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본문내용
제 1 강 미래사회와 디지털
● 학습내용
1. 디지털 시대의 의미
1) 디지털 혁명의 본격화
① “인류 역사상 3번째 변혁인 ‘디지털 혁명’이 본 궤도에 진입”
→ 신석기 시대(B.C.7천년경)의 농업혁명, 17~18세기의 산업혁명에 이어, 현재 디지털 혁명이 급진전
→ 19세기말~20세기 초에 발명된 정보통신기술에 1980년대 후반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면서 전송능력, 연산능력, 네트워킹에 혁명적 변화가 초래
→ 1990년대에 인터넷이 결합되면서 빅뱅이 시작
② “인류사의 3대혁명”
구분
농업혁명(BC 7천년경)
산업혁명(1760년대)
디지털혁명(1990년대)
변화 동인
원시도구
기계엔진
디지털기술
변화 속도
정체
점진적
광속
변화 주도
물리적(군대)
경제력(기업)
지식과 정보(지식근로자, 신지식인)
통제 구조
혈연, 지연의 가부장제
관료적 중앙집권제
수평적 Adhocracy
→ 디지털 혁명은 정보통신 인프라와 인터넷망을 통해서 짧은 시간에 전 세계로 보급
→ 농업혁명의 파급은 5000년, 산업혁명은 200년 소요되었으나, 디지털혁명은 30년만에 전 세계로 확산
→ 첫 도입 이후 이용자수가 5천만명이 되는데 걸린 시간은 라디오 38년, TV 13년인데 비해 인터넷은 5년 소요
■ 디지털의 발전과정
구분
시기
시대적 특징
기술과 환경
1기
산업혁명 - 1차대전
근대과학기술문명/급속팽창기
공간적 확장/모더니티 확립
2기
1차대전 - 2차대전
제국과 열강의 대립
힘과 자본의 논리
3기
2차대전 - 1990년
냉전기
극한적 대립
4기
1990년 - 2005년
디지털산업 폭발기
실리주의
5기
2005년 - 2020년
디지털 융합기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
참고) 산업혁명과 정보혁명의 비교
산업혁명
정보혁명
과정
초기산업혁명(14~16C 르네상스, 17C과학혁명)을 거쳐 18C(1760년대)에 산업혁명으로 발전
산업혁명 이후 1차 세계대전까지 150여년의 모더니티 확립기간이 소요됨.
(바우하우스까지 160년 소요)
20C말(1990년대) 반도체, 전사산업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인터넷,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디지털정보 혁명.
1990~2005 : 디지털산업 폭발기
2005~2020 : 디지털 융합기, 디지털 모더니티 확립 예상
변화의 중심
면직물 공업에서 방적기, 역직기 발명 등이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이로 인한 생산픔으로 생활혁명이 이어짐. 특히 석탄과 철강공업 등 기술과 생산품은 철도(물질이동의 네트워크)의 출현과 확산으로 물류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산업혁명의 최종 완성단계로 진입
※ G.스티븐슨의 증기기관차(1807)-네트워크의 효시
반도체기술의 개발. 전자제품과 하이테크 산업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정보저장 및 재현이 가능하게 되고, PC의 보급과 인터넷 탄생(정보이동의 네트워크)으로 디지털 산업 폭발기를 거쳐 Post-Pc 시대를 예견(디지털 정보가전기기, IT제품 등)
※ 래너드 클라인 록의 인터넷 기술 - 디지털 네트워크의 효시
사회 문화적
구조의 변화
수공업과 기계공업의 충돌
농경사회에서 공업화시대, 산업사회로 진입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적 갈등현상이 나타남.
농업사회의 윤리와 새로운 공업사회의 윤리 충돌
공업문명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사회 조직의 대변혁 :
농업사회와의 공존원리 모색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충돌
디지털 사고에 익숙한 네티즌과 아날로그적 사고에 머물고 있는 계층간에 과도기적 문화 갈등 현상이 나타남. 아날로그적 윤리와 디지털적 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재 : 상이한 문화코드 사이버사회와 기존 산업사회의 충돌
전통산업에서 지식기반 산업으로의 이행 및 공존원리모색 필요
인프라
및
가치기준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전기,전화가 상시로 작동하는 서비스로 정착 : 19C(1872) 전화가 처음 나왔을 때 정보격차에 대하 sdnfu 존재
물적,형이하학적 가치기준 정착 : 물질재화
의식구조, 제도, 기업 및 사회체제 등에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필요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기처럼 언제 어디서나 작동되는 ‘Plug and Play\'서비스로 정착될 것임
저
● 학습내용
1. 디지털 시대의 의미
1) 디지털 혁명의 본격화
① “인류 역사상 3번째 변혁인 ‘디지털 혁명’이 본 궤도에 진입”
→ 신석기 시대(B.C.7천년경)의 농업혁명, 17~18세기의 산업혁명에 이어, 현재 디지털 혁명이 급진전
→ 19세기말~20세기 초에 발명된 정보통신기술에 1980년대 후반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면서 전송능력, 연산능력, 네트워킹에 혁명적 변화가 초래
→ 1990년대에 인터넷이 결합되면서 빅뱅이 시작
② “인류사의 3대혁명”
구분
농업혁명(BC 7천년경)
산업혁명(1760년대)
디지털혁명(1990년대)
변화 동인
원시도구
기계엔진
디지털기술
변화 속도
정체
점진적
광속
변화 주도
물리적(군대)
경제력(기업)
지식과 정보(지식근로자, 신지식인)
통제 구조
혈연, 지연의 가부장제
관료적 중앙집권제
수평적 Adhocracy
→ 디지털 혁명은 정보통신 인프라와 인터넷망을 통해서 짧은 시간에 전 세계로 보급
→ 농업혁명의 파급은 5000년, 산업혁명은 200년 소요되었으나, 디지털혁명은 30년만에 전 세계로 확산
→ 첫 도입 이후 이용자수가 5천만명이 되는데 걸린 시간은 라디오 38년, TV 13년인데 비해 인터넷은 5년 소요
■ 디지털의 발전과정
구분
시기
시대적 특징
기술과 환경
1기
산업혁명 - 1차대전
근대과학기술문명/급속팽창기
공간적 확장/모더니티 확립
2기
1차대전 - 2차대전
제국과 열강의 대립
힘과 자본의 논리
3기
2차대전 - 1990년
냉전기
극한적 대립
4기
1990년 - 2005년
디지털산업 폭발기
실리주의
5기
2005년 - 2020년
디지털 융합기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
참고) 산업혁명과 정보혁명의 비교
산업혁명
정보혁명
과정
초기산업혁명(14~16C 르네상스, 17C과학혁명)을 거쳐 18C(1760년대)에 산업혁명으로 발전
산업혁명 이후 1차 세계대전까지 150여년의 모더니티 확립기간이 소요됨.
(바우하우스까지 160년 소요)
20C말(1990년대) 반도체, 전사산업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인터넷,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디지털정보 혁명.
1990~2005 : 디지털산업 폭발기
2005~2020 : 디지털 융합기, 디지털 모더니티 확립 예상
변화의 중심
면직물 공업에서 방적기, 역직기 발명 등이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이로 인한 생산픔으로 생활혁명이 이어짐. 특히 석탄과 철강공업 등 기술과 생산품은 철도(물질이동의 네트워크)의 출현과 확산으로 물류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산업혁명의 최종 완성단계로 진입
※ G.스티븐슨의 증기기관차(1807)-네트워크의 효시
반도체기술의 개발. 전자제품과 하이테크 산업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정보저장 및 재현이 가능하게 되고, PC의 보급과 인터넷 탄생(정보이동의 네트워크)으로 디지털 산업 폭발기를 거쳐 Post-Pc 시대를 예견(디지털 정보가전기기, IT제품 등)
※ 래너드 클라인 록의 인터넷 기술 - 디지털 네트워크의 효시
사회 문화적
구조의 변화
수공업과 기계공업의 충돌
농경사회에서 공업화시대, 산업사회로 진입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적 갈등현상이 나타남.
농업사회의 윤리와 새로운 공업사회의 윤리 충돌
공업문명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사회 조직의 대변혁 :
농업사회와의 공존원리 모색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충돌
디지털 사고에 익숙한 네티즌과 아날로그적 사고에 머물고 있는 계층간에 과도기적 문화 갈등 현상이 나타남. 아날로그적 윤리와 디지털적 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재 : 상이한 문화코드 사이버사회와 기존 산업사회의 충돌
전통산업에서 지식기반 산업으로의 이행 및 공존원리모색 필요
인프라
및
가치기준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전기,전화가 상시로 작동하는 서비스로 정착 : 19C(1872) 전화가 처음 나왔을 때 정보격차에 대하 sdnfu 존재
물적,형이하학적 가치기준 정착 : 물질재화
의식구조, 제도, 기업 및 사회체제 등에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필요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기처럼 언제 어디서나 작동되는 ‘Plug and Play\'서비스로 정착될 것임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