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지하시설물의 탐사방법
1. 자장 탐사법
2. 지중레이다 탐사법
3. 음파 탐사법
4. 전기 탐사법
5. 전자 탐사법
6. CCTV관내 조사
7. 탄성파 법
8. 자기 탐사법
Ⅱ. 지하시설물의 특징
Ⅲ. 지하시설물의 설치형태
1. 지상 설치
2. 지하 설치
3. 수저에 설치
4. 기타
Ⅳ. 지하시설물의 표준안
1. 적용대상 및 범위
2. 근거 및 관련표준
3. 용어정의 및 표기법
4.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
Ⅴ. 지하시설물의 관리체계 방안
참고문헌
1. 자장 탐사법
2. 지중레이다 탐사법
3. 음파 탐사법
4. 전기 탐사법
5. 전자 탐사법
6. CCTV관내 조사
7. 탄성파 법
8. 자기 탐사법
Ⅱ. 지하시설물의 특징
Ⅲ. 지하시설물의 설치형태
1. 지상 설치
2. 지하 설치
3. 수저에 설치
4. 기타
Ⅳ. 지하시설물의 표준안
1. 적용대상 및 범위
2. 근거 및 관련표준
3. 용어정의 및 표기법
4.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
Ⅴ. 지하시설물의 관리체계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전산망표준(KIS 124)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 - 지형지물 및 속성부호 - 버전1.0”을 준수한다.
4.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
지하시설물도(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송유관, 난방 부분)의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에 관해서는 한국전산망표준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지형지물 및 속성 부호- 버전 1.0”을 준수한다.
Ⅴ. 지하시설물의 관리체계 방안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유지·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관간의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조와 역할 분담, 관리책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서울시에서는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대안은 국토연구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하시설물 관리 체계를 적극 수용한 것으로, 조직을 중앙과 지방의 협의체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때 지방협의체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협의체로서 실제로 지리정보과 산하에 놓여 도로관리과와 유기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안이다.
두 번째 대안은 시설물 관리분야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응용프로그램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 제 3의 전문기관을 설립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하도록 하는 안이다. 제 3의 전문기관은 정부 및 산업체, 학교, 연구소가 공동으로 설립하며 중앙정부차원의 관련부서지방정부차원의 본청 및 구청 관련부서지하시설물 관련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유지관리하며 관련 응용시스템 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안이다.
이상은 서울시에서 계획하고 있는 지하시설물관리체계의 조직구성 측면만을 언급한 것으로서 시스템 아키텍처 등의 구체적인 언급은 누락되어 있으며, 효과적 운영을 위한 조직구성과 업무분석 등을 중심으로 관련 활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자치단체가 주관 부서가 되는 상하수도 외의 전기난방 등 지하시설물에 대한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참고문헌
◎ 곽홍탁, (21세기를 위한)환경학, 신광문화사, 2003
◎ 건설교통부,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계획
◎ 강영옥,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구축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 성창우, 지하경제의 제이론 고찰 및 한국의 지하경제
◎ 최광, 한국의 지하경제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1987
◎ 홍상기 외,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998
4.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
지하시설물도(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송유관, 난방 부분)의 지형지물, 속성의 분류방법 및 체계에 관해서는 한국전산망표준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국가기본도 표준-지형지물 및 속성 부호- 버전 1.0”을 준수한다.
Ⅴ. 지하시설물의 관리체계 방안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유지·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련기관간의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조와 역할 분담, 관리책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서울시에서는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대안은 국토연구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하시설물 관리 체계를 적극 수용한 것으로, 조직을 중앙과 지방의 협의체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때 지방협의체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협의체로서 실제로 지리정보과 산하에 놓여 도로관리과와 유기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안이다.
두 번째 대안은 시설물 관리분야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응용프로그램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 제 3의 전문기관을 설립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관리하도록 하는 안이다. 제 3의 전문기관은 정부 및 산업체, 학교, 연구소가 공동으로 설립하며 중앙정부차원의 관련부서지방정부차원의 본청 및 구청 관련부서지하시설물 관련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유지관리하며 관련 응용시스템 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는 안이다.
이상은 서울시에서 계획하고 있는 지하시설물관리체계의 조직구성 측면만을 언급한 것으로서 시스템 아키텍처 등의 구체적인 언급은 누락되어 있으며, 효과적 운영을 위한 조직구성과 업무분석 등을 중심으로 관련 활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자치단체가 주관 부서가 되는 상하수도 외의 전기난방 등 지하시설물에 대한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참고문헌
◎ 곽홍탁, (21세기를 위한)환경학, 신광문화사, 2003
◎ 건설교통부,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계획
◎ 강영옥,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구축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 성창우, 지하경제의 제이론 고찰 및 한국의 지하경제
◎ 최광, 한국의 지하경제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원, 1987
◎ 홍상기 외, 국가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998
추천자료
- 지하수개발
- 주거공간분석 동아리방 문제 환경과 문제점 해결책
- 강경애의 지하촌을 읽고
- 일제식민지하의 공장체제와 노동규율
- 거리 별 분석으로 알아 본 신촌 공간의 문화적 의미
- 보행약자와 도시공간
- 예배의 역사와 환경(예배시간, 교회, 예배공간)
- [도시문화 전략] 도시재생 사업 사례 - 서울시 창작공간, 경춘선 폐선부지 공원, 중구 예술 ...
- [복합쇼핑몰]떠오르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 몰링과 몰고어에 대한 개념 이해 및 복합쇼핑...
- 예화랑(YEH GALLERY) 작가 공간 분석
- 부동산과 소유권(내용적범위,공간적범위,소유권분할)
- 시, 소설, 평론 중심으로 본 해방기 문학 (1945-50년대) -해방의 소용돌이 속 민족 문학을 바...
- 도시마케팅문화공간 창조마을만들기한국 사회 의사소통 점수팝업스토어프리마켓디스플레이 광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