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대학 교육사회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범대학 교육사회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사회학 이론
1)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전개
2) 기능주의이론
3) 기능이론의 하위이론들
4) 갈등이론의 교육관과 사회관
5) 갈등이론의 하위이론들
6)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7) 해석적 접근
8)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9) 신교육사회학

2. 교육의 사회적 기능
1) 교육과 문화
2) 사회화와 교육

3. 사회변화와 교육
1) 사회변동과 교육
2) 발전교육론

4. 학교의 팽창과 학력상승
1) 한국의 학교팽창
2) 학교팽창과 학력상승의 원인

5. 교육의 평등
1) 교육평등관의 변화
2) 교육평등관의 여러 유형
3) 교육기회의 분배와 결정요인

6. 교육과 사회평등
1) 사회계층, 사회이동, 사회평등
2) 교육의 사회평등 기여론
3) 교육의 사회불평등 재생산론
4) 무효과론

7. 교육선발과 시험의 성격
1) 교육선발
2) 시험의 성격

8. 학업성취 격차와 결정요인
1)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
2) 학업성취 격차의 학교 내적 요인
3) 학업성취 격차의 학교 외적 요인

9. 학교의 이해와 학교 개혁
1) 학교사회의 이해
2) 근대 학교의 성격과 학교의 한계
3) 학교개혁론
4) 양성성 교육, 환경교육, 북한의 교육, 통일교육

10. 평생교육론
1) 성인교육과 사회교육
2) 평생교육
3) 평생교육법

본문내용

학교를 다녀야 하며, 이전에 비하여 더 많은 교육경비를 투자하여야 한다.
3. 학교교육은 불평등 확인 도구 : 학교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계층은 장기간에 걸쳐 많은 교육경비를 투자할 수 있는 상위계층에 한정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학교교육은 결국 사회적 불평등을 확인시키는 도구에
불과하게 된다.
3. 카노이(Carnoy)의 분석
(1) 분석의 개요
카노이는 교육이 지배층의 이익에 봉사한다는 것을 교육수익률의 교육단계별 변화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그는 교육수익률이 학교가 발달하는 초기에는 낮았다가 취학률이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지만, 취학이 보편화되고 상급학교가 발달하기 시작하면 다시 낮아진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2) 분석의 내용
교육의 수익률이 높을 때는 학교교육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고 경쟁이 치열하므로 하류층은 다니기가 어려워서 중상류층이 주로 다닌다.
교육이 보편화되어 수익률이 낮아져서 경제적으로 가치가 없게 될 때 하류층도 다니게 된다.
교육수익률이 높은 경우, 즉 교육의 경제적 가치가 높을 때는 중상류층이 다니면서 이익을 보고, 이익이 없을 때만 하류층이 다니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가진 자’에게만 봉사하고,‘못 가진 자’에게는 도움을 주지 못한다.
4. 라이트와 페론(Wright and Perrone)의 연구
(1) 연구의 개요
라이트와 페론은 교육이 상층집단에게는 도움이 되나 하층집단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그들은 교육수준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직업집단별, 성별, 인종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육과 계층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2) 연구의 결과
교육의 수익은 노동계급보다 관리자계급에 있어서 더 크다.
관리자와 노동자의 계급차이는 백인 여성과 흑인 남성에서는 작은 반면 백인 남성에게서는 크다. 이것은 백인 남성이 지배적인 위치에 있으며 현재의 계급구조를 지속시키는 세력임을 말해준다.
교육, 연령, 경력 등이 동일한 경우에도 고용주는 관리자나 노동자 보다 많은 소득을 차지한다.
따라서 교육이 상층에게 더 큰 도움이 되고 있다.
04. 무효과론
1. 무효과론
(1) 무효과론의 입장
교육이 사회평등과는 관계가 없으며, 설혹 관계가 있더라도 무시할 정도라는 것이 무효과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입장이다.
계층이동은 평등화의 방향이건 불평등의 방향이건 교육이 아닌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교육은 사회평등화보다는 다른 가치를 추구한다.
(2) 여러 연구들
치스위크와 민서(Chiswick and Mincer)의 연구
① 치스위크와 민선는 1950년부터 70년대 초반까지 미국의 소득분배상황과 교육분배상황을 비교 분석하고 나서 양자 사이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② 교육의 불평등은 점차 일관성 있게 개선되고 있으나 소득의 불평등은 개선되는 흔적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앤더슨(Anderson)의 연구 : 앤더슨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비교한 아들의 교육수준과 아버지의 지위에 비교한 아들의 지위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이 지위의 상향이동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젠크스(Jenks)의 연구 : 젠크스는 학교교육 연한이나 인지적인 요인과 개인의 수입에는 별상관이 없으며, 아버지의 직업이나 교육도 아들의 수입에 거의 관련이 없다는 결과를 제시하여 교육의 사회평등 효과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07. 교육선발과 시험의 성격
01. 교육선발
1. 교육선발의 사회적 기능
(1) 교육선발의 의미
교육선발은 개인적 측면에서 본다면 교육기회의 정당한 획득과정이고, 사회적 차원에서 보면 선발은 제한된 교육기회의 합리적 배분과정이다.
따라서 교육선발은 선발된 사람에게는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선발에 실패한 사람에게는 실패를 수용하도록 하는 성공과 실패의 내면화 과정을 담당하게 된다.
(2) 교육적 선발의 두 가지 기능
가열(warm up)기능 : 사람들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적절한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들이 보다 높은 지위와 역할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기능을 말한다.
냉각(cool out)기능 : 사람들의 규모가 제한된 지위와 자원의 규모에 합당하도록 구성원의 열망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2. 기능론과 갈등론의 선발관
(1) 기능론의 선발관
선발의 기능
① 학습자에 대한 진단기능 : 선발은 학생들을 능력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진단기능을 한다.
② 직업세계에 대한 분류 기능 : 학교는 선발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다른 교육적 경험을 부여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진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업세계가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분류하는 여과기능을 한다.
③ 개인적 능력의 극대화 : 선발은 능력과 성취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소득을 배분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이를 통해 사회의 평등에 기여한다.
④ 인력활용의 극대화 : 선발은 사회적 성취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배분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인력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해준다.
선발의 기준 : 기능론은 사회의 속성을‘능력주의(업적주의)’에 두고 개인의 능력과 노력, 즉 업적에 따른 선발을 강조한다.
능력주의 선발의 허구성 : 따라서 능력주의에 따른 교육선발은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을 합리화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허구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 평등주의 교육관과 엘리트주의 교육관의 비교
구분
엘리트주의 교육관
평등주의 교육관
선발기준의 강조점
개인의 능력
교육받을 권리
능력에 대한 관점
선천적 유전적 요인이
결정적
환경적 요인이 결정적
직업적 분화와 관련된
교육적 선발시기
조기 선발
분리교육
가능한 한 장기긴 교육을 통해서
선발하는 것이 타당
통합교육
교육선발 유인체제
복선형
단선형
대표적인 나라
영국, 프랑스, 브라질
이탈리아
미국, 스웨덴, 캐나다, 한국
(복선형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음)
3. 엘리트주의(유전론)와 평등주의(환경론)
(1) 엘리트주의의 선발관( = 선발적 교육관)
유전론의 입장 : 개인의 지능과 학습능력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조기선발 : 능력에 맞는
  • 가격3,000
  • 페이지수187페이지
  • 등록일2011.10.0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