 3개 분야에서 동종업계 최다수의 디자이너를 확보하고 최대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본사 스포츠 연구소에는 14명의 연구원이 운동선수들의 신기록 경신을 위한 제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스포츠 연구를 위해 일본과 유럽에도 스포츠 리서치랩을 설치하고 디자인개발을 위해 본사 제품 혁신팀 내에 73명의 디자이너를 확보하고 연간 700여종의 신제품을 내놓고 있다. 이런 연구개발과 함께 전 직원이 스포츠 정신으로 무장하기 위해 본사곳곳에 농구장 테니스장 축구장 등을 갖추고 스포츠와 가깝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4) 라인
1) 나이키스포츠
스포츠가 들어가는 만큼 퍼포먼스(Performance, 개인의 연주, 능력, 성과를 뜻함)를 위한 기능성 제품들에 초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히 보는 나이키 관련 상품 군에 해당한다. 기능성 축구화, 런닝화, 농구화, 나이키 프로제품들이 출시되는 라인이다. 이 라인의 경우 나이키에서 가장 많은 매장들을 차지하고 있다.
2) NSW(Nike Sport Wear)
나이키 스포츠보다 좀 더 캐주얼한 느낌에 초점을 맞춘 라인이다. 나이키 스포츠웨어는 나이키의 히스토리를 이야기하는 매장이다. 나이키 스포츠웨어에서는 기능성을 겸비한 스트리트 패션 제품군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3) 나이키 골프
라인 이름대로 골프에 관련된 상품 군으로 골프 천재 타이거 우즈를 대표 모델로 기용한 스타마케팅을 함에 따라 이전까지 골프 시장에서 바닥이었던 인지도를 업계 1위로 끌어올렸다.
4) 나이키 키즈
아동용 의복이나 신발, 소품 등의 상품 군을 판매한다.
2. 환경 분석
(1) 거시 환경 분석
1) 경제적 환경
① 우리나라 신발산업 발전 수준
신발산업은 1970~1980년대의 효자 수출산업으로 경제성장의 주역이었다. 1990년 이후 원자재 가격상승, 원화 평가 절하 및 급격한 임금상승 등으로 대표적인 국내 신발완제품 생산업체가 저임금의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수출 가격 경쟁력을 상실함으로써 산업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국내 신발산업은 중저가품 생산라인의 개도국 이전과 함께 신발 생산기지로서의 전통적 위치는 약화되는 반면, 기술 집약적이고 고급 신제품 및 고기능성 소재나 부품의 개발 및 수출기지로서의 위치는 강화되고 있다. 생산거점의 상당부문을 해외 이전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개발, 제품기획, 마케팅 등의 전략을 총괄하면서 고가의 기능성 신발 위주의 생산을 실시하고 해외공장에서는 중저가품을 대량 생산, 수출하는 생산체제와 이원화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신발산업은 1980년대까지 한국의 주요 수출산업으로 고용과 성장의 주역이었으나 1990년대부터 경쟁력을 상실하여 신발산업의 총 수출 중 신발 산업 비중은 1977년에 5.0%, 1990년 6.6%, 2008년 0.1%로 변화 하였다. 1990년대 초반 생산규모가 4조 원대였던 한국의 신발산업은 제조거점의 해외 이전으로 인한 수출물량 감소로 2005년 생산규모가 1.7조 원으로 축소되었다. 신발 수출은 달러기준으로 1977년에 49000달러, 1990년에 437000달러, 2005년에 48000달러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2005년 이후 연평균 6.6%의 성장으로 2008년에는 생산규모가 2조 원대로 회복되었다.
② 신발 소비패턴
신발 소비 패턴이 유명브랜드 위주에서 실용성과 기능성을 중시하는 소비패턴으로 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국에 둘레길, 올레길 등 워킹 문화가 확산되면서 걷기 열풍과 맞물려 기능성 운동화 시장이 2007년 1천억 원, 2009년 3천억 원 규모였지만 2010년에는 6천 억 원대로 커졌다. 소비자들은 워킹, 조깅, 러닝, 다이어트, 등산, 트레킹 등 소비자가 원하는 목적과 생활 패턴에 따라 신발을 선택하여 단순한 걷기용 운동화가 맞춤형 고객 라이프스타일과 접목되면서 시장이 갈수록 커지는 등 실용성과 기능성을 가진 운동화의 소비가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정치적, 법률적 환경
미국의 신발시장 규모는 20억 컬레, 530억 달러가 넘고 있고 미국 신발시장의 80%를 넘게 공급하는 중국은 제품의 가격경쟁력으로 장악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미국 진출 확대의 가장 걸림돌이 가격경쟁력으로 판단된다.
한미 FTA 협상 및 체결이 된 후 상호 관세가 없는 무세화 교역이 이루어졌다. FTA 협상(안)으로 신발류 평균관세가 미국 11.1%, 한국 10.2%로 관세 철폐의 협상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원산지 규정(안)은 HS 4단위 변경인 경우 최종 생산 국가에 원산지 인정하고 HS6406에서 6401~6405로 변경되는 경우 갑피, 창, 조립 의 3공정 중 2가지 공정을 수행한 국가를 원산지로 인정한다. 개성공단 제품의 국내산으로 원산지를 인정하는 방안은 칠레, 아세안 FTA협상안과 같이 진행, 아세안과의 협상과 같이 생산품목(100개)로 시작하여 점차 생산품목을 매년 첨부하는 방식도 협의하였다.
3) 기술적 환경
신발기술 개발은 소재개발, 편의성 향상 및 디자인 혁신 등에서 나타난다. 소재개발은 생산기지 이전 후 집중하였는데 성신 신소재의 압축성형 중창용 EVA resin 개발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피혁소재개발(방수 및 통기성 제고), 고탄성 유지 또는 충격 흡수력 향상, 미끄럼 방지 등 사용 목적에 따라 관련 소재를 개발하는데 우리나라의 운동화 용 피혁 품질은 세계 제 1수준이다. 유명 Sole 제조사인 이태리의 Vivram 에 이어 한국에서도 하이퍼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