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의 다기(茶器)
1. 다호(茶壺, 도기陶器)
2. 개완(蓋碗)
3. 다해(茶海)
4. 다배(茶杯)
5.다선(茶船), 다반(茶盤)
6.다탁(茶托)
7. 다예소구(茶藝小具)
8. 기타: 다건(茶巾)과 다엽호(葉茶壺, 葉茶入)
일본 다도와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1) 일본 다도의 기타사항
2)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일본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
1) 일본의 대표적인 차
2) 중국의 대표적인 차
epilogue
1. 다호(茶壺, 도기陶器)
2. 개완(蓋碗)
3. 다해(茶海)
4. 다배(茶杯)
5.다선(茶船), 다반(茶盤)
6.다탁(茶托)
7. 다예소구(茶藝小具)
8. 기타: 다건(茶巾)과 다엽호(葉茶壺, 葉茶入)
일본 다도와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1) 일본 다도의 기타사항
2)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일본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
1) 일본의 대표적인 차
2) 중국의 대표적인 차
epilogue
본문내용
느낄 수조차 없다고도 말할 수 있겠다. 당연히 한국인이 와비, 사비를 이해하는 것은 그보다 더 무리한 일일 것이다.
②일본인들의 실제 다도 생활
일본의 다도생활은 간단하지 않다. 그 절차가 다구를 다루는 법에서부터 걸음걸이, 앉는 자세, 차를 우려내는 과정의 절차는 무척이나 까다로우며 섬세하고 정교하며 고요하여 정적이 감도는 순간 속에서 한 잔의 차를 얻는다.
일본에서는 최소한 일 년에 한 번씩 전국 다도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다회에 사용하였던 다구(찻잔, 찻사발, 차숟가락, 차솔 등)을 참석자가 일일이 관람하고 손으로 음미하고 눈으로 감상도 하고 각자 다구에 대해 문의를 하고 답해 주고 있다.
그때 다구를 감상하는 사람은 자기 앞에 보자기를 깔고 다구를 보자기 위에 놓고 팔꿈치를 바닥에 댄 채로 두 손바닥으로 돌려가면서 조심스럽게 감상한다.
절대 작은 잔 하나라도 한 손으로 들고 보지 않는다. 이토록 다인들은 모든 차도구를 소중하게 여기고 있으며 다구의 가치를 헤아릴 수 없으리 만큼 귀중한 고가품이 많다.
일본의 가루차(抹茶) 생산은 세계 제1위 수준에 있다. 일본인이라면 누구나 다 다인이다. 여자가 결혼하기 전에는 반드시 다법을 배우고 시집을 가야 하며 다도대학도 있다. 그만큼 일본에서는 다문화가 숭상되고 있으며 패전국에서 오늘날의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원인을 자국민들은 다도, 문화 정신이라고 말하고 있다.
③일본인의 차 마시는 방법
말차(분말형태의 정제된 찻잎) 마시는법
1) 찻물을 끓인다.
2) 다완을 준비 한다.
3) 먼저 끓인물을 다완에 부어 조금 예열을 한다. (예열후 물을 버린다)
4) 그리고 스푼으로 말차를 한스푼 떠서 다완에 담는다.
5) 90도 정도 되는 물을 다완에 조금 붓고 차선으로 한방향으로 잘 젓는다.
6) 어느 정도 거품이 생기면 다시 적당량의 물을 붓고 한방향으로 잘 젓는다.
7) 거품(茶花)이 많이 일수록 차 맛은 부드러워진다
8) 양손으로 다완을 공손히 잡고 다소곳이 마신다.
2)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① 중국인들의 실제 다도 생활
중국의 차문화는 식사시, 회의시, 생활 깊숙이 파고 들어 한국인들이 물 마시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들에게 차를 마시는 것은 하나의 풍속이자,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를 배우는 것이다. 중국의 전통적인 습속으로는 친구나 친척 등 각별한 관계가 있는 사람이 아니면 좀처럼 집을 방문하지 않으며 설사 방문했다 하더라도 집안에 들려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낯선 사람간의 대화나 사업을 위한 장소로는 차를 마시는 다관이 제일 자주 이용된다. 이 점은 실질을 중시하는 사람들의 국민성과도 관계가 있다. 즉 차 한잔 마시면서 간단한 식사를 하므로 비용이 저렴할 수밖에 없다. 별도의 예의를 요하지 않으나 상대방의 잔에 물이 빌 경우 계속 따라주는 것이 예의이다. 그리고 차를 마시는 중에는 정치를 논하지 말라야 한다. 다관에 많은 사람이 모이게 되니 자연히 정치 이야기도 나오게 되어 전에는 조정에서 몰래 정탐꾼을 보내 불순분자를 색출하는 장소로 다관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②중국인의 차 마시는 방법
가장 대표적인 공부다법을 간단히 소개하겠다.
1) 다호를 다반이나 다선에 올려놓고 끓는 물을 붇는다.
2) 다호의 물을 다해로 옮겨 다해를 예열 시킨다
3) 다해의 물을 다배로 옮겨 다배를 예열한다.
4) 다배의 물을 수우나 다반에 버린다.
5) 차칙이나 다하를 사용하여 다호에 차를 넣는다.
6) 다호에 끓는 물을 붓고 차를 씻어서 따라 버린다.
7) 다호에 뜨거운 물을 다시 붓는다.
8) 다호에 뜬 거품을 걷어 낸다.
9) 뚜껑을 닫고 다호의 외부에 끓는 물을 붓는다.
10) 다해에 우려진 차를 따른다.
11) 다해의 차를 다배에 나누어 따른다.
12) 찻잔 받침에 다배를 올려 손님에게 낸다.
일본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
1) 일본의 대표적인 차
玉露
(옥로:쿄쿠로)
따기 전에 직사광선을 차단한 것으로 선명한 녹색의 차잎이 태어나 쿄쿠로의 독특한 단맛과 향기를 즐길수 있다. 작은 찻잔으로 소량을 혀로 굴려서 음미한다.
煎茶
(전차:센챠)
대표적인 녹차로 쪄서 말린 차잎에서 잎부분 만을 모은 차입니다. 찌기의 가감, 불의 가감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맛을 즐길수 있다. 팔십팔일밤(5월2일경, 일본의 24절기 외의 여러 절기,입춘으로부터 88일째) 전후에 딴 차잎은 차 전용 주전자(큐스)를 이용해서 마시기도 한다.
深蒸し茶
(깊이찐 차:후카무시챠?)
차잎을 제조 할때, 찌는 시간을 길게해서, 잎의 섬유질이 부드럽게 되어 푸른빛은 짙고, 깊은 맛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抹茶
(말차:맛차)
햇볕을 피해 길러진 차잎을 찐 다음 비비지 않고 건조시켜 잎맥을 제거한 \"텐챠\"를 멧돌로 갈아 가루차로 만든 것이다. - 텐챠 : 차의 잎을 쪄서 비비지 않고 말린 것. 이것을 가루로 만든것이 바로 맛챠)
다도에 요리에 과자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くき茶
(대차:쿠키차)
줄기나 잎줄기를 모은 차 입니다. 산뜻한 맛으로, 비교적 구하기 쉬운 가격이다.
2) 중국의 대표적인 차
[ 롱징차(龍井茶) ]
중국차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치는 차로 청나라 건륭제때에는 황실에서만 먹을 수 있었던 고급품이다. 항져우(杭州)에 있는 롱징이라는 차밭이 그 특산지이다.
[ 우롱차(烏龍茶) ]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차로 반발효된 것이다. 푸β성의 우의산에서 나는 것이 가장 고급품이다. 우이산수(武夷山水)라는 상표가 붙어있는 것이 가장 고급품이다.
[ 인쩐바이하오(銀針白毫) ]
고원이나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는 진귀한 차 종류로 옛날부터 황제만 마실수 있었던 것이다 불로 장생의 약초로도 유명하다.
[ 푸얼차(普 茶) ]
윈난성(雲南)의 특산차로 발효시킨 것이 특징이다. 차의 입을 그대로 말려 파는 것과 차입을 쪄서 벽돌모양의 압축시켜 만든 주안차(塼茶)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 모리화차(茉利花茶) ]
우리나라에서 쟈스민차로 유명하다. 4분의 1정도 발효시킨 차에다 모리화 꽃을 혼합하여 만든 차다.
[ 주안차(塼茶) ]
차입을 찌거나 발효시켜서 압축하여 벽돌모양을 만든 차를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몽고인들이 즐겨 먹는 방식이다. 차로는 리우바오차(광동성이나 광시
②일본인들의 실제 다도 생활
일본의 다도생활은 간단하지 않다. 그 절차가 다구를 다루는 법에서부터 걸음걸이, 앉는 자세, 차를 우려내는 과정의 절차는 무척이나 까다로우며 섬세하고 정교하며 고요하여 정적이 감도는 순간 속에서 한 잔의 차를 얻는다.
일본에서는 최소한 일 년에 한 번씩 전국 다도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다회에 사용하였던 다구(찻잔, 찻사발, 차숟가락, 차솔 등)을 참석자가 일일이 관람하고 손으로 음미하고 눈으로 감상도 하고 각자 다구에 대해 문의를 하고 답해 주고 있다.
그때 다구를 감상하는 사람은 자기 앞에 보자기를 깔고 다구를 보자기 위에 놓고 팔꿈치를 바닥에 댄 채로 두 손바닥으로 돌려가면서 조심스럽게 감상한다.
절대 작은 잔 하나라도 한 손으로 들고 보지 않는다. 이토록 다인들은 모든 차도구를 소중하게 여기고 있으며 다구의 가치를 헤아릴 수 없으리 만큼 귀중한 고가품이 많다.
일본의 가루차(抹茶) 생산은 세계 제1위 수준에 있다. 일본인이라면 누구나 다 다인이다. 여자가 결혼하기 전에는 반드시 다법을 배우고 시집을 가야 하며 다도대학도 있다. 그만큼 일본에서는 다문화가 숭상되고 있으며 패전국에서 오늘날의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원인을 자국민들은 다도, 문화 정신이라고 말하고 있다.
③일본인의 차 마시는 방법
말차(분말형태의 정제된 찻잎) 마시는법
1) 찻물을 끓인다.
2) 다완을 준비 한다.
3) 먼저 끓인물을 다완에 부어 조금 예열을 한다. (예열후 물을 버린다)
4) 그리고 스푼으로 말차를 한스푼 떠서 다완에 담는다.
5) 90도 정도 되는 물을 다완에 조금 붓고 차선으로 한방향으로 잘 젓는다.
6) 어느 정도 거품이 생기면 다시 적당량의 물을 붓고 한방향으로 잘 젓는다.
7) 거품(茶花)이 많이 일수록 차 맛은 부드러워진다
8) 양손으로 다완을 공손히 잡고 다소곳이 마신다.
2) 중국 다예의 기타사항
① 중국인들의 실제 다도 생활
중국의 차문화는 식사시, 회의시, 생활 깊숙이 파고 들어 한국인들이 물 마시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들에게 차를 마시는 것은 하나의 풍속이자,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를 배우는 것이다. 중국의 전통적인 습속으로는 친구나 친척 등 각별한 관계가 있는 사람이 아니면 좀처럼 집을 방문하지 않으며 설사 방문했다 하더라도 집안에 들려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낯선 사람간의 대화나 사업을 위한 장소로는 차를 마시는 다관이 제일 자주 이용된다. 이 점은 실질을 중시하는 사람들의 국민성과도 관계가 있다. 즉 차 한잔 마시면서 간단한 식사를 하므로 비용이 저렴할 수밖에 없다. 별도의 예의를 요하지 않으나 상대방의 잔에 물이 빌 경우 계속 따라주는 것이 예의이다. 그리고 차를 마시는 중에는 정치를 논하지 말라야 한다. 다관에 많은 사람이 모이게 되니 자연히 정치 이야기도 나오게 되어 전에는 조정에서 몰래 정탐꾼을 보내 불순분자를 색출하는 장소로 다관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②중국인의 차 마시는 방법
가장 대표적인 공부다법을 간단히 소개하겠다.
1) 다호를 다반이나 다선에 올려놓고 끓는 물을 붇는다.
2) 다호의 물을 다해로 옮겨 다해를 예열 시킨다
3) 다해의 물을 다배로 옮겨 다배를 예열한다.
4) 다배의 물을 수우나 다반에 버린다.
5) 차칙이나 다하를 사용하여 다호에 차를 넣는다.
6) 다호에 끓는 물을 붓고 차를 씻어서 따라 버린다.
7) 다호에 뜨거운 물을 다시 붓는다.
8) 다호에 뜬 거품을 걷어 낸다.
9) 뚜껑을 닫고 다호의 외부에 끓는 물을 붓는다.
10) 다해에 우려진 차를 따른다.
11) 다해의 차를 다배에 나누어 따른다.
12) 찻잔 받침에 다배를 올려 손님에게 낸다.
일본과 중국의 대표적인 차
1) 일본의 대표적인 차
玉露
(옥로:쿄쿠로)
따기 전에 직사광선을 차단한 것으로 선명한 녹색의 차잎이 태어나 쿄쿠로의 독특한 단맛과 향기를 즐길수 있다. 작은 찻잔으로 소량을 혀로 굴려서 음미한다.
煎茶
(전차:센챠)
대표적인 녹차로 쪄서 말린 차잎에서 잎부분 만을 모은 차입니다. 찌기의 가감, 불의 가감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맛을 즐길수 있다. 팔십팔일밤(5월2일경, 일본의 24절기 외의 여러 절기,입춘으로부터 88일째) 전후에 딴 차잎은 차 전용 주전자(큐스)를 이용해서 마시기도 한다.
深蒸し茶
(깊이찐 차:후카무시챠?)
차잎을 제조 할때, 찌는 시간을 길게해서, 잎의 섬유질이 부드럽게 되어 푸른빛은 짙고, 깊은 맛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抹茶
(말차:맛차)
햇볕을 피해 길러진 차잎을 찐 다음 비비지 않고 건조시켜 잎맥을 제거한 \"텐챠\"를 멧돌로 갈아 가루차로 만든 것이다. - 텐챠 : 차의 잎을 쪄서 비비지 않고 말린 것. 이것을 가루로 만든것이 바로 맛챠)
다도에 요리에 과자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くき茶
(대차:쿠키차)
줄기나 잎줄기를 모은 차 입니다. 산뜻한 맛으로, 비교적 구하기 쉬운 가격이다.
2) 중국의 대표적인 차
[ 롱징차(龍井茶) ]
중국차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치는 차로 청나라 건륭제때에는 황실에서만 먹을 수 있었던 고급품이다. 항져우(杭州)에 있는 롱징이라는 차밭이 그 특산지이다.
[ 우롱차(烏龍茶) ]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차로 반발효된 것이다. 푸β성의 우의산에서 나는 것이 가장 고급품이다. 우이산수(武夷山水)라는 상표가 붙어있는 것이 가장 고급품이다.
[ 인쩐바이하오(銀針白毫) ]
고원이나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는 진귀한 차 종류로 옛날부터 황제만 마실수 있었던 것이다 불로 장생의 약초로도 유명하다.
[ 푸얼차(普 茶) ]
윈난성(雲南)의 특산차로 발효시킨 것이 특징이다. 차의 입을 그대로 말려 파는 것과 차입을 쪄서 벽돌모양의 압축시켜 만든 주안차(塼茶)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 모리화차(茉利花茶) ]
우리나라에서 쟈스민차로 유명하다. 4분의 1정도 발효시킨 차에다 모리화 꽃을 혼합하여 만든 차다.
[ 주안차(塼茶) ]
차입을 찌거나 발효시켜서 압축하여 벽돌모양을 만든 차를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몽고인들이 즐겨 먹는 방식이다. 차로는 리우바오차(광동성이나 광시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정책을 국제행정론의 측면(Global Governance, ...
중국 조선 산업의 현황과 전망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중관계
[경제학, 경영학, 중국경제] 중국의 경제성장요인과 발전방향
숫자와 중국문화
S.M. Entertainment의 일본 및 중국시장 진출 성공사례에 관한 조사
중국기업의 경쟁력 (상하이자동차)
동북아(한국 중국 일본) 경제협력체
이마트의 중국 진출 성공 마케팅 전략
한국과 중국의 무역상황에 따른 향후 전망
중일근대화(중국과 일본의 근대화), 중일관계(중국과 일본의 관계), 중일정보문화, 중일역사...
우수레포트[9.11 테러와 중국 안보정책] 9.11테러 이전 중국의 안보정책, 911테러 이후 중국 ...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중국 자동차보험시장 진출과 시장 확대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