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낙수장과 로비하우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생애와 작품 세계

Ⅱ. 낙수장(落水莊)-Falling Water, Kaufman House

Ⅲ. 로비주택

참고문헌

본문내용

벽난로의 둘레에 일반적인 문간이 없이, 또한 그 자체가 함께 계속되어 실제로 연속되게 지어졌다.
로비 프로젝트는 건축가와 의뢰인 사이의 완전한 조화를 구가했다. 의뢰인과 건축가 모두 같은 목적-단순하며, 경제적이고, 허식 없는 기능적인 주택-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거의 노력의 낭비 없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있는 격동 없이 획기적인 사건을 만들어 내는 한 위대한 작품이 만들어졌다. [거대한 구조물의 청사진] 로비 하우스, 월간 건축문화, v.37(1984-06)
일렬 주택의 평면
로비주택의 꾸준한 수평적 구성은 디테일의 모든 단계에서 반복된다. 돌출 지붕, 상처난 로마식 벽돌, 외팔보 테라스, 연속적인 석조 갓돌벽, 그리고 연속된 띠모양의 창은 운동 심지어는 공중으로 부유하는 듯한 동적 감각을 부여하고 있다.
벽체의 배치형태와 상호관입
창과 문 등으로 뚫려진 전통적인 벽체는 연속적인 창문이 이루는 연속적인 띠에 의해 지붕과 분리된 분절되지 않은 판넬로 대체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 외부 공간이 막힘없이 상호전이가 되도록 처리되었다.
또한 벽체의 배치에 있어서 2개의 큰 볼륨을 형성하는 벽체를 서로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2개의 외부 공간이 형성되었는데, 하나는 가로를 면한 자동차를 위한 공간이고 다른 하나는 후면에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처리되었다.
로비주택에서 벽체의 중첩으로 벽면이 가지는 일반적인 속성인 공간을 폐쇄하고 한정하는 역할보다는 내 외부의 시각적, 공간적 연속성을 조절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볼륨
2개의 좁고 긴 볼륨이 마치 서로 어긋난 조각처럼 위치해 있는데, 주 공간들을 포함하고 있는 큰 부분은 가로쪽에, 서비스 공간과 차고를 포함하고 있는 작은 부분은 후면에 위치해있다. 이 두 볼륨이 어긋나게 미끄러지면서 뒤쪽으로 나가는 입구 복도가 생기며, 입구는 감추어져 보이지 않게 된다. 큰 볼륨은 거의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독립적인 벽난로를 갖고 있다. 2개 층에 걸친 서비스 공간이 이 중심 볼륨에 비대칭적으로 부가되어 있다.
창문
외부에서 볼 때 정원벽, 테라스, 발코니, 지붕처마 등이 만들어 내는 강한 수평선들은 벽체의 연속적이고 짧은 수직선들과 강한 대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기둥
몇 단 후퇴된 모서리 부분의 짧은 기둥을 모서리에 배치하여 돌출시킴으로써 눈에 띄는 수평선과 강한 대조를 이룸과 동시에 내 외부에서 강한 디자인의 절정을 이루고 있으며, 외부에서 볼 때 극적으로 뻗어 나가는 돌출된 수평선들을 정착시키고 함께 결속시켜주는 벽난로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건축인테리어/연가
벽난로 중심의 유니트 완성
라이트는 건축을 유기체와 같이 생명을 가지며 인간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는 하나의 생명체로 보았다. 초기의 라이트의 건축은 라킨빌딩과 유니티 교회처럼 상자모양의 콘크리트 조로 된 공공건물에 관심을 가졌으나, 건축에 대한 라이트의 접근은 초기부터 유기적인 공간성을 띤다. 로비주택에서는 상자 형태를 탈피하고 내.외부 공간 사이의 새롭고 총체적인 상호 작용을 보여준다. 근대 건축 공간의 생태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윤희,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5년 10월
'유니트 개념의 완성'은 여기서 파생되는 '공간의 연속성', '오픈 플랜' 그리고 '전통적 미국주택공간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라이트가 추구했던 주택내부 공간의 특징을 완성된 모습으로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미국의 전통적 공간특성은 신대륙의 이주자들이 살았던 전통적 오두막의 칸막이가 없는 단일 공간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파생된 것이 개방평면으로 이루어진 1실 개념이며 난로는 이 개방된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난로의 집 중앙에 있는 오두막이 발전된 십자형 평면계획은 1870년대 초기의 교외 주택이나 전원주택에서 볼 수 있으며 1880년대 역시 사용되던 미국전통의 평면 형태였다.
로비주택은 벽난로 중심의 미국의 전통적 공간과 수공예 운동의 핵심적 요소인 단순화를 통한 일실화가 결합된 예로서 유니트의 개념과 특성이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 주택은 2층에 주택의 주요공간이 유니트로서 위치하고 있다. 이 유니트의 중앙에 벽난로와 계단실이 위치하며 그 양옆으로 거실과 식당이 길게 펼쳐져 있다. 육중한 볼륨의 벽난로는 유니트의 중앙에 위치하며 공간적 밀도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을 분리함과 동시에 전통적 미국주택의 경우와 같이 가족생활이 이 벽난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벽난로 좌우 통로에서 일어나는 시각 및 동선의 흐름과 벽난로 상부의 열린 부분 사이에서 일어나는 시각적 교류는 이들 유니트로 통합시킨다. 거실과 식당 그리고 중앙의 벽난로-계단 블록은 이루는 단일공간은 형태적으로도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음을 로비주택은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전환기 미국 주택개선운동의 수용에 따른 Frank Lloyd Wright의 초기주택(1900-1910) 내부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미국 수공예 운동을 중심으로, 견진현, 양재혁, 실내디자인학회 논문, 2003년 6월
참고문헌
· 현대건축의 거장들, 현대미술관회편, 설원식, 1988
· 랜드스케이프 요소를 활용한 실내공간디자인 연출유형에 관한 연구, 우지연, 실내디자인학회 논문, 2006년 4월
· 근대 건축 공간의 생태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윤희,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5년 10월
· 전환기 미국 주택개선운동의 수용에 따른 Frank Lloyd Wright의 초기주택(1900-1910) 내부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미국 수공예 운동을 중심으로, 견진현, 양재혁, 실내디자인학회 논문, 2003년 6월
· [거대한 구조물의 청사진] 로비 하우스, 월간 건축문화, v.37(1984-06)
· 공간사랑 지, 2005년 6월호
· 건축인테리어/연가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 http://www.fallingwater.org
· http://blog.daum.net/choinm/16483693
· http://bestpassion.com/bbs/zboard.php?id=Carpe&no=103
· http://blog.naver.com/yj651215/140105008650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1.1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