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며...
1) 발표주제 선정 동기
2) 발표의 목적
2. 전공과목 분석
1) 자료조직Part
(1) 지식관리론 (1) (분류법)
(2) 지식관리론 (2) (목록법)
(3) 정보자료구성론
2) 정보학 Part
(1) 도서관정보시스템이용법
(2) 정보학
(3) 정보시스템구축론
3) 참고정보서비스
(1) 참고정보서비스론
(2) 독서지도론
(3) 도서관정보센터 경영론
4) 서지학
1) 발표주제 선정 동기
2) 발표의 목적
2. 전공과목 분석
1) 자료조직Part
(1) 지식관리론 (1) (분류법)
(2) 지식관리론 (2) (목록법)
(3) 정보자료구성론
2) 정보학 Part
(1) 도서관정보시스템이용법
(2) 정보학
(3) 정보시스템구축론
3) 참고정보서비스
(1) 참고정보서비스론
(2) 독서지도론
(3) 도서관정보센터 경영론
4) 서지학
본문내용
특히, 사서의 역할에 대해 공부해 볼수 있다.)
3. 정보매체의 역사와 특성 및 선택에 관해 학습한다.
(계량서지학의 3법칙-로두카의 생산성법칙, 지프법칙, 브래드포드의 분산법칙등
장서의 사용빈도 등을 연구하여 어떠한 장서를 수집하고 보존하고 폐기하는 지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4. 각 도서관 유형에 따른 장서관리계획에 대한 Case study를 함으로서, 장서관리계획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학습하게 된다.
(자관마다의 성격과 목적에 따른 장서수집 및 폐기에 대해 학습하고, 대학도서관
연구도서관 등 다양한 성격의 도서관에 따른 장서관리계획을 공부한다.)
2) 정보학 Part
(1) 도서관정보시스템이용법
2학년 1학기에 학습할 도서관정보시스템 이용법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원 중 온라인 방식의 정보원에 대한 구성체계 및 학술DB 에 대해서 학습한다.
특히, 우리대학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술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함은 물론, (AND, OR NOT 등의 불리안 연산자를 이용한 불리안 검색기법 및 어구검색 등을 학습한다.)
대표적인 DB로는
국내학술지원 DB : DBpia(누리미디어, 국내 500여개 기관의 학술지,연구기관지 제공), KISS(한국학술정보, 국내1200기관의 학회지 40여개 대학의 석/박사학위논문 제공)
국외학술지원 DB :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PQDT)(북미, 유럽, 아시아 일부 지역 1,440 여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 230여만건의 서지초록 정보 및 원문 제공,)
Digital Dissertations On Demand(DDOD) 북미 및 일부 유럽지역의 상위권 대학의 박사논문 8만여권의 원문제공
Web of Science : SCI, SCIE, SSCI, A&HCI
(인용색인제공DB )
세계 최고 수준의 권위 있는 학술저널 9,000여종에 수록된 논문의 서지정보, 저자초록 및 인용정보를 웹으로 제공
(2) 정보학
정보학부문에서는 3학년1학기에 학습할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에서는 정보검색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1. 멀티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소러스를 만들어 본다.
(시소러스란 유의어, 반의어 개념의 상하위 관계등을 표현한 어휘표라고 할 수 있다.)
2. 색인(indexing)에 대한 학습
색인이란 주제분석 및 주요개념 추출하여 이를 코드화한다.
색인 대상이 되는 개념의 조합이 일어나는 시기에 따른 전조합 후조합 색인 및
색인어 선택시 용어에 통제가 가해졌는가의 여부에 따른 자연언어색인 및 통제언어색인
등을 학습한다.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사서나 주제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색인 방법외에 자동색인등에
대해 학습한다.
3. 정보검색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불리안 모델(Boolean model)과
정보검색의 벡터스페이스 모델(Vector space model of information retrieval)에 대해서
학습한다.
4. 또한 구글 및 네이버 검색 등 현재의 정보검색엔진에 대해 학습한다.
.
(3) 정보시스템구축론
① 학문의 필요성
정보화시대가 도래했고 디지털도서관이란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디지털도서관은 디지털 환경에 걸맞는 도서관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회적 실체로 전통적 도서관의 소유 및 물리적, 공간적 개념을 초월하여 접근 및 가상, 디지털 공간의 개념이 추가되는 차원에서 파악되어져야 한다. 디지털 환경 자체가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도서관도 마찬가지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강구하고 실현하여야 한다.
② 학습범위
정보시스템구축론 과목은 4학
3. 정보매체의 역사와 특성 및 선택에 관해 학습한다.
(계량서지학의 3법칙-로두카의 생산성법칙, 지프법칙, 브래드포드의 분산법칙등
장서의 사용빈도 등을 연구하여 어떠한 장서를 수집하고 보존하고 폐기하는 지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4. 각 도서관 유형에 따른 장서관리계획에 대한 Case study를 함으로서, 장서관리계획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학습하게 된다.
(자관마다의 성격과 목적에 따른 장서수집 및 폐기에 대해 학습하고, 대학도서관
연구도서관 등 다양한 성격의 도서관에 따른 장서관리계획을 공부한다.)
2) 정보학 Part
(1) 도서관정보시스템이용법
2학년 1학기에 학습할 도서관정보시스템 이용법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원 중 온라인 방식의 정보원에 대한 구성체계 및 학술DB 에 대해서 학습한다.
특히, 우리대학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술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함은 물론, (AND, OR NOT 등의 불리안 연산자를 이용한 불리안 검색기법 및 어구검색 등을 학습한다.)
대표적인 DB로는
국내학술지원 DB : DBpia(누리미디어, 국내 500여개 기관의 학술지,연구기관지 제공), KISS(한국학술정보, 국내1200기관의 학회지 40여개 대학의 석/박사학위논문 제공)
국외학술지원 DB :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PQDT)(북미, 유럽, 아시아 일부 지역 1,440 여 대학의 석박사 학위논문 230여만건의 서지초록 정보 및 원문 제공,)
Digital Dissertations On Demand(DDOD) 북미 및 일부 유럽지역의 상위권 대학의 박사논문 8만여권의 원문제공
Web of Science : SCI, SCIE, SSCI, A&HCI
(인용색인제공DB )
세계 최고 수준의 권위 있는 학술저널 9,000여종에 수록된 논문의 서지정보, 저자초록 및 인용정보를 웹으로 제공
(2) 정보학
정보학부문에서는 3학년1학기에 학습할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에서는 정보검색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1. 멀티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소러스를 만들어 본다.
(시소러스란 유의어, 반의어 개념의 상하위 관계등을 표현한 어휘표라고 할 수 있다.)
2. 색인(indexing)에 대한 학습
색인이란 주제분석 및 주요개념 추출하여 이를 코드화한다.
색인 대상이 되는 개념의 조합이 일어나는 시기에 따른 전조합 후조합 색인 및
색인어 선택시 용어에 통제가 가해졌는가의 여부에 따른 자연언어색인 및 통제언어색인
등을 학습한다.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사서나 주제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색인 방법외에 자동색인등에
대해 학습한다.
3. 정보검색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불리안 모델(Boolean model)과
정보검색의 벡터스페이스 모델(Vector space model of information retrieval)에 대해서
학습한다.
4. 또한 구글 및 네이버 검색 등 현재의 정보검색엔진에 대해 학습한다.
.
(3) 정보시스템구축론
① 학문의 필요성
정보화시대가 도래했고 디지털도서관이란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디지털도서관은 디지털 환경에 걸맞는 도서관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회적 실체로 전통적 도서관의 소유 및 물리적, 공간적 개념을 초월하여 접근 및 가상, 디지털 공간의 개념이 추가되는 차원에서 파악되어져야 한다. 디지털 환경 자체가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도서관도 마찬가지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강구하고 실현하여야 한다.
② 학습범위
정보시스템구축론 과목은 4학
추천자료
연극 교육을 통한 창의력, 상상력
[실업계학교][실업계고교]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실업계고등학교 교육과정...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방향][통일교육의 개선과제]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필요성, 통...
[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중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성격과 필요성, 중학교 진로교육 기...
[인성교육][인성지도]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관, 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념, 인성교육(인성...
중학교(중등) 교육과정 기본구조, 중학교(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과 편제, 중학교(중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의미와 성격,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교육지침과 주안점, 초등학교 재량활...
미국 초등학교의 언어교육과 미술교육 사례, 미국 초등학교의 원격교육과 인터넷활용교육 사...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의미와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도입배경과 ...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의 기원, 컴퓨터보조학습(CAI, 컴퓨터보조수업)의 현황...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의 종류와 도입이유,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 인...
[환경교육][환경교육 원칙][환경교육 내용][환경교육 고려사항][환경교육 방향]환경교육의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