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및 비만관리 기말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이어트및 비만관리 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9주차 비만치료 및 예방을 위한 운동요법과 행동치료
10주차 비만의약물치료
11주차 체중감량후유지요법-요요현상예방법
12주차 연령별비만관리-소아청소년비만
13주차 연령별 비만관리-산후비만, 갱년기비만
14주차 연령별비만관리

본문내용

외식을 줄이자
8. 물 많이 마시자
9. 녹황색 채소를 매끼 먹자.
3-4 행동 수정의 단체 및 원리
10주차 비만의약물치료
[비만 치료 시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1-1 일반적 원칙
비만 환자들의 특징 : 체중 조절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약물 요법 고려
합병증 동반된 경우 , 비만도가 높은 경우 -> 약물 요법 고려
1-2 약물 치료의 적응증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체질량 지수가 25kg/m 이상인 경우
- 체질량 지수가 23kg.이상이면서 심혈관계 합병증(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혹은 수면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된 경우
[약물 치료가 안 되는 경우]
- 소아, 임산부, 수유부나 기타 중증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 비만 치료제에 부작용을 경험한 환자
- 현재 다른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복용중인 환자
2-1 비만 치료 약물의 역사
[비만 치료 약물의 역사]
# 갑상선 추출물
- 비만 치료제로 가장 먼저 사용했던 약물
- 수십 년간 사용되어짐
- 현재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원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작용 때문에 사용치 않음
#Dinitrophenol
- 1990년대 초에 방직공들이 dinitrophenol 을 흡힙 후 체중이 줄어 경구 약제로 개발
- 수년간 사용되었으나 신경병증, 백내장 등의 심한 합병증으로 금지
# 기타 약제
- 1937년에 dextroamphetamine이 치료에 도입
- 이후 디지털리스, 암페타민이 단독 및 병합 치료도 사용
- 많은 환자들이 사망할 정도로 심각한 부작용 있음
# 병합요법
- 병합요법이 단독 요법보다 효용성 안정성에서 우수한다는 연구 발표
- Phentermine과 Fenfluramine의 병합 치료가 유행
- 세로토닌제제인 Fenfluramine, dexfenfluramine 및 복합 제제는 일차성 폐고혈압과 판막성 심질환
발생의 증가로 1997년 9월 판매가 금지됨
2-2 비만 치료 약물의 종류
[체중 조절 약물의 분류]
- 중추신경계에 작용, 식이 행동, 식욕과 기타 기전에 영향을 주는약물
- 위장관과 같은 말초 조직에 작용하여 흡수를 방해하거나 포만감을 높이는 약물
[ 체중 조절 약물의 분류표]
2-2 비만 치료 약물의 종류
[비만 치료제의 사용에 있어 고려사항]
- 비만 치료제는 식사요법, 운동 요법, 행동요법과 함께 시행
- 체중 감량의 목적은 체중을 줄여서 비만과 동반되는 많은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려는데 있다
- 체중 감량의 목표를 현재 체중에서 5~10% 감량으로 한다.
- 초기 집중 치료 기간은 3~6개월 정고, 체중 감량 속도는 주당0.5~2kg 정도면 적당
- 건강위험도의 감소(혈압강하와 혈당 조절 향상)를 기대
[장기간 치료 효과가 안전성이 인정fda 되어 국내에서 사용되는 약제]
Orlistat, Sibutramine
[단기간 사용이 허용된 비만 치료제 12주 이내]
Phendimetrazine, Phentermine, Mazindol
3-1 orlistat
1.기전
- 췌장 및 위에서의 carboxylester lipase inhibitor로 작용
- 음식을 통해 섭취한 지방의 흡수를 저해하여(30%) 지방을 통한 에너지 섭취를 줄임
2, 효과
- 위약군보다 현저한 체중 감량 효과가 있음
: 칼로리 섭취를 약간 줄이면서 지방 흡수 저해제를 복용할 때
: 이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서 칼로리 섭취만을 줄인 사람에 비해 체중 감량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비만한 당뇨병 환자에서혈당을 낮춤
-콜레스테롤과 혈압을 낮춤
-6개월 사용 후 복강내 지방의 유의한 감소
3. 부작용
기름이 섞인 변, 복부 패만감, 가스 배출, 절박성 재변
4. 금기
만성 흡수 불량 증후군, 담즙 분비 정지
3-2 Sibutramine
1.기전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
갈색지방조직의 b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열생산 증가
b과 5ht2a/2c 수용체를 통해 포만감을 느끼게 하여 에너지 섭취를 감소
2, 효과
- 위약군보다 현저한 체중 감량 효과가 있음
- 혈중 지질 대사가 개선
-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개선
3. 부작용
흔한 부작용- 두통, 변비, 구강, 구역, 현기증, 불면증
주의-노르아드레날린성 작용에 의한 혈압과 맥박 상승
4. 금기
-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심부전증, 부정맥, 뇌졸증의 과거력, 중증의 간질환
,신장 장애, 세로토닌계 편두통 치료약제 복욕자, 식욕 억제다나 항우울제 복용자
[약물의 선택]
3-3 Phendimetetrazine
1.기전
- 신경말단부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의 분비를 자극하고 두 산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막는 작용을 통해 식욕 억제 효과를나타냄
2, 효과
- 12주간 투여 시험에서 위약군보다 더 많게 3.4kg의 체중이 감량되었다는 보고
- 장기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음
3. 부작용
흔한 부작용- 안절부절못한, 구강건조, 변비
드문 부작용- 확장석 심근병증, 급성 간질성 신염, 사망
4. 금기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 녹내자으 알코올 혹은 약물 남용의
과거력, 갑상선 기증 항진, 정신 장애
: 장기간 투여 갑작스런 중지는 극도의 피로나 우울증 초래
3-4 Phentermine
1.기전
- 신경말단부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자극하여 식욕 억제 효과
2, 효과
- 4주복용 4주 중단 시험에서 위약군5.1% 지속적 투여군이 13% 간혈적 투여군13;4 체중감소 효과
3. 부작용
흔한: 불면, 변비, 빈맥, 구강건조감,, 무력감
4. 금기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관상독맥 질환, 심부전증, 부정맥, 뇌졸중의 과거력, 월발성 폐고혈압
심장판막질환, 녹내장, 알코올 혹은 약물 남용의 과거력.
3-5 Mazindol
1.기전
중추 신경과 뇌를 자극하여 식욕 억제 효과
2, 효과
1일 1~3회로 용법이 다양하여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적고 단기간 에 뚜력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짐
3. 부작용
불규칙한, 혈압 상승, 불면, 진전, 입마름, 설사, 변비, 성욕 변화
4. 금기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심부전증, 부정맥, 뇌졸중의 과거력,
녹내장, 알코올 혹은 약물 남용의 과거력, 정신 질환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9.0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