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방법론-중간교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방법론-중간교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상세계에서 만나는 문제사태
일상적 상황
개념이나 상황이 비정형화
해결에 필요한 정보 부족
복수해답
답에 이르는 과정이 복수
※ 학생들은 문제사태를 해결하려는 자발적 의지가 없다. 그러나 성인들은 문제사태를 해결 하려는 내적 의지로 동기화되어 있다.
2. 암묵적 지식 (tacit knowledge)
※ 공식적 지식(formal knowledge)은 학문적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
※ 그러나 이는 실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암묵적 지식은 다른 사람을 알고, 협력하며, 지원하고 통제하며 영향을 주는
것과 관련되며 이는 고위직으로 갈수록 더 중요하다.
※ 또한 시민으로서 또는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資質)이기도 하다.
→ 이는 가르쳐질 수 있는 개념일까?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가르칠 수 있을까?
3. 암묵적 지식을 가르치는 성인교육
※ 일반적으로 암묵적 지식은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을 통해 가르 칠 수도 있다.
※Sternberg는 암묵적 지식을 배우는 방식으로 전문가 모델(expert Model)제시, 즉 전문가 를 관찰하고 모방하며 특정주제에 관해 대화를 나누면서 그 영역에 필요한 지식을 배운 다.
※Lave& Rogoff는 도제교육 형태를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봄.
따라서 시회교육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 전문가의 교수(敎授)
- 도제교육 형태
- 적합한 종류의 경험과 실천 기회허용
※Sternberg가 제시하는 암묵적 지식 습득전략;
① 새로운 학습자료 게시→ 적합, 부적합 정보를 구분하게 함.
② 적합한 지식을 조합하여 통합된 전체로 구성하게 함.
③ 과거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비교하도록 함.
※ 최근에는 암묵적 지식이라 여겨왔던 것들도 공식적 지식으로 가르치려는 경향이 있음.
예) 대인관계 코너, 관리자 형태 안내 등
3.2.2 성인의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성인교육
1. 결정성 지능
※성인학습자들은 연령이 증대되어 감에 따라 유동성 지능(학교에서의 지각 능력, 즉 일 반지능)은 떨어지고 결정성 지능이 증대되어 간다.
※ 그러므로 기계적인 암기를 요하거나 새로운 사실을 가지고 해 나가는 수업 방식을 가급 적 피해야 한다.
※ 즉 유동성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방식인 ‘새로운 사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기반 접근( process-based approach)\' 을 지양해야 한다.
※ 또한 교사는 경험에서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에게 접근(Knowledge-based approach)해야 한다.
2. 성인 학습자들의 기억작업 도와주기
※기억력이 연령에 따라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Perlmutter & Hall은 몇 가지 가설을 제시.
속도가설: 정보를 처리하고 부호화하는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
용불가설: 기억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물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
자원감소가설: 노화로 인한 메모리 용량 저하
비효율적 전략가설: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 → 기억력을
효율적으로 보완해줄 수 있는 근거제시.
ex) 기억전략: 부호화(연상) 기억법, 조직화 기억법
3. 노인들의 기억력과 수업방법
※ 교사가 기억을 할 수 있는 단서조항을 되도록 많이 준다.
※ 구체적인 어휘로 설명 :
예) 소비자가 공급자로부터 상품의 구매량을 늘리면, 상품가격이 올라간다.
→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유를 많이 마시게 되면, 우유값이 뛴다.
※ 기억을 위한 시간을 연장해 주어야 한다. 정보처리속도가 늦기 때문에.
3.2.3 성인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한 사회교육
1. 성인 중기의 신체적 장애와 사회교육
예비능력 감소 : 안내를 요구하는 수업방식이 아님
적절한 냉.난방
과도한 과제물을 한꺼번에 부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함
2. 성인후기
감각기능, 지각기능 감소 → 불필요한 수업내용을 줄이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
시각감소 → 실내 조명 밝게, 글씨도 크게
청각장애 → 목소리르 크게, 천천히 이야기한다.
짧고 간결한 문장 사용, 교실이 조용해야 함.
노인들의 기능적 장애를 보완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어야 함
3.2.4 성인의 정의적 특성을 반영한 사회교육
1. 기존의 지식 구조를 수정해 주는 교정학습
새로운 지식구조→ 저항감
이때 무조건 새로운 지식을 주입하기 보다는 왜 그런지를 세심하게 설명해
줌으로써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함.
2. 학습불안에 대한 대처
학습자가 긴장을 풀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부정적 강화보다는 긍정적 강화를 쓰는 것이 학습불안도를 낮출 수 있다.
ex) 칭찬, 표창, 자격증 수여
평가로 ‘자기평가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과제로 프로그램 학습원리를 사용, 쪼개어 작게 부여함.
3. 폐쇄성에 대한 대처
학습자체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학습동기자극책 고려.
ex) 홍보, 안내
4. 방어성에 대한 대처
허용적인 분위기 조성
비판이나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ex 소집단 협동학습, 프로젝트 수행.
9강
3.3. 평생교육 방법의 일반적 원리
- 평생교육은 성인학습자의 자발적인 의지에 따라서 성인교육에 참여하여야 한다는 것을 기본 철학으로 하고 있다.
- 이러한 기본적인 철학을 바탕으로 해서 성인들이 기존에 가진 지식이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성인들이 능동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중요하다.
- 성인학습의 원리로는 자발학습의 원리, 자기주도적 학습의 원리, 상호학습원리, 실용성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능률성의 원리, 참여성의 원리, 유희오락성의 원리가 있다.
3.3.1 자발 학습의 원리
※ 자발학습의 원리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의 장으로 자발적으로 찾아올 수 있도록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또 관심을 보인 대상자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 록 계속 동기를 유발시키는 일과 관련되는 원리이다.
※ 따라서 학습자들이 학습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도록 동기화시키고 이를 지속시켜야 한 다.
※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의 필요성을 깨닫고, 필요한 것을 배우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하 며, 학습 성과를 평가하고 깨닫게 한다.
※ 계속적으로 전진하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게 하여 자발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 가격3,500
  • 페이지수123페이지
  • 등록일2011.10.0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