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본문내용
서 생각을 정리하고 수정할 여유가 주어지는 글에 비해 때로 정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글:뛰어난 기록성, 우수한 보관성
②비언어 메시지
-표정이나 눈빛, 제스처 등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회사 신입사원 집단 면접장에서 면접위원이 “평소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 합니까”라는 질문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질문을 받고서 어떤 사람은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말하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에 다른 사람은 ‘휴--’ 하고 한숨 쉬는 모습을 보였다면, 이 집단 면접에서 누가 보다 나은 메시지를 구사하고 있는지를 어렵지 않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취업 성공을 위한 자기 PR의 첫걸음
*자기 PR에서 메시지가 왜 중요한가???
첫째, 자신의 존재와 실체를 드러내는 가장 쉽고 빠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나타내는 포인트이기 때문입니다.
셋째, 메시지가 없으면 소통 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PR은 메시지고, 메시지가 PR인 것입니다.
메시지가 없는 곳에서 PR을 한다거나 PR을 하는데 메시지가 없다는 것은 산에서 물고기를 찾는 이치와 다르지 않겠당
<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고사 성어>
언부중리 불여불언-말이 도리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도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해서 화를 당할 수 있으니 항상 신중하게 도리에 맞는 말을 하라.
촌철살인-한 치의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한 마디 말이 수천마디의 말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말의 중요성을 말함
삼촌지설 강어백만지사-\'세 치의 혀가 백만 명의 군대보다 더 강하다\'는 뜻으로 백만 군대의 군대의 위력으로도 되지 않은 일을 말로써 상대방을 설복시켜 뜻을 이루게 됨을 이름.
설망어검-혀는 칼보다 날카롭다는말, 논봉의 날카로움을 이르는 말
내어불미 거어하미-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도 곱다 는 의미
2.훌륭한 메시지를 만들기 위한 두 가지 접근방법 -어떻게 메시지를 만들 것인가
메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나는 메시지의 원천을 풍부하게 하는 실체적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동일한 메시지라 하더라도 이를 더 매력적이고 윤기 나게 하는 상징적 작업입니다.
1.메시지의 근거를 개발, 확충하는 일이 실체적 작업
-훌륭한 메시지 설계를 위해서는 훌륭한 콘텐츠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즉, 메시지의 토대를 튼튼히 하는 것입니다.
떨어지는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 수적천석(水滴穿石)의 원리로 쌓이고 축적되어 나가는 것이 메시지의 실체를 튼튼히 하는 일입니다.
실체적 작업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이 세 가지
①신문과 잡지 탐독:사회의 창
-이러한 대중 매체를 통하여 사회의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회적 사건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특징을 잡아낼 수 있다.
-인쇄매체의 강점은 각종 칼럼이나 사설 등을 통하여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다듬어 나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훌륭한 메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날마다 신문을 접해야 합니다.
②메모 습관
-많은 콘텐츠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머리의 기억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기록을 남겨야 합니다. 기억으로는 콘텐츠의 정확한 관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의 하나는 이들이 메모하는 습관을 가졌다는 점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자신의 메시지로 만들기 위해서는 메모하는 습관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③전문성의 강화
-메시지는 전문성이 뒷받침될 때 빛을 발합니다. 전문성은 자신이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경험하는 일에서 발견됩니다. 다른 사람은 관심을 갖지 않은 일이나 분야에 대해 한발 앞서 원리와 방법을 터득하면 이 일이야말로 자신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게 됩니다. 또한 전문성이란 앞으로 자신이 성장하고 활약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경쟁력을 통해서 전문성이 배양된다. 자신의 메시지에 전문성이 없으면 싱거운 메시지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성의 강화를 통해서 자신의 메시지를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자신의 메시지를 훌륭하게 만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2.상징적 작업 -자신의 콘텐츠와 내용을 다른 사람들이 기억하고 인식하고 회상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
맥주 컵에 맥주가 1/2이 남았을 때 우리는 이 상황을 어떻게 묘사할 수 있을까요?
어떤 사람은 ‘맥주가 반 밖에 남지 않았구나’라고 말할 것이고 다른 이는 ‘맥주가 반이나 남아 있구나’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 컵이 담긴 맥주의 실체를 어떻게 표현하고 전달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메시지의 상징적 작업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메시지의 상징적 작업 요령>
첫째-간결하고 단순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문이나 TV 뉴스를 보면 이를 실감할 수 있는데, 신문 기사나 TV 뉴스는 가급적이면 쉽고 이해하기 편한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둘째-짧고 단순한 문장과 구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러분 자신이 어제 쓴 글이 있다면 한번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한 문장이 몇 음절(글자)로 이루어졌습니까? 당대의 유명한 논객들이 쓴 글을 보면 문장이 복잡하거나 중첩되지 않습니다. 주로 단문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셋째-수동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취업을 위한 자기 메시지는 적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넷째-속어나 은어 등은 피해야 합니다. 속어나 은어의 사용은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됩니다.
다섯째-형용사나 부사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시지는 핵심 사실을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형용사나 부사의 과도한 사용은 메시지의 감성화나 극단화를 부를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평가>
-자기pr에서 메시지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자신의 존재와 실체를 드러내는 가장 쉽고 빠른 표현
2.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나타내는 포인트이기
- 글:뛰어난 기록성, 우수한 보관성
②비언어 메시지
-표정이나 눈빛, 제스처 등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회사 신입사원 집단 면접장에서 면접위원이 “평소 스트레스를 어떻게 관리 합니까”라는 질문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질문을 받고서 어떤 사람은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말하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에 다른 사람은 ‘휴--’ 하고 한숨 쉬는 모습을 보였다면, 이 집단 면접에서 누가 보다 나은 메시지를 구사하고 있는지를 어렵지 않게 가늠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취업 성공을 위한 자기 PR의 첫걸음
*자기 PR에서 메시지가 왜 중요한가???
첫째, 자신의 존재와 실체를 드러내는 가장 쉽고 빠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나타내는 포인트이기 때문입니다.
셋째, 메시지가 없으면 소통 자체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PR은 메시지고, 메시지가 PR인 것입니다.
메시지가 없는 곳에서 PR을 한다거나 PR을 하는데 메시지가 없다는 것은 산에서 물고기를 찾는 이치와 다르지 않겠당
<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고사 성어>
언부중리 불여불언-말이 도리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도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해서 화를 당할 수 있으니 항상 신중하게 도리에 맞는 말을 하라.
촌철살인-한 치의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한 마디 말이 수천마디의 말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말의 중요성을 말함
삼촌지설 강어백만지사-\'세 치의 혀가 백만 명의 군대보다 더 강하다\'는 뜻으로 백만 군대의 군대의 위력으로도 되지 않은 일을 말로써 상대방을 설복시켜 뜻을 이루게 됨을 이름.
설망어검-혀는 칼보다 날카롭다는말, 논봉의 날카로움을 이르는 말
내어불미 거어하미-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도 곱다 는 의미
2.훌륭한 메시지를 만들기 위한 두 가지 접근방법 -어떻게 메시지를 만들 것인가
메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접근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나는 메시지의 원천을 풍부하게 하는 실체적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동일한 메시지라 하더라도 이를 더 매력적이고 윤기 나게 하는 상징적 작업입니다.
1.메시지의 근거를 개발, 확충하는 일이 실체적 작업
-훌륭한 메시지 설계를 위해서는 훌륭한 콘텐츠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즉, 메시지의 토대를 튼튼히 하는 것입니다.
떨어지는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 수적천석(水滴穿石)의 원리로 쌓이고 축적되어 나가는 것이 메시지의 실체를 튼튼히 하는 일입니다.
실체적 작업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이 세 가지
①신문과 잡지 탐독:사회의 창
-이러한 대중 매체를 통하여 사회의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회적 사건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특징을 잡아낼 수 있다.
-인쇄매체의 강점은 각종 칼럼이나 사설 등을 통하여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다듬어 나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훌륭한 메시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날마다 신문을 접해야 합니다.
②메모 습관
-많은 콘텐츠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머리의 기억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기록을 남겨야 합니다. 기억으로는 콘텐츠의 정확한 관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의 하나는 이들이 메모하는 습관을 가졌다는 점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자신의 메시지로 만들기 위해서는 메모하는 습관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③전문성의 강화
-메시지는 전문성이 뒷받침될 때 빛을 발합니다. 전문성은 자신이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경험하는 일에서 발견됩니다. 다른 사람은 관심을 갖지 않은 일이나 분야에 대해 한발 앞서 원리와 방법을 터득하면 이 일이야말로 자신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게 됩니다. 또한 전문성이란 앞으로 자신이 성장하고 활약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경쟁력을 통해서 전문성이 배양된다. 자신의 메시지에 전문성이 없으면 싱거운 메시지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성의 강화를 통해서 자신의 메시지를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자신의 메시지를 훌륭하게 만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2.상징적 작업 -자신의 콘텐츠와 내용을 다른 사람들이 기억하고 인식하고 회상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
맥주 컵에 맥주가 1/2이 남았을 때 우리는 이 상황을 어떻게 묘사할 수 있을까요?
어떤 사람은 ‘맥주가 반 밖에 남지 않았구나’라고 말할 것이고 다른 이는 ‘맥주가 반이나 남아 있구나’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 컵이 담긴 맥주의 실체를 어떻게 표현하고 전달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메시지의 상징적 작업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메시지의 상징적 작업 요령>
첫째-간결하고 단순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문이나 TV 뉴스를 보면 이를 실감할 수 있는데, 신문 기사나 TV 뉴스는 가급적이면 쉽고 이해하기 편한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둘째-짧고 단순한 문장과 구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러분 자신이 어제 쓴 글이 있다면 한번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한 문장이 몇 음절(글자)로 이루어졌습니까? 당대의 유명한 논객들이 쓴 글을 보면 문장이 복잡하거나 중첩되지 않습니다. 주로 단문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셋째-수동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취업을 위한 자기 메시지는 적극성을 반영해야 합니다.
넷째-속어나 은어 등은 피해야 합니다. 속어나 은어의 사용은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됩니다.
다섯째-형용사나 부사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시지는 핵심 사실을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형용사나 부사의 과도한 사용은 메시지의 감성화나 극단화를 부를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평가>
-자기pr에서 메시지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자신의 존재와 실체를 드러내는 가장 쉽고 빠른 표현
2.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나타내는 포인트이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