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색깔, 색채)의 개념, 색상(색깔, 색채)의 명시성, 색상(색깔, 색채)의 배색, 색상(색깔, 색채)의 혼합, 색상(색깔, 색채)과 빛, 색상(색깔, 색채)과 형, 색상(색깔, 색채)의 입체, 색상(색깔, 색채)의 감정효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색상(색깔, 색채)의 개념, 색상(색깔, 색채)의 명시성, 색상(색깔, 색채)의 배색, 색상(색깔, 색채)의 혼합, 색상(색깔, 색채)과 빛, 색상(색깔, 색채)과 형, 색상(색깔, 색채)의 입체, 색상(색깔, 색채)의 감정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색상(색깔, 색채)의 개념

Ⅲ. 색상(색깔, 색채)의 명시성

Ⅳ. 색상(색깔, 색채)의 배색
1. 색상의 배색
2. 명도의 배색
3. 채도의 배색

Ⅴ. 색상(색깔, 색채)의 혼합
1. 가산혼합
2. 감산혼합

Ⅵ. 색상(색깔, 색채)과 빛
1. 빛(Lihgt)
2. 빛의 색
3. 빛에 의한 물체의 색

Ⅶ. 색상(색깔, 색채)과 형
1. Ffaber Birren과 W.Kandinsky의 형과 색
2. 도가다강의 형과 색
1) 형
2) 색
3. Weber, Fechner의 형과 색
1) R
2) O
3) Y
4) G
5) B
6) P
4. Johannes Ltten의 형과 색

Ⅷ. 색상(색깔, 색채)의 입체

Ⅸ. 색상(색깔, 색채)의 감정효과
1. 온도감(溫度感)
2. 운동감(Movement of Color)
3. 중량감(重量感)
4. 경연감(硬軟感)
5. 주목성(注目性)
6. 명시도(明視度)
7. 판독성(判讀性)
8. 기억색(Memory Color)
9. 강약감(强弱感)
10. 색의 연상기분(聯想 Association of Color)
1) Red
2) Yellow Red
3) Yellow
4) Yellow Green
5) Green
6) Blue Green
7) Blue
8) Blue Purple
9) Purple
10) Red Purple
11. 색의상징적표정(Symbolical Expression of Color)
1) Red
2) Orange
3) Yellow
4) Green
5) Blue
6) Purple
7) White
8) Gray
9) Black

참고문헌

본문내용

습함, 확대됨, 품위 있음.
(2) 반원형
따뜻하고, 습하고, 둔함.
(3) 부채꼴
예리하고 시원하다, 가볍고 화려하다.
(4) 정3각형
시언하고 예리함, 단단함, 강하고 수축함, 가볍고 화려함.
(5) 사다리꼴
시원하고 건조함, 예리하고 단단함, 강함, 품위 있음, 가벼움, 화려함.
(6) 마름모꼴
무겁고 단단함, 수수함.
(7) 정4각형
단단하고 강함, 수수함, 무거움, 품위 있고 유쾌함.
(8) 직사각형
시원하고 건조함, 단단하고 강함.
(9) 정6각형
별 특징 없음.
(10) 타원
따뜻하고 둔함, 부드럽고 유쾌함, 습하고 확대됨.
2) 색
(1) RED
굉장히 따뜻함, 강함, 화려함, 예리함, 무거움, 품위 있음, 유쾌함, 확대됨.
(2) YR
굉장히 따뜻함, 확대됨, 화려하고 건조된 느낌과 예리하고 강함, 유쾌함
(3) YG
부드럽고 습함, 약함, 확대됨, 가볍고 즐거움.
(4) G
습함.
(5) BG
시원하고 단단함, 수축되고 무거움.
(6) B
굉장히 시원함, 습함, 예리함, 단단함, 수축됨, 품위 있고 즐거움.
(7) BP
시원하고 단단함, 수축되고 무거움.
(8) P
둔하고 예리함, 약함.
(9) RP
따뜻하고, 부드럽고, 화려함
3. Weber, Fechner의 형과 색
웨버 는 독일의 생리학자로 피부감각의 언구 학자이며 자극의 강도를 급수적으로 변화시켜야한다는 웨버의 법칙을 발견한 학자로 휘크너와 함께 아래와 같이 표시
1) R
정방형
2) O
장방형
3) Y
삼각형
4) G
육각형
5) B

6) P
타원
4. Johannes Ltten의 형과 색
특정한 색이 형태에 대하여 이미지를 갖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어느 감정에 대하여 특정한 형과 색을 합치시키면 그 이미지가 강조되는 것이다.
Ⅷ. 색상(색깔, 색채)의 입체
색의 3속성에 따라 3차원의 공간 속에 정리한 것을 말한다. 색의 체계적인 분류와 조직적인 색채 계획을 위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인 색입체에서 색상은 원(색상환)으로, 명도는 직선으로 채도는 방사선 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런 공간 속에서 명도는 무채색 축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 고명도, 아래로 내려가면 저명도가 되며, 채도는 방사선 상에서 무채색 축으로 들어가면 저채도, 바깥으로 나오면 고채도가 된다.
Ⅸ. 색상(색깔, 색채)의 감정효과
색은 시각을 통하여 지각되므로 생리적인 현상임과 동시에 감각을 통하여 하나의 감정을 일으키는 심리적인 현상이다.
색채감정은 개성과 환경 그리고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감정을 갖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작용이 본능적일 때도 있으나 어떠한 대상을 통한 경험에 잠재한 감정을 가질 때도 있으며, 환경과 사물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연상적인 감정이 일어나기도 하는 것이다.
1. 온도감(溫度感)
장파장 쪽의 적외선은 열작용을 하므로 이것을 포함한 적색광은 따뜻하고 불의 빛도 붉은색이다.
이러한 경험적 측면에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을 난색(暖色, warm col)이라고 하며 유채색에 있어서의 노랑, 주황, 빨강색계를 이야기한다.
또한 물의 색을 연상하는 파랑색 계통의 색은 찬 느낌을 주므로 한색(寒色 cool color)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감정은 순색계에서 일어난다. 먼셀의 색 체계도에서 빨강색을 1로 하고 red purple을 20으로 할 때 hot color는 1 - 6과 19 - 20으로, cool color는 7 - 10과 10 - 16으로 Neuter Color(중간색) -8-9, 17-18이다. 또한 무채색에 있어서 저명도(Light Color)는 찬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색의 온도감은 심리적, 물리적인 요인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면에 있어서 실크(Silk) 계통은 찬 느낌을 주고 울(Wool) 계통은 따뜻한 느낌을 주는 것과 같이 소재의 표면 효과에서도 강하게 느껴진다.
색의 자극 작용의 측면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난색계의 색은 자극적이며 한색계의 색은 조용하며 정적이고 난색과 한색의 중간에 있는 자주색 계통의 색은 온도감이나 자극의 작용이 중성적이다. 표면색에 의하여 작용을 분류하면 다음의 도표와 같다.
2. 운동감(Movement of Color)
색채는 보통 거리감과 운동감에 의하여 똑같은 위치에 있는 색도 가까운데 있는 듯 하고 또 먼 데에 있는 것처럼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4가지로 나누어 얘기할 수 있다.
a. 전진색(Advancing Color)
b. 후퇴색(Receding Color)
c. 수축색(Contractive Color)
d. 팽창색(Expansive Color)
색의 전진색, 후퇴색은 각 색의 굴절각이 다르기 때문에 수정체의 조절작용과 망막의 흥분의 변화가 다른 데에 원인이 있다. 전진색은 일반적으로 팽창하게 보이고 후퇴색은 수축하여 보인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실제 면적보다 과대 평가되고 팽창하여 보이는 색의 성질을 팽창색이라 하고, 반대로 과소평가되어 수축되어 보이는 색을 수축색이라고 한다.
3. 중량감(重量感)
원래 중량감은 우리 인체의 근육이 긴장된 상태에서 나타나므로 시각에 의하여 느낄 수 있다. 색채의 중량감이란 무겁게 보이고 가볍게 보이는 시각의 감각현상에서 오는 것이므로 이는 명도에 따라 일어난다. 즉, 고명도 일수록 가볍게 느껴지며, 저명도일수록 무겁게 보인다. 예를 들어 상품의 포장에서 노란색 계통은 가볍게 보이며 Blue Purple 계통은 무겁게 보인다. 이 중량감은 주로 자동차, 의상, 가구, 상품의 포장 등에 많이 응용된다.
4. 경연감(硬軟感)
색채의 경연감은 시각적 경험 등에 의하여 색채가 부드럽게 느껴지기도 하고 딱딱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것을 말한다. 색채에 있어서 특히 투명색의 저명도, 고채도의 색은 경감(硬感)을 느끼게 하며 난색계의 채도가 낮고 명도가 높은색과 흰색이 많이 섞인 색, 즉 무채색이 많이 섞인 색은 연감(軟感)이 난다. 순색계에서 채도가 높고, 한색, 저명도계는 딱딱한 감이 느껴진다.
5. 주목성(注目性)
시인성이나 판독성은 색이나 형태를 먼데서 명확히 볼 수 있는 기초로서 생각되는 이것들은 명도, 거리 등의 데이터에 의하여 객관적인 표

키워드

색상,   색깔,   색채,   ,   배색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0.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