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기말고사]및 치료 23~40차시 기말 교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기말고사]및 치료 23~40차시 기말 교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악몽질문
① 문제중심적 질문으로 변화에 대한 질문, 예외질문, 기적질문 등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 예 : 오늘 밤에 잠자리에 들었는데 악몽을 꾼다고 가정합시다. 악몽은 바로 당신의 문제가 갑자기 더욱 나빠진 겁니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악몽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무엇을 보면 악몽이 현실로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까?
② 질문에 대한 답을 들은 후 대처질문을 하거나 원하는 변화에 대해 질문할 수 있음
③ 내담자와 치료자 간 친밀감과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할 것
[학습정리]
-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의 기법인 기적질문, 대처질문, 관계성질문은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구체화하고 강점과 자원 발견을 촉진하며 타인의 관점 이해를 돕는 해결중심적 질문이다.
- 악몽질문은 해결중심적 질문으로 목표 설정과 해결책 탐색이 촉진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자와 내담자 간 신뢰가 형성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32차시: 메시지 작성과 전달
-메시지의 기능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메시지의 구조를 알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제1절 메시지 기능
1)교육적 기능
연구 결과나 지식, 전문가의 의견을 전달해 자신의 처지나 해결책을 다른 관점에서 보게함
2)정상화 기능
-내담자와 가족이 겪는 어려움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것임을 알려줌
-문제의 심각성을 감소시킴: 문제를 수용하고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
3)새로운 의미의 기능
-문제나 현상에 대해 다른 의미를 제공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음
4)과제의 기능
-메시지는 과제를 부여하는 기능을 함
-내담자와 가족은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실천, 화대할 수 있음
제2절 메시지의 구조
1)칭찬
-내담자와 가족의 언어, 행동을 강화하여 문제 해결을 촉진함
- 칭찬의 기능(Walter & Peller 1992)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내담자의 강점과 장점을 발견해야 함
*변화 과정 관찰: 이미 도움이 되는 것을 하고 있다는 점을 일깨워 치료를 촉진함
*판단에 대한 두려움 감소: 치료자가 평가, 비판할 것에 대한 걱정을 감소시킴
*변화에 대한 두려움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애쓰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받음으로써 걱정과 불안 완화
*정상화: 내담자와 가족이 자기 비난을 멈추고 다른 것을 할 수 있도록 도움
*책임감 증진: 내담자와 가족이 자신의 강점과 가능성, 능력을 깨달음으로써 책임감을 갖고 더 노력할 수 있게 함
*다양한 관점 지지: 가족 모두를 인정함으로써 다른 관점과 의견이 존재할 수 있음을 수용 치료자는 중립적 입장을 취할 수 있음
2)연결문
칭찬과 과제를 연결해주는 부분
치료 과정에서 발견된 예외상황, 강점, 관점(지각) 등을 인용
3)과제
유형 내용
관찰과제:해결책과 예외상황 발견에 도움이 되는 것을 관찰해 보게 하는것
예;\"문제가 덜 나타나는 상황에서는 문제가 나타날 때와 무엇이 다른지 관찰해 보세요.\"
행동과제:해결책을 신처해 보게 하거나 예외상황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일을 직접해 보게 하는 것
예 \"아내와 함께 매일 함께 TV를 보시고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나누어보세요\"
가족과 대화, 예외상황을 잘 살펴 보고 활용할 것
[학습정리]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저날되는 메시지에는 교유적 기능 정상화 기능 새로운 의미의 기능, 과제의 기능이 있다
-메시지는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판단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칭찬, 칭찬과 과제를 연결하는 연결문, 다음 회기에 참석하기 전까지 수행하고 과제를 구성한다.
제 33차시: 과제 작성 시 고려할 사항
[학습목표]
1.과제 작성의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을 고려해 과제를 작성하고 부여할 수 있다.
제1절 과제 작성의 원리
1)긍정적인 것을 관찰하기
-감정, 원하는 변화 등이나 그것이 나타나는 상황을 관찰하고 오게 하는 것
-목표와 관련된 것을 관찰함으로써 그것이 나타나게 한 자신의 특성, 능력 또는 상황을
발견하게 함
2)예외를 발견하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외상황을 발견해야 함
-예외가 의도적인 것인지 우연적인 것인지 구분하고 예외가 더 많이 나타나도록 만들게
할 수 있음
-예외가 우연적인 것이라면 어떻게 일어나는지 관찰하게 함
3)작은 것을 실행하기
-회기에서 예외를 발견하지 못했다면 기적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작은 일을 해 보게 함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해 보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해 보게 함
4)설정된 목표를 검토하기
-잘 설정된 목표는 구체적이고 행동적으로 묘사됨
-묘사된 행동에 기초해 과제를 설정할 수 있음
-현재 내담자가 어느 정도 목표 행동을 실천했는지, 목표는 잘 형성되었는지
점검이 필요함
제2절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유형에 따른 과제 작성
1)방문형 내담자
제 3자에 의해 치료에 참석한 경우, 문제해결의 필요성이나 문제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치료에 참석한 것에 감사를 표하고 다시 방문해 줄 것을 요청함
2)불평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시은 아무 것도 하지 않음
다른 가족 구성원을 탓함
목표가 없는 경우: 원하는 일들 중 어떤 것이 일어나는지 관찰해 보게함
예외 상황이 발견되었거나 목표가 설정된 경우: 어떻게 예외 똔느 상황이 일어 났는지
관찰해 보게함
3)고객형 내담자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의지가 있는 경우
예외상황에서의 행동, 그 동안 효과적이었던 것을 더 많이 해보고 또 다른 예외를 발견 하게 함
예외상황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지금과 다른 것을 해 보게 하거나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행동하게 과제를 줄 수 있음
[학습정리]
-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에서 과젤르 작성할 때엔느 긍정적인 것을 관찰하고 예외를 발견하며 작은 것을 실행한다는 원리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설정된 목표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
-내담자 유형에 따라 과제를 달리 해야하는데. 방문형 내담자에게 과제를 주지 않는 것이 좋으며 불평형 내담자에게 관찰 과제가 고객형 내담자에게 행동 과제와 관찰 과제가 모두 유용하다.
제 34 차시: 유형 별 개입
[학습목표]
1.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 사례에 개입하는 방법을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11.0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