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로지스틱스 시스템의 전망
Ⅰ. 작업과정과 조정과정의 통합
Ⅱ. 시스템 분석과 총비용 분석
Ⅲ. 효율적 관리 형태와 조직
Ⅳ. 로지스틱스의 국제화
Ⅰ. 작업과정과 조정과정의 통합
Ⅱ. 시스템 분석과 총비용 분석
Ⅲ. 효율적 관리 형태와 조직
Ⅳ. 로지스틱스의 국제화
본문내용
적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역수입되는 것도 있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생산지 시장의 소비수요에 충분히 적합하도록 기획하는 것이다. 기업은 이렇게 국내경제에서 이기고자 국제적 로지스틱스 전략을 전개한다.
국제 로지스틱스와 국내 로지스틱스의 통합을 뒷받침한 주요 요소는, 국제정보와 국제운송의 발전이다. 정보의 발전은 통신위성과세계적 규모의 텔렉스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중요한 것은 기업이 로지스틱스 데이터의 수집 전달 및 분석을 통합된 시스템으로서 명확하게 중앙의 컨트롤 하에 두는 것이다.
그것은 제조업자가 조달, 생산지원, 물류를 취급하는 정보의 하부 시스템, 즉 수요정보류를 통합하는 것과 관계한다. 국제정보 시스템은 국제 로지스틱스중의 어느 영역에 비해서도 가장 강한 잠재적 발전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데이터의 수집에서는, 개별 제품의 데이터에서부터 차량 선박 항공기 등에 적재하는 팔렛트나 컨테이너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트럭 운행 컨트롤에서는 노면 시스템과 위성 시스템이 있다. 노면 시스템은 도로에 있는 센서(senser)를 통해 통행차량을 식별하고, 차량의 위치 중량 속도를 중앙의 컴퓨터에 중재하고, 운행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인데, 주요목적은 중량 속도의 제한 및 도로이용 요금의 계산에 있다. 이에 대해 위성 시스템은 통신위성으로써 차량을 계속적으로 탐지하고, 컨트롤 센타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물운송작업 관리의 면에서는 노면 시스템을 상회하는 유효 수단이다. 그러나 그 반면비용은 아주 많이 든다. 한편 데이터의 통신에 관해 말하면, 로지스틱스 데이터가 교환되는 기업내 및 기업 간 컴퓨터의 결합이 현저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필요조건은 다른 기업이 표준이 되는 포벗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발주 송장이나 기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전자자료교환(EDI)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업종은 앞으로 제조업 전체와 유통업 전체로 파급되고 있다.
국제운송에서는 바다를 건너는 운송시스템의 개선, 더욱이 이 시스템과 육상운송 시스템의 결합을 목표로 하는 국제복합운송이 중요해졌다. 이 발전은 주지하듯이, 컨테이너선이나 롤온롤오프선의 보급, 선박의 운송능력 확대, 속도의 상승, 해운과 항공의 효율적인 시스템의 발전, 항만하역능력의 증대 등에 의해 뒷받침되어 왔다. 이 국제복합운송은 부품 등 반제품의 조달유통과 완제품의 물류에 관계하고 있다. 따라서 다국적기업이 생산 장소의 결정을 탐색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복합운송 시스템의 간선경로(trunk route) 혹은 지선경로(feeder route)이든, 그것과 결합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사항이다.
원료의 국제적 조달에 제한하면, 효율적인 살물선(bulk carrier)에 의한 운송 네트워크를 제조업 자신이 조직할 수 있으며, 또한 시장을 통해 현물(spot)운송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industrial carrier로서 행동할 뿐만 아니라, 장기계약이나 수량계약에 의해 공공운송인을 準industrial carrier로서 조직해왔다. 성장순환의 경제발전 단계에서는, 전체 운송량의 80-90%가 장기의 배타적 비시장 영역으로 배분되고, 나머지가 시장운송 서비스에 의해 커버되고 있다. 이 상황은 석유위기에 의한 세계경제의 구조변화에 의거하여 크게 변화하고, 비시장영역의 비율의 저하와 시장영역 비율의 상승을 통해 두 영역의 쉐어가 일치할 정도가 되고 있다. 그러나 원료조달을 위한 운송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시장영역과 비시장영역을 결합하여 아주 효율적으로 유지되어 왔다고 해도 좋다. 따라서 문제는 반제품의 조달유통과 완성품의 물류에 관계하는 국제복합운송 시스템 이다.
국제 로지스틱스와 국내 로지스틱스의 통합을 뒷받침한 주요 요소는, 국제정보와 국제운송의 발전이다. 정보의 발전은 통신위성과세계적 규모의 텔렉스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중요한 것은 기업이 로지스틱스 데이터의 수집 전달 및 분석을 통합된 시스템으로서 명확하게 중앙의 컨트롤 하에 두는 것이다.
그것은 제조업자가 조달, 생산지원, 물류를 취급하는 정보의 하부 시스템, 즉 수요정보류를 통합하는 것과 관계한다. 국제정보 시스템은 국제 로지스틱스중의 어느 영역에 비해서도 가장 강한 잠재적 발전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데이터의 수집에서는, 개별 제품의 데이터에서부터 차량 선박 항공기 등에 적재하는 팔렛트나 컨테이너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트럭 운행 컨트롤에서는 노면 시스템과 위성 시스템이 있다. 노면 시스템은 도로에 있는 센서(senser)를 통해 통행차량을 식별하고, 차량의 위치 중량 속도를 중앙의 컴퓨터에 중재하고, 운행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인데, 주요목적은 중량 속도의 제한 및 도로이용 요금의 계산에 있다. 이에 대해 위성 시스템은 통신위성으로써 차량을 계속적으로 탐지하고, 컨트롤 센타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물운송작업 관리의 면에서는 노면 시스템을 상회하는 유효 수단이다. 그러나 그 반면비용은 아주 많이 든다. 한편 데이터의 통신에 관해 말하면, 로지스틱스 데이터가 교환되는 기업내 및 기업 간 컴퓨터의 결합이 현저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필요조건은 다른 기업이 표준이 되는 포벗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발주 송장이나 기타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전자자료교환(EDI)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업종은 앞으로 제조업 전체와 유통업 전체로 파급되고 있다.
국제운송에서는 바다를 건너는 운송시스템의 개선, 더욱이 이 시스템과 육상운송 시스템의 결합을 목표로 하는 국제복합운송이 중요해졌다. 이 발전은 주지하듯이, 컨테이너선이나 롤온롤오프선의 보급, 선박의 운송능력 확대, 속도의 상승, 해운과 항공의 효율적인 시스템의 발전, 항만하역능력의 증대 등에 의해 뒷받침되어 왔다. 이 국제복합운송은 부품 등 반제품의 조달유통과 완제품의 물류에 관계하고 있다. 따라서 다국적기업이 생산 장소의 결정을 탐색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복합운송 시스템의 간선경로(trunk route) 혹은 지선경로(feeder route)이든, 그것과 결합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사항이다.
원료의 국제적 조달에 제한하면, 효율적인 살물선(bulk carrier)에 의한 운송 네트워크를 제조업 자신이 조직할 수 있으며, 또한 시장을 통해 현물(spot)운송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industrial carrier로서 행동할 뿐만 아니라, 장기계약이나 수량계약에 의해 공공운송인을 準industrial carrier로서 조직해왔다. 성장순환의 경제발전 단계에서는, 전체 운송량의 80-90%가 장기의 배타적 비시장 영역으로 배분되고, 나머지가 시장운송 서비스에 의해 커버되고 있다. 이 상황은 석유위기에 의한 세계경제의 구조변화에 의거하여 크게 변화하고, 비시장영역의 비율의 저하와 시장영역 비율의 상승을 통해 두 영역의 쉐어가 일치할 정도가 되고 있다. 그러나 원료조달을 위한 운송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시장영역과 비시장영역을 결합하여 아주 효율적으로 유지되어 왔다고 해도 좋다. 따라서 문제는 반제품의 조달유통과 완성품의 물류에 관계하는 국제복합운송 시스템 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ERP에 관하여
인터넷 시장 현황 및 전망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우리나라의 행정정보서비스(G 4 C 시스템)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와 ERP(전사적자원관리) 도입 및 구축(ERP(전사적...
[e-Learning][이러닝][e러닝]e-Learning(이러닝)의 특징과 현황 및 발전 전망 분석(e-Learnin...
[2007년11월]SDR(소프트웨어기반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조사보고서
[JIT] JIT I, JIT II 시스템 정의와 목적 그리고 사례분석
[제3자물류][물류아웃소싱]제3자물류(물류아웃소싱)의 발전과정, 기대효과, 현황과 제3자물류...
지열과 이중외피
[IMT-2000][동기식][비동기식]IMT-2000의 정의, IMT-2000의 목표, IMT-2000의 특성, IMT-2000...
컴퓨터바이러스범죄
[정보통신] 인텔리전트 빌딩 시스템[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