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폐의 구조 및 기능
2. 기흉(Pneumothorax)
1) 정의
2) 증상
3) 기흉의 진단
(1) 문진과 진찰
(2) 흉부 방사선촬영
(3) 흉부 CT촬영
4) 경과/예후
5) 합병증
6) 치 료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2) 단순공기제거법
(3) 흉관삽입법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7) 예방법
3. 기흉의 수술
1) 폐기포 절제술이란?
2) 수술의 적응증
3) 수술절차: 1단계-8단계
4) 수술 후 합병증
5) 수술 전. 후 간호
Ⅲ. 참고문헌
Ⅱ. 본론
1. 폐의 구조 및 기능
2. 기흉(Pneumothorax)
1) 정의
2) 증상
3) 기흉의 진단
(1) 문진과 진찰
(2) 흉부 방사선촬영
(3) 흉부 CT촬영
4) 경과/예후
5) 합병증
6) 치 료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2) 단순공기제거법
(3) 흉관삽입법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7) 예방법
3. 기흉의 수술
1) 폐기포 절제술이란?
2) 수술의 적응증
3) 수술절차: 1단계-8단계
4) 수술 후 합병증
5) 수술 전. 후 간호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편, 쇄골하정맥 카테터 삽입술이나 흉강천자 등 기흉이 발생하기 쉬운 시술을 한 직후에는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흉부 X-선을 촬영하여 기흉 발생여부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기흉이 발생한 경우 초기에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흉부 CT촬영
CT촬영은 통상적으로 기흉 자체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 등에서 기흉의 원인이 되는 소기포의 발생위치와 크기 등을 정확히 평가하거나 폐암 등 동반된 질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 경과/예후
기흉은 대체로 재발이 흔한 편이어서 첫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때는 재발률이 50% 정도이고 재발되는 기간은 평균 2~3년 정도이다. 두번째, 세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재발률이 더욱 높아 각각 60%, 80%이다.
5) 합병증
약 15%의 환자에서는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다.
6) 치 료
기흉 환자를 치료하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늑막강 내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흉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능한 방법으로는 단순관찰법, 산소공급법, 단순공기제거법, 흉관삽입법,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흉강내시경 및 개흉술 등이 있다.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기흉이 첫번째 발생 했을 때 기흉의 크기가 한쪽 흉곽의 15% 미만이라면 단순히 관찰하며 두고 보아도 기흉은 저절로 흡수된다. 기흉 환자에게서 보조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면 기흉의 흡수속도가 단순히 관찰하는 것보다 빨라진다. 단순관찰법 또는 산소흡입법은 기흉이 크게 생겼을 경우에는 모두 흡수 되는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사용할 수 없다.
(2) 단순공기제거법
주사기를 이용하여 늑막강 내의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흉을 빨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흉의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3) 흉관삽입법
늑막강 내로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흉관을 삽입한 그 자체만으로도 기흉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기흉은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현상이다. 따라서 장측흉막과 벽측흉막이 들러붙어 있는 경우(흉막유착)에는 공기가 고일 공간이 없어 기흉이 재발하지 않는다. 흉막유착법은 삽입된 흉관을 통해 화학약품을 늑막강내에 넣어 인위적으로 흉막유착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수술을 통해 공기가 새는 폐의 구멍난 부분을 막고 기포를 제거하며 흉막유착술을 시행해 기흉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이다.
흉벽의 중간 세 군데를 작게 절개한 후 camera와 video projector가 부착된 내시경을 첫 번째 절개선으로 삽입하여 조직을 검사한다. 다른 절개선을 통하여 조직을 치료하고 조직 검사를 한다. 폐를 재팽창시키기 위하여 흉관을 삽입한다. 이 시술의 장점은 마취 시간이 짧고, 통증이 적고, 입원 기간이 짧은 것이다. 또한 개방 폐조직 검사 시에는 시행할 수 없는 하부폐엽 조직 검사를 할 수 있다.
기흉 환자를 앞에 기술된 어떤 방법으로 치료할 것인가는 기흉의 크기, 재발 유무, 폐의 상태(건강한 폐 또는 질환이 있던 폐), 기흉의 원인, 기흉 발생 당시 임상증상 및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해야한다.
7) 예방법
흡연은 자연 기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금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 기흉의 수술
1) 폐기포 절제술이란?
기흉의 재발을 막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기흉의 원인이 되는 폐기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늑막강 내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이다.
2) 수술의 적응증
(1) 공기유출이 심한 경우
(2) 흉관 삽관 후 5일 이상 공기 유출이 지속되는 경우
(3) 재발한 기흉
(4) 혈흉, 농흉, 만성 기흉 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5) 이차성 기흉의 원인이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
(6) 첫 발병이지만 직업이 특수한 경우 ; 항공기 근무자, 스쿠바 다이버, 오지에 사는 사람
(7) 이전에 반대편에 기흉이 발병한 적이 있는 사람
(8) 동시에 양측이 발생한 경우
(9) 흉부방사선검사에서 폐기포가 뚜렷이 보이는 경우
3) 수술절차
1단계: preperation
① position: lateral position
② painting&drap: betadine soap& sol, thoracotomy pack
2단계: troca insert
① 1st trocar: chest tube remove 한 자리를 betadin 4*3gauze로 닦아낸다. 10.5 trocar 삽입후 obturator 빼고 scope 삽입하여 흉강내 관찰한다.
② 2nd trocar: nipple주위를 #15blade로 incision. bovie사용. mosquito 또는 kelly이용하여 흉벽을 벌리고 thoracoport 5.5mm insertendo instrument 들을 삽입한다.
③ 3rd trocar: 11.5mm을 삽입한다.
3단계: laparoscopic asscessment
2nd trocar쪽으로 endo instrument를 삽입하여 blebs이 있는 부위를 찾는다. endo fcp, dissector이용한다.
4단계: .bullectomy
endo fcp을 이용해 blebs을 포함한 건강한 조직을 잡아 올리고 3rd trocar통해 endo autosuture를 이용해 cutting하고 sealing한다.
5단계: air leakage test
spoid로 n/s을 흉강내 삽입하여 hole 있는지 확인한다. n/s을 넣어 lung잠기게 한 후 ambu bagging하여 폐를 팽창시킨다. 이때 기포가 발생한다면 hole 있는 것이다. endo spatula로 lung을 retraction시키며 반복적으로 irrigation suction하여 부위 stapler로 다시 autosuture한다.
6단계: 흉막 유착술
① Mechanical pleurodesis: 4*3gauze를 1*1*1크기의 단단한 peanut으로 만들어 cvd sponge fcp에 물려 놓는다. 이것으로 흉벽을
(3) 흉부 CT촬영
CT촬영은 통상적으로 기흉 자체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 등에서 기흉의 원인이 되는 소기포의 발생위치와 크기 등을 정확히 평가하거나 폐암 등 동반된 질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 경과/예후
기흉은 대체로 재발이 흔한 편이어서 첫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때는 재발률이 50% 정도이고 재발되는 기간은 평균 2~3년 정도이다. 두번째, 세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재발률이 더욱 높아 각각 60%, 80%이다.
5) 합병증
약 15%의 환자에서는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다.
6) 치 료
기흉 환자를 치료하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늑막강 내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흉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능한 방법으로는 단순관찰법, 산소공급법, 단순공기제거법, 흉관삽입법,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흉강내시경 및 개흉술 등이 있다.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기흉이 첫번째 발생 했을 때 기흉의 크기가 한쪽 흉곽의 15% 미만이라면 단순히 관찰하며 두고 보아도 기흉은 저절로 흡수된다. 기흉 환자에게서 보조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면 기흉의 흡수속도가 단순히 관찰하는 것보다 빨라진다. 단순관찰법 또는 산소흡입법은 기흉이 크게 생겼을 경우에는 모두 흡수 되는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사용할 수 없다.
(2) 단순공기제거법
주사기를 이용하여 늑막강 내의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흉을 빨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흉의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3) 흉관삽입법
늑막강 내로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흉관을 삽입한 그 자체만으로도 기흉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기흉은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현상이다. 따라서 장측흉막과 벽측흉막이 들러붙어 있는 경우(흉막유착)에는 공기가 고일 공간이 없어 기흉이 재발하지 않는다. 흉막유착법은 삽입된 흉관을 통해 화학약품을 늑막강내에 넣어 인위적으로 흉막유착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수술을 통해 공기가 새는 폐의 구멍난 부분을 막고 기포를 제거하며 흉막유착술을 시행해 기흉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이다.
흉벽의 중간 세 군데를 작게 절개한 후 camera와 video projector가 부착된 내시경을 첫 번째 절개선으로 삽입하여 조직을 검사한다. 다른 절개선을 통하여 조직을 치료하고 조직 검사를 한다. 폐를 재팽창시키기 위하여 흉관을 삽입한다. 이 시술의 장점은 마취 시간이 짧고, 통증이 적고, 입원 기간이 짧은 것이다. 또한 개방 폐조직 검사 시에는 시행할 수 없는 하부폐엽 조직 검사를 할 수 있다.
기흉 환자를 앞에 기술된 어떤 방법으로 치료할 것인가는 기흉의 크기, 재발 유무, 폐의 상태(건강한 폐 또는 질환이 있던 폐), 기흉의 원인, 기흉 발생 당시 임상증상 및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해야한다.
7) 예방법
흡연은 자연 기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금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3. 기흉의 수술
1) 폐기포 절제술이란?
기흉의 재발을 막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기흉의 원인이 되는 폐기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늑막강 내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이다.
2) 수술의 적응증
(1) 공기유출이 심한 경우
(2) 흉관 삽관 후 5일 이상 공기 유출이 지속되는 경우
(3) 재발한 기흉
(4) 혈흉, 농흉, 만성 기흉 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5) 이차성 기흉의 원인이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
(6) 첫 발병이지만 직업이 특수한 경우 ; 항공기 근무자, 스쿠바 다이버, 오지에 사는 사람
(7) 이전에 반대편에 기흉이 발병한 적이 있는 사람
(8) 동시에 양측이 발생한 경우
(9) 흉부방사선검사에서 폐기포가 뚜렷이 보이는 경우
3) 수술절차
1단계: preperation
① position: lateral position
② painting&drap: betadine soap& sol, thoracotomy pack
2단계: troca insert
① 1st trocar: chest tube remove 한 자리를 betadin 4*3gauze로 닦아낸다. 10.5 trocar 삽입후 obturator 빼고 scope 삽입하여 흉강내 관찰한다.
② 2nd trocar: nipple주위를 #15blade로 incision. bovie사용. mosquito 또는 kelly이용하여 흉벽을 벌리고 thoracoport 5.5mm insertendo instrument 들을 삽입한다.
③ 3rd trocar: 11.5mm을 삽입한다.
3단계: laparoscopic asscessment
2nd trocar쪽으로 endo instrument를 삽입하여 blebs이 있는 부위를 찾는다. endo fcp, dissector이용한다.
4단계: .bullectomy
endo fcp을 이용해 blebs을 포함한 건강한 조직을 잡아 올리고 3rd trocar통해 endo autosuture를 이용해 cutting하고 sealing한다.
5단계: air leakage test
spoid로 n/s을 흉강내 삽입하여 hole 있는지 확인한다. n/s을 넣어 lung잠기게 한 후 ambu bagging하여 폐를 팽창시킨다. 이때 기포가 발생한다면 hole 있는 것이다. endo spatula로 lung을 retraction시키며 반복적으로 irrigation suction하여 부위 stapler로 다시 autosuture한다.
6단계: 흉막 유착술
① Mechanical pleurodesis: 4*3gauze를 1*1*1크기의 단단한 peanut으로 만들어 cvd sponge fcp에 물려 놓는다. 이것으로 흉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