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머리에
1. 8-9세기 통일신라의 해양활동
2. 해양을 통한 당과 왜와의 국제교류
맺 음 말
1. 8-9세기 통일신라의 해양활동
2. 해양을 통한 당과 왜와의 국제교류
맺 음 말
본문내용
사절교환을 통해 비교적 순조롭게 유지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9세기 초반에도 유지되었다. 신라의 주된 교류 대상은 당이었는데, 당과의 교류는 견당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견당사를 통한 국제교류의 핵심은 정치적인 것에 있었지만, 반드시 그러한 성격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조공과 회사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던 공무역을 담당하는 존재였고, 신학문과 사상·예술을 수입·전파하던 문화사절이기도 하였다 견당사에 대한 연구는 대표적으로 권덕영의『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일조각,1997/「新羅 遣唐使 硏究」(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을 들 수 있다.
.
그러나 9세기가 전개되면서 일본과의 교류는 물론 당과의 공적교류도 서서히 쇠퇴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일본의 공적교류의 쇠퇴에 관한 논문으로 장용수『대륙관계 開閉에 대한 일본의 주도적 역할과 함의』(「유교사상연구」 제44집, 한국유교학회, 2011, p.p267 ~ 297) 가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교류의 쇠퇴를 동아시아의 상황과 일본 내부적인 권력관계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
표1) 9세기 신라의 견당사 파견 현황 이 표는 신형식「統一新羅의 對唐關係」,『통일신라사연구』삼지원,p.330의 <표4-14> 및 권덕영『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일조각,1997,p.p320~325를 참고로 한 것이다.
왕명
존재년도
존재기간
파견횟수
왕명
존재년도
존재기간
파견횟수
애장왕
800~809
10
5
문성왕
839~857
19
4
헌덕왕
809~862
18
10
헌안왕
857~861
5
1
흥덕왕
862~836
11
8
경문왕
861~875
15
4
희강왕
836~838
3
1
헌강왕
875~886
12
5
민애왕
838~839
2
-
정강왕
886~887
2
-
신무왕
839~839
1
1
진성여왕
887~897
11
6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9세기 대 신라에서는 견당사 파견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적 측면에서의 필요성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지만, 견당사가 신라의 대당교역을 주도해 왔던 점에 유의하면, 이들과는 다른 새로운 교역주체가 등장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흥덕왕 대의 견당사가 831년 이후에는 파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828년에 청해진이 설치되었던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즉 828년경부터 장보고가 중심이 된 신라상인들의 교역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견상다
.
그러나 9세기가 전개되면서 일본과의 교류는 물론 당과의 공적교류도 서서히 쇠퇴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일본의 공적교류의 쇠퇴에 관한 논문으로 장용수『대륙관계 開閉에 대한 일본의 주도적 역할과 함의』(「유교사상연구」 제44집, 한국유교학회, 2011, p.p267 ~ 297) 가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교류의 쇠퇴를 동아시아의 상황과 일본 내부적인 권력관계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
표1) 9세기 신라의 견당사 파견 현황 이 표는 신형식「統一新羅의 對唐關係」,『통일신라사연구』삼지원,p.330의 <표4-14> 및 권덕영『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일조각,1997,p.p320~325를 참고로 한 것이다.
왕명
존재년도
존재기간
파견횟수
왕명
존재년도
존재기간
파견횟수
애장왕
800~809
10
5
문성왕
839~857
19
4
헌덕왕
809~862
18
10
헌안왕
857~861
5
1
흥덕왕
862~836
11
8
경문왕
861~875
15
4
희강왕
836~838
3
1
헌강왕
875~886
12
5
민애왕
838~839
2
-
정강왕
886~887
2
-
신무왕
839~839
1
1
진성여왕
887~897
11
6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9세기 대 신라에서는 견당사 파견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적 측면에서의 필요성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지만, 견당사가 신라의 대당교역을 주도해 왔던 점에 유의하면, 이들과는 다른 새로운 교역주체가 등장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흥덕왕 대의 견당사가 831년 이후에는 파견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828년에 청해진이 설치되었던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즉 828년경부터 장보고가 중심이 된 신라상인들의 교역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견상다
추천자료
한국고전문학사의 시대구분
한국인의 정체성과 전통사상
한국인의 음식문화와 사상에 관한 고찰
한국인의 음식문화 신앙에 관한 고찰
[농업][한국농업][농업의 기원][농업의 발상지][한국농업의 기원][한국농업의 역사][한국농업...
[한국인쇄술][목판인쇄][금속활자][인쇄][인쇄술][목판][금속][활자][한국인쇄술의 역사][목...
한국의 고구려 온돌 문화
통일신라 시대의 개관과 사묘 궁궐건축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창작이론,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의 동향과 문제점, 국악...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독후감
한국약사, 한국의 역사를 4페이지로 요약기술
[핵심총정리]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 수능 완벽 대비(고급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