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생물 이란
1. 미생물의 종류
1) Bacteria
2) 조류
3) 균류
4) 원생동물류
5) 바이러스
2. 주요 미생물의 종류
1) ·유산균 (=젖산균)
2) 효모(Yeast, 이스트)
3) 사상균(곰팡이)
4) 광합성 세균
5) 비티(B/T)균
6) 고온성 미생물
7) 질소 고정균
8) 일반 호기성 세균
3. 미생물의 증식 속도
4.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위한 용량 - 반응 모델
5. 미생물의 구조
6. 바이러스 생존 방법
1. 미생물의 종류
1) Bacteria
2) 조류
3) 균류
4) 원생동물류
5) 바이러스
2. 주요 미생물의 종류
1) ·유산균 (=젖산균)
2) 효모(Yeast, 이스트)
3) 사상균(곰팡이)
4) 광합성 세균
5) 비티(B/T)균
6) 고온성 미생물
7) 질소 고정균
8) 일반 호기성 세균
3. 미생물의 증식 속도
4.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위한 용량 - 반응 모델
5. 미생물의 구조
6. 바이러스 생존 방법
본문내용
으로 뽑아내는데 성공하였다. 이때부터 생물-무생물의 논쟁이 시작 되었다. 1938년 독일의 루스카가 바이러스의 모습 전자현미경으로 포착 하였다.
종류
단백질 껍데기와 핵산 만으로 이루어 지는 바이러스
정20면체의 단백질 껍데기 바깥쪽에 이를 감싸고 있는 막이 있는 바이러스
나선 모양의 통 같은 단백질 껍데기 바깥쪽에
이를 감싸고 있는 막이 있는 바이러스
예
A 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 독감 바이러스
2. 주요 미생물의 종류
1) ·유산균 (=젖산균)
공기가 있건 없건 20~40에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자라며, 배양 과정 중 젖산을 생산하여 산도를 저하(pH4) 시키고 과산화수소 (H2O2) 를 생성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토양 병해를 방지한다.
또한 각종의 생리 활성 물질 (비타민, 아미노산, 핵산 등), 향균물질, 항암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작물의 경우 식물체 자기 방어 능력을 증가시키며, 가축의 경우 장내 미생물상 안정화, 사료 효율 증가, 내병성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 엔실리지(담근 먹이)의 제조에도 이용된다.
작물재배에서는 인산과 각종 비료의 활성을 높게 해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며, 각종 액비제조 시 발효에 활용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균주는 간균(桿菌)인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구균(球菌) 인 streptococcus lacits 등이 있다.
2) 효모(Yeast, 이스트)
원래는 효모, 즉 이스트 속에서 볼 수 있는 균류를 말하며 사카로미케스(Sacharomyces)라는 속(屬)에들어가는 곰팡이류를 가리켰는데, 근년에 와서 이스트 이외에 그 체제가 간단한 점에서 아주 비슷한 균이다수 발견되었으므로 이것을 일괄하여 효모균류라고 한다. 이 균류는 곰팡이류라고 하지만 균사(菌絲)가 발달하지 않고 대부분이 구형(球形)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단세포이다. 한천배지상에서 배양하면 군집은 곰팡이류보다도 박테리아류와 아주 비슷하며 점액상(粘液狀)을 나타내는 일이 많다. 그러나 넓은 뜻의 효모균류 중에는 세포가 세로로 연결되어 곰팡이류의 균사를 닮은 위균사(僞菌絲)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쌀겨, 밀기울 등 농가 부산물의 발효시 열 발생의 주요 미생물로서 유기물 분해 능력이 뛰어 나며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발효력이나 생존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악취발생원 (축사 바닥 등)에 살포시 악취제거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아미노산, 비타민 등 작물 및 가축 성장에 필수적인 성분을 다량 생산하며 사료의 기호성을 높여준다. 공기가 있어야 잘 자란다.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이다.
3) 사상균(곰팡이)
곰팡이는 보통 그 본체가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균류 중에서도 세균·고초균·버섯 등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효모와도 구별하지만 엄밀하게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균류는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조균류 270속 1,500종, 자낭균류 1,850속 1만 5000종, 담자균류
550속 1만 5000종, 불완전균류 1,450속 1만 5000종, 그밖의 것을 포함하면 합계 4,400속 5만 종이 된다. 이 가운데서 버섯을 형성하는 것은 자낭균류의 일부와 담자균류가 대부분이므로 나머지는 모두 곰팡이류로 다루게 된다. 그러므로 곰팡이류의 종류는 아무리 적게 보아도 3만 종 이상이다.
4) 광합성 세균
마치 식물처럼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행하는 세균이다. 진홍색을 띠며 균체내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고 각종 비타민, 미네랄, 생리 활성 물질 및 향균, 항 바이러스 물질을 다량 생산 한다.
광합성 세균은 암모니아, 유화 수소, 유기산 등 각종 악취 발생 물질을 섭취하면서 자라므로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광합성 세균은 가스 제거 역할도 수행함으로서 하우스의 미숙 유기물 시용에 따른 가스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또한 오염된 더러운 물의 정화 능력도 뛰어나 양어장의 정수 처리용 미생물로도 사용되고 있다. 농업에서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Rhodopseudomonas 속 균으로 황색 비유황세균으로 분류된다. 발근촉진 효과와 화아 형성에 도움을 주며, 착색 촉진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5) 비티(B/T)균
미생물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는 세균으로서 균체내에 독소를 만들며, 해출 (청벌레, 좀나방, 자벌레, 파밤나방, 명나방 등)의 유충이 이독소를 먹게 되면 장이 파괴되어 죽게 된다. 최근에는 토양 유해 선충을 죽이는 B/T 균도 개발되고 있다.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Bacillus thuringiensis 이다.
6) 고온성 미생물
보통의 미생물들은 20~35 의 온도에서 잘 자라나 이들 고온성 미생물은 50~70 의 고온에서 최적 생장을 하며, 또한 그 활성이 대단히 우수한 각종 효소를 생산한다. 흙살림에서는 태양열 처리 시 고온성미생물을 이용한다. 고온성 미생물에는 세균이 많다.
7) 질소 고정균
모든 식물체는 대기 중의 질소를 질소원으로 직접 이용할 수 없으므로 화학 합성 질소비교를 사용함으로써 질소분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질소 고정 미생물은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며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질소비료 시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주로 콩과작물에서 잘 관찰되지만 대부분의 작물이 다양한 질소고정균과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콩과에 공생하는 균은 리죠비움 속이며, 다른 작물에 공생하는 균은 아죠토박터 속이 많다.
8) 일반 호기성 세균
공기가 있는 상태에서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자라는 집단으로서, 균종에 따라서는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동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생산하는 등 식물체의 모든 부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미생물 집단이다. 토양을 분석해보면 각종 세균, 방선균, 곰팡이 등이 매우 많이 존재하는데 작물 재배토양은 세균이 우점하고, 산림토양은 곰팡이가 우점한다.
3. 미생물의 증식 속도
미생물은 최적의 조건에서 지수식으로 증식한다.
: 미생물수 또는 농도
: 시간
: 비증식 계수
- Momod 식
: 먹이의 농도가 적을 때는 먹이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식계수가 크고, 먹이의 농도가 풍부할
종류
단백질 껍데기와 핵산 만으로 이루어 지는 바이러스
정20면체의 단백질 껍데기 바깥쪽에 이를 감싸고 있는 막이 있는 바이러스
나선 모양의 통 같은 단백질 껍데기 바깥쪽에
이를 감싸고 있는 막이 있는 바이러스
예
A 형 간염 바이러스
홍역, 독감 바이러스
2. 주요 미생물의 종류
1) ·유산균 (=젖산균)
공기가 있건 없건 20~40에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자라며, 배양 과정 중 젖산을 생산하여 산도를 저하(pH4) 시키고 과산화수소 (H2O2) 를 생성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토양 병해를 방지한다.
또한 각종의 생리 활성 물질 (비타민, 아미노산, 핵산 등), 향균물질, 항암물질을 생산함으로써 작물의 경우 식물체 자기 방어 능력을 증가시키며, 가축의 경우 장내 미생물상 안정화, 사료 효율 증가, 내병성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 엔실리지(담근 먹이)의 제조에도 이용된다.
작물재배에서는 인산과 각종 비료의 활성을 높게 해주어 생육을 촉진시키며, 각종 액비제조 시 발효에 활용된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균주는 간균(桿菌)인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구균(球菌) 인 streptococcus lacits 등이 있다.
2) 효모(Yeast, 이스트)
원래는 효모, 즉 이스트 속에서 볼 수 있는 균류를 말하며 사카로미케스(Sacharomyces)라는 속(屬)에들어가는 곰팡이류를 가리켰는데, 근년에 와서 이스트 이외에 그 체제가 간단한 점에서 아주 비슷한 균이다수 발견되었으므로 이것을 일괄하여 효모균류라고 한다. 이 균류는 곰팡이류라고 하지만 균사(菌絲)가 발달하지 않고 대부분이 구형(球形)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단세포이다. 한천배지상에서 배양하면 군집은 곰팡이류보다도 박테리아류와 아주 비슷하며 점액상(粘液狀)을 나타내는 일이 많다. 그러나 넓은 뜻의 효모균류 중에는 세포가 세로로 연결되어 곰팡이류의 균사를 닮은 위균사(僞菌絲)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쌀겨, 밀기울 등 농가 부산물의 발효시 열 발생의 주요 미생물로서 유기물 분해 능력이 뛰어 나며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발효력이나 생존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악취발생원 (축사 바닥 등)에 살포시 악취제거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아미노산, 비타민 등 작물 및 가축 성장에 필수적인 성분을 다량 생산하며 사료의 기호성을 높여준다. 공기가 있어야 잘 자란다.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이다.
3) 사상균(곰팡이)
곰팡이는 보통 그 본체가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균류 중에서도 세균·고초균·버섯 등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효모와도 구별하지만 엄밀하게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균류는 보통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조균류 270속 1,500종, 자낭균류 1,850속 1만 5000종, 담자균류
550속 1만 5000종, 불완전균류 1,450속 1만 5000종, 그밖의 것을 포함하면 합계 4,400속 5만 종이 된다. 이 가운데서 버섯을 형성하는 것은 자낭균류의 일부와 담자균류가 대부분이므로 나머지는 모두 곰팡이류로 다루게 된다. 그러므로 곰팡이류의 종류는 아무리 적게 보아도 3만 종 이상이다.
4) 광합성 세균
마치 식물처럼 햇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을 행하는 세균이다. 진홍색을 띠며 균체내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고 각종 비타민, 미네랄, 생리 활성 물질 및 향균, 항 바이러스 물질을 다량 생산 한다.
광합성 세균은 암모니아, 유화 수소, 유기산 등 각종 악취 발생 물질을 섭취하면서 자라므로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광합성 세균은 가스 제거 역할도 수행함으로서 하우스의 미숙 유기물 시용에 따른 가스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또한 오염된 더러운 물의 정화 능력도 뛰어나 양어장의 정수 처리용 미생물로도 사용되고 있다. 농업에서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Rhodopseudomonas 속 균으로 황색 비유황세균으로 분류된다. 발근촉진 효과와 화아 형성에 도움을 주며, 착색 촉진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5) 비티(B/T)균
미생물 살충제로 널리 사용되는 세균으로서 균체내에 독소를 만들며, 해출 (청벌레, 좀나방, 자벌레, 파밤나방, 명나방 등)의 유충이 이독소를 먹게 되면 장이 파괴되어 죽게 된다. 최근에는 토양 유해 선충을 죽이는 B/T 균도 개발되고 있다. 주로 이용되는 균주는 Bacillus thuringiensis 이다.
6) 고온성 미생물
보통의 미생물들은 20~35 의 온도에서 잘 자라나 이들 고온성 미생물은 50~70 의 고온에서 최적 생장을 하며, 또한 그 활성이 대단히 우수한 각종 효소를 생산한다. 흙살림에서는 태양열 처리 시 고온성미생물을 이용한다. 고온성 미생물에는 세균이 많다.
7) 질소 고정균
모든 식물체는 대기 중의 질소를 질소원으로 직접 이용할 수 없으므로 화학 합성 질소비교를 사용함으로써 질소분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질소 고정 미생물은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며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질소비료 시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주로 콩과작물에서 잘 관찰되지만 대부분의 작물이 다양한 질소고정균과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콩과에 공생하는 균은 리죠비움 속이며, 다른 작물에 공생하는 균은 아죠토박터 속이 많다.
8) 일반 호기성 세균
공기가 있는 상태에서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자라는 집단으로서, 균종에 따라서는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거나, 동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생산하는 등 식물체의 모든 부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미생물 집단이다. 토양을 분석해보면 각종 세균, 방선균, 곰팡이 등이 매우 많이 존재하는데 작물 재배토양은 세균이 우점하고, 산림토양은 곰팡이가 우점한다.
3. 미생물의 증식 속도
미생물은 최적의 조건에서 지수식으로 증식한다.
: 미생물수 또는 농도
: 시간
: 비증식 계수
- Momod 식
: 먹이의 농도가 적을 때는 먹이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식계수가 크고, 먹이의 농도가 풍부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