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유아교육 사상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유아교육 사상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불교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

1. 불교에서 보는 유아의 개념
2. 불교의 유아관
3. 어린이들의 불성 발현을 위한 ‘불교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본문내용

과학적 사고
배양하기
3) 정견과 정사로서 창의적 사고를
배양하기
4) 지혜를 통해 인지 능력 및 창의성
개발하기
4) 좌선을 통해 문제해결력 증진하기
5) 법구(法具) 관찰하고 탐색하기
6) 향, 초, 목탁, 연꽃 등 불교적 용품
이용하여 수과학의 기초 다지기
7) 연기(緣起)와 윤회(輪廻) 개념 통해
전생(前生)현생(現生)내생(來生)
등의 불교적 시간 이해하기
나. 수학적 탐구
1) 분류하기와 순서짓기
2) 수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
3)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
4) 시간에 대한 기초 개념 알기
5) 공간과 도형의 기초 개념 알기
6) 기초적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
다. 창의적 탐구
1) 주변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탐색하기
2) 다양하게 생각하기
3) 독특하게 생각하기
2) 연령별 불교 유아교육 연간교육 계획안
전술한 영역별 구체적 목표와 불교적 목표를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가능한 연령별 불교 유아교육 연간교육 계획안을 제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한 불교 유아교육의 최종 목표는 종교성의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는 유아기에 불교적인 경험을 자연스럽게 제공함으로써 장래에 성숙한 불교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를 함양하고 불교적인 삶의 방향을 형성하여 궁극적으로는 이상적인 인간상인 불타가 되는 것이며, 나아가 이상사회인 불국토를 건설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각 구성요소간 일반적 요소와 불교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는 것이며, 이는 학습 주체로서의 유아의 가르치는 역할로서의 선지식(善知識)인 교사간의 협동을 통해 가능하다.
< 어린이들의 불성 발현을 위한 불교 유아교육 연령별 연간 계획안>
연령
적 용

영아반(만 3 세)
유아반(만 4 세)
유치반(만 5 세)
3월
재미있는 나라
부처님 나라
부처님 나라
즐거운 어린이집
처음 만나는 부처님 세상
자랑스런 불제자
4월
소중한 생명
봄 소 식
아름다운 세상
소중한 생명
부처님 품안
함께 사는 생명체들
5월
지혜의 샘
부처님 품안
행복한 생활
부처님 품 안
따뜻한 세상
6월
우리 이웃과
동물 나들이
더불어 사는 이웃
재미있는 생활
더불어 사는 이웃과 친구
7월8월
즐거운 여름 축제
튼튼한 불제자
여름 잔치
튼튼한 불제자
건강한 여름
튼튼한 불제자
9월
신기한 세상
부처님 세상
지혜로운 생활
반야바라밀
반야바라밀
지혜로운 세상
10월
아름다운 우리 나라
부처님 나라
자랑스런 우리 나라
부처님 나라
우리의 뿌리를 찾아서
내 안의 불성을 찾아서
11월
부처님은 요술쟁이
신기한 가을 변화
지구촌 이야기
부처님 세상
세계로 미래로
부처님의 나라로
12월
하얀 세상
부처님 마을
신나는 겨울 나라
깨달음의 나라
겨울 풍경
깨달음의 참 세상
2월
희망이 열려요
새해 새 희망
어린이집을 떠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며
< 어린이들의 불성 발현을 위한 불교 유아교육 월별 교육계획안 예시 >
대 주 제
처음 만나는 부처님 세상
자랑스런 불제자
주제전개
기 간
02년 3월
활 동 목 표
부처님의 동산인 어린이집에서 공동체 생활에 대한 규칙과 질서가 필요함을 알고 실천하며, 새로운 선생님과 친구들과의 만남을 통해 함께 지켜야 할
약속을 알고 같이 어울리며 협동하는 태도를 갖는다.
환 경 구 성
부처님의 품안에서 친구들과 협동하고 지혜롭게 보살행을 따르며,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동작활동
그룹게임
현장학습
-선따라 걷는
곧은 마음
-싹이
돋아나요
-참선하세요
-두더지 인사
-안녕 여러분
-착한 아이
예쁜 아이
-명상의 숲
-부처님 동산
에서 술래잡기
-친구 이름을
알아봅시다
-연꽃 방석
-얼씨구!
마당 놀이
어린이집
주변
둘러보기




과학적
사 고
수논리적
사 고
창의적
사 고




환 경
기 본
생활습관
안전교육
관찰:
탄산음료는
요술쟁이
실험:
실험도구알기
의사소통:
친구들
성(姓)
탑쌓기
-논리 박사의
생각주머니
-꼬리잇는
숫자놀이
-똘똘이의
보물상자
-요술
벤다이어
그램
-만약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투명인간이
되었어요!
-생명의
소중함
-쓰레기의
집 찾기
-환경의
파수꾼
-녹색나라
풀잎요정
-고운말사용
(정어)
-놀이기구
바른사용
(지계)
-상황에
맞는 인사
(정어)
-복도예절
(정명)
-안전한
등원길
-차안에서
지켜야 할
약속
-유괴,미아
사고의
예방




동화/동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새노래
작업
음악감상
-감사합니다
-삼귀의
-발원노래
-찬양합니다
-꼭꼭 약속해
-유치원에
갑니다
-참아낼 수
있어요
-꾸미기
.우리
어린이집
-종이접기
.우리 반
-그리기
.종이나라
.우리
어린이집
.우리
선생님
-만들기
.연못위
연꽃
-정서발달
김영동의
‘선’
-지적발달
베토벤
월광소나타
-국악/민요
지영희의
해금산조
-동화
.사이좋게
지내요
.예의바른
어린이
.교만한
늑대
-동시
.나누면
좋아요
.길조심
.간식시간
.줄줄이
차례로
-말하기
크고작은
소리로
말하기
어떤 말을
사용할까?
-듣기
선생님과
친구들 말
끝까지 듣기
속삭임편지
-읽기
.공양발원문
.반야심경
봉독
.어린이오계
.팔정도
-쓰기
.친구이름
.칭찬카드
.우리교실의
물건
참 고 문 헌
○ 해당 경전류
高楠順次郞(大正十年). 大正新修大藏經. 東京: 大正一切經刊行會.
善生子經〔大正 1〕
六方禮經〔大正 1〕
長阿含經〔大正 1〕
雜阿含經〔大正 2〕
增一阿含經〔大正 2〕
妙法蓮華經〔大正 9〕
八十華嚴經〔大正 10〕
大盤涅槃經 〔大正 12〕
阿雜問事經 〔大正 14〕
四分律〔大正 22〕
五分律〔大正 22〕
○ 문헌 및 논문
권은주(1998). 불교아동학개론. 서울: 양서원.
______(2001). 불교유아교육 현장 지도자를 위한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 서울: 양서원.
______(2002). 어린이들의 불성발현을 위한 불교 유치원 통합교육활동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권은주강성희(1997). 불교유치원 교육 프로그램 모델 - 어버이날과 스승의 날을 중심으 로-. 동국논총, 16(1), 동국대학교.
김승환(1991). 불교 아동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련(1993). 유아를 위한 불교교육의 이론과 실천. 부산:대한기획출판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10.09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