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하역관리시스템
Ⅰ. 하역관리시스템의 의의와 목적
1. 하역관리시스템의 의의
2. 하역관리시스템의 목적
1) 하역비의 절감
2) 노동환경의 개선
3)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4) 광범위한 범용성과 융통성
5) 인력의 개선
Ⅱ. 하역관리시스템의 분류
1. 하역장소에 따른 분류
1) 사내하역시스템
(1) 화물특성
(2) 작업특성
(3) 작업환경특성
(4) 하역기기의 특성
(5) 채산성
2) 항만하역시스템
(1) 선내작업
(2) 부선양적작업
(3) 육상작업
(4) 예부선 운송작업
3) 항공하역 시스템
(1) 살화물 탑재방식
(2) 팔레트 탑재방식
(3) 컨테이너 탑재방식
(4) 이글루 탑재방식
(5) 특수 탑재방식
2. 하역기기에 따른 분류
1) 포크리프트 하역시스템
2) 컨베이어 하역시스템
3) 크레인 하역시스템
Ⅰ. 하역관리시스템의 의의와 목적
1. 하역관리시스템의 의의
2. 하역관리시스템의 목적
1) 하역비의 절감
2) 노동환경의 개선
3)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
4) 광범위한 범용성과 융통성
5) 인력의 개선
Ⅱ. 하역관리시스템의 분류
1. 하역장소에 따른 분류
1) 사내하역시스템
(1) 화물특성
(2) 작업특성
(3) 작업환경특성
(4) 하역기기의 특성
(5) 채산성
2) 항만하역시스템
(1) 선내작업
(2) 부선양적작업
(3) 육상작업
(4) 예부선 운송작업
3) 항공하역 시스템
(1) 살화물 탑재방식
(2) 팔레트 탑재방식
(3) 컨테이너 탑재방식
(4) 이글루 탑재방식
(5) 특수 탑재방식
2. 하역기기에 따른 분류
1) 포크리프트 하역시스템
2) 컨베이어 하역시스템
3) 크레인 하역시스템
본문내용
것인가, 시설의 배치, 건물의 구주 고상식인가 혹은 저상식인가, 상화 중 등의 여건을 고려하여 하역기기를 선택하여야 한다.
(4) 하역기기의 특성
하역기기의 안전성, 신뢰성, 성능, 탄력성, 기동성, 성 에너지성, 소음, 공해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5) 채산성
하역기기의 경제성과 작업의 성 인력성을 고려하여 비용이 가장 적게 투입되는 하역시스템을 선택하여야 한다.
2) 항만하역시스템
항만하역시스템이란 항만에서 항만운송면허사업자가 화주나 선박운항업자로부터 위탁을 받아 선박에 의해 운송된 화물을 선박으로부터 인수받아 화주에게 인도하는 과정의 운반 하역행위를 총칭한다. 우리나라의 \'항만운송사업법\'에 의하면, \"항만운송과 부대사업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항만하역을 항만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양화하거나 보관 장치 운반하는 등 항만에서의 화물유통을 담당하는 사업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인 항만하역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있다.
(1) 선내작업
1> 양하
본선 내의 화물을 부선 내 또는 부두 위에 내려놓고 후크를 풀기 전까지의 작업이다.
2> 적하
선 내 또는 부두 위의 후크가 걸어진 화물을 본선 내에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부선양적작업
1> 부선양육작업
안벽에 계류된 부선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양륙하여 운반구 위에 운송 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부선적재작업
운반구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안벽에 계류되어 있는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육상작업
1> 상차
선내작업이 완료된 화물을 후크를 푼 다음 운반구 위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하차
운반구 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본선측에 적치, 선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출고 상차
창고 또는 야적장에 적치되어 있는 화물을 출고하여 운반구 위에 운송 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4> 하차 출고
운반구 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창고나 야적장에 보관 가능한 상태로 적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4) 예부선 운송작업
1> 본선 선측 ↔ 물양장작업
본선 선측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물양장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 또는 물양장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본선 선측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물양장 ↔ 물양장작업
물양장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물양장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일괄작업
전용부두에 설치된 특수장비에 의하여 선박에서 창고나 야적장까지의 하역작업, 일반부두에서의 선내작업, 이송작업 및 창고나 야드에 적치되기까지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3) 항공하역 시스템
항공하역시스템은 항공기에 항공화물터미널에서 항공기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양하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항공하역시스템의 형태에는 항공용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입하여 컨테이너 자체를 하역하는 컨테이너 하역방식, 항공용 팔레트에 화물을 적재하여 팔레트를 하역하는 팔레트 하역방식 및 컨테이너와 팔레트와 같은 단위적재용기(ULD : Unit Load Device)를 사용하지 않고 무포장 상태로 직접 하역하는 산화물 하역방식 등이 있다.
(1) 살화물 탑재방식
화물전용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공기는 객실 밑바닥에 있는 화물칸에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탐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물을 릴레이식으로 단시간에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숙련이 필요한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화물전용기가 아닌 경우 소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다.
(2) 팔레트 탑재방식
팔레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4) 하역기기의 특성
하역기기의 안전성, 신뢰성, 성능, 탄력성, 기동성, 성 에너지성, 소음, 공해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5) 채산성
하역기기의 경제성과 작업의 성 인력성을 고려하여 비용이 가장 적게 투입되는 하역시스템을 선택하여야 한다.
2) 항만하역시스템
항만하역시스템이란 항만에서 항만운송면허사업자가 화주나 선박운항업자로부터 위탁을 받아 선박에 의해 운송된 화물을 선박으로부터 인수받아 화주에게 인도하는 과정의 운반 하역행위를 총칭한다. 우리나라의 \'항만운송사업법\'에 의하면, \"항만운송과 부대사업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항만하역을 항만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양화하거나 보관 장치 운반하는 등 항만에서의 화물유통을 담당하는 사업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인 항만하역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있다.
(1) 선내작업
1> 양하
본선 내의 화물을 부선 내 또는 부두 위에 내려놓고 후크를 풀기 전까지의 작업이다.
2> 적하
선 내 또는 부두 위의 후크가 걸어진 화물을 본선 내에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부선양적작업
1> 부선양육작업
안벽에 계류된 부선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양륙하여 운반구 위에 운송 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부선적재작업
운반구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안벽에 계류되어 있는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육상작업
1> 상차
선내작업이 완료된 화물을 후크를 푼 다음 운반구 위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하차
운반구 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본선측에 적치, 선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출고 상차
창고 또는 야적장에 적치되어 있는 화물을 출고하여 운반구 위에 운송 가능한 상태로 적재하기까지의 작업이다.
4> 하차 출고
운반구 위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내려서 창고나 야적장에 보관 가능한 상태로 적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4) 예부선 운송작업
1> 본선 선측 ↔ 물양장작업
본선 선측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물양장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 또는 물양장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본선 선측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2> 물양장 ↔ 물양장작업
물양장에 계류된 부선에 운송가능한 상태로 적재된 화물을 운송하여 물양장에 계류하기까지의 작업이다.
3> 일괄작업
전용부두에 설치된 특수장비에 의하여 선박에서 창고나 야적장까지의 하역작업, 일반부두에서의 선내작업, 이송작업 및 창고나 야드에 적치되기까지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3) 항공하역 시스템
항공하역시스템은 항공기에 항공화물터미널에서 항공기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양하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항공하역시스템의 형태에는 항공용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입하여 컨테이너 자체를 하역하는 컨테이너 하역방식, 항공용 팔레트에 화물을 적재하여 팔레트를 하역하는 팔레트 하역방식 및 컨테이너와 팔레트와 같은 단위적재용기(ULD : Unit Load Device)를 사용하지 않고 무포장 상태로 직접 하역하는 산화물 하역방식 등이 있다.
(1) 살화물 탑재방식
화물전용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공기는 객실 밑바닥에 있는 화물칸에 개별화물을 인력으로 탐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물을 릴레이식으로 단시간에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숙련이 필요한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화물전용기가 아닌 경우 소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다.
(2) 팔레트 탑재방식
팔레트화된 화물을 이글루(igloo)로
키워드
추천자료
전사적 고객관리 CRM구현!!!
ERP 시스템의 프랜차이즈업에 대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생산관리의 모든것(A to Z)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에 관한 분석 고찰(ERP(전사적자원관리)의 기능, E...
전자상거래(EC)의 개념, 전자상거래(EC)의 유형, 전자상거래(EC)의 의의, 전자상거래(EC)의 ...
[물류관리]e-Marketplace 형태분석과 기업경쟁력 확보방안
[물류][물류정책][물류산업][물류기반시설][물류환경]물류 의의, 물류정책 필요성, 물류산업 ...
계층분석과정(AHP)을 통한 지식경영의 주요 성공요인들
물류 표준화 및 합리화, 물류 공동화
물류, Logistics, SCM 의 개념 및 차이점,그리고 최근동향
리스트럭처링의 개념과 목적, 유형, 리스트럭처링에 성공한 기업 사례
[간호중재][간호]간호중재의 정의, 비사용증후군 간호중재, 간헐적 도뇨 간호중재, 영적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