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정원리
1) 차단벽의 쓰임
2) 오염물질의 장기적인 차단 능력요소
3) 차단층의 조건
4) 처리대상
(2) 지중 차단벽의 공법
1) 슬러리 월(slurry wall)
2) 그라우트 커튼(grout curtains)
3) 스틸시트 파일링(Steel sheet piling)
4) 진동빔차단벽(Vibrating beam)
5) 얇은막(Thin wall barrier) 차수 공법(HDPE 등)
6) 복합차단벽 공법(Composite systems)
(3) 영향인자
1) 토양의 투수계수
2) 토양구조
3) 미생물
4) 전자수용체
5) 영양물질
6) 오염원의 농도 및 독성
(4) 제한요소
(5) 결론
1) 차단벽의 쓰임
2) 오염물질의 장기적인 차단 능력요소
3) 차단층의 조건
4) 처리대상
(2) 지중 차단벽의 공법
1) 슬러리 월(slurry wall)
2) 그라우트 커튼(grout curtains)
3) 스틸시트 파일링(Steel sheet piling)
4) 진동빔차단벽(Vibrating beam)
5) 얇은막(Thin wall barrier) 차수 공법(HDPE 등)
6) 복합차단벽 공법(Composite systems)
(3) 영향인자
1) 토양의 투수계수
2) 토양구조
3) 미생물
4) 전자수용체
5) 영양물질
6) 오염원의 농도 및 독성
(4) 제한요소
(5) 결론
본문내용
삽입하여 벽체의 바닥까지 끌어내려 고정한다. 연결부에는 물에 접촉할 때 팽창하는 지수재를 삽입하여 이 부분을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6) 복합차단벽 공법(Composite systems)
@그림(ㄷ) 슬러리월과 다른 차단벽 요소들과의 혼합된 복합차단벽의 예시
오염물질의 차단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둘 혹은 그 이상의 오염물질 차단
구조물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많은 구성의 복합 차단 시스템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장에서는 그림(ㄷ)에 몇 가지 예를 나타내었다.
그림(ㄷ)의 A는 복토시스템과 슬러리월이 함께 시공되어 있다. 복토층은 수분(우수)이 폐기물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차단벽은 지하수가 폐기물층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단 시스템 내부의 오염물질이 주변의 지하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림(ㄷ)의 B는 추출정을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폐기물층보다 낮게 유지하고 차단벽을 이용하여 외부의 지하수를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지하수위를 낮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림(ㄷ)의 C에서 그라우트는 기반암의 균열된 곳을 채움으로써 균열부위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재용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차단벽은 오염 지역의 지하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ㄷ)의 D는 매립지로부터 오염물질 누출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차단벽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차단벽 외부에 멤브레인(membrane)의 설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3) 영향인자
1) 토양의 투수계수
2) 토양구조
3) 미생물
4) 전자수용체
5) 영양물질
6) 오염원의 농도 및 독성
(4) 제한요소
지중차단벽은 벼체에 미생물의 성장과 침적에 의해 추출정이 막힐 수 있으며, 용해도가 낮고 농도가 높은 옹염원은 독성이 강해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하다. 투수성이 높은 토양에 유리하고, 비교적 투수성 낮은 대수층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지속적인 유지가 관리가 필요하다.
(5) 결론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은 한 가지의 오염물질에 의한 것보다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에 복합적으로 오염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복원비용 역시 많은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복원공법로 이러한 모든 오염물질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은 복원효과를 저하시키며 향후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킬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성질과 부지의 특성을 기초하여 오염부지의 정화기법을 선정해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차단벽 시스템은 오래전부터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 사료된다. 차단벽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현장조건 및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라 이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차단벽 시스템의 사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이들의 구성 및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것 또한 현장 상황에 맞게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본 稿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오염확산 방지를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설정하고 복원하는 방법으로 PRB(M-PRB 등)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사용하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협소한 나라에서는 도시지역 인근의 오염된 토지(Brownfield)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부지 내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주민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위에서 서술한 차단벽 시스템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부지를 굴착 하지 않으면서 오염물질이 인근의 토양이나 지하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물질이 표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된 부지를 주거나 레크레이션 공간으로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6) 복합차단벽 공법(Composite systems)
@그림(ㄷ) 슬러리월과 다른 차단벽 요소들과의 혼합된 복합차단벽의 예시
오염물질의 차단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둘 혹은 그 이상의 오염물질 차단
구조물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많은 구성의 복합 차단 시스템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장에서는 그림(ㄷ)에 몇 가지 예를 나타내었다.
그림(ㄷ)의 A는 복토시스템과 슬러리월이 함께 시공되어 있다. 복토층은 수분(우수)이 폐기물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차단벽은 지하수가 폐기물층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단 시스템 내부의 오염물질이 주변의 지하수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림(ㄷ)의 B는 추출정을 이용하여 지하수위를 폐기물층보다 낮게 유지하고 차단벽을 이용하여 외부의 지하수를 차단함으로써 내부의 지하수위를 낮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림(ㄷ)의 C에서 그라우트는 기반암의 균열된 곳을 채움으로써 균열부위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재용출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차단벽은 오염 지역의 지하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ㄷ)의 D는 매립지로부터 오염물질 누출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차단벽의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차단벽 외부에 멤브레인(membrane)의 설치는 가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3) 영향인자
1) 토양의 투수계수
2) 토양구조
3) 미생물
4) 전자수용체
5) 영양물질
6) 오염원의 농도 및 독성
(4) 제한요소
지중차단벽은 벼체에 미생물의 성장과 침적에 의해 추출정이 막힐 수 있으며, 용해도가 낮고 농도가 높은 옹염원은 독성이 강해 생물학적 분해가 불가능하다. 투수성이 높은 토양에 유리하고, 비교적 투수성 낮은 대수층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지속적인 유지가 관리가 필요하다.
(5) 결론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은 한 가지의 오염물질에 의한 것보다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에 복합적으로 오염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복원비용 역시 많은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복원공법로 이러한 모든 오염물질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은 복원효과를 저하시키며 향후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킬수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성질과 부지의 특성을 기초하여 오염부지의 정화기법을 선정해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차단벽 시스템은 오래전부터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 사료된다. 차단벽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현장조건 및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라 이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차단벽 시스템의 사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이들의 구성 및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것 또한 현장 상황에 맞게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본 稿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오염확산 방지를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설정하고 복원하는 방법으로 PRB(M-PRB 등)에 대하여 많이 연구하고 사용하는 추세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협소한 나라에서는 도시지역 인근의 오염된 토지(Brownfield)를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 부지 내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주민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위에서 서술한 차단벽 시스템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부지를 굴착 하지 않으면서 오염물질이 인근의 토양이나 지하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물질이 표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된 부지를 주거나 레크레이션 공간으로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추천자료
지하수 오염
지하수 오염
지하수오염에 대한 수질관리대책
토양 및 지하수오염 처리방법
[지하수][지하수오염][지하수관리]지하수의 정의, 지하수층의 종류, 지하수의 중요성, 지하수...
[수질오염][상수원][지하수]수질오염의 개념, 수질오염의 역사, 수질오염의 측정지표, 상수원...
[지하수][지하수의 오염]지하수의 개괄, 지하수의 오염, 지하수의 관리, 지하수의 오염 사례,...
지하수 오염 사례 분석, 지하수 오염에 대한 대응 방안, 지하수 세균의 종류 분석, 지하수 이...
지하수오염공학-프로젝트
지하수오염공학-주입정으로부터의 이류분산 프로젝트 3p Simulation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