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Ⅴ 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

Ⅵ Emergency Kit에 포함되는 기구, 약물

Ⅶ 심폐소생술과 간호

Ⅷ 인공호흡기(ventilator)

Ⅸ Shock 환자간호

Ⅹ 동맥혈 가스분석

Ⅺ 중심정맥압측정(CVP)

본문내용

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
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산-염
기평형 상태를 알 수 있다.
ABGA의 천자 부위 및 방법
- 보통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는데 요골동맥이 접근하기 쉽고 잘 만져지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 계속해서 ABGA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여러번 천자하지 않고 요골동맥에 도관을 삽입하여 유치해 두고 채혈하기 위한 입구는 he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킨 후 채혈한다. 이때 heparin의 양이 많으면 pH에 영향을 주어 그 결과가 산성쪽으로 기울게 되고, 양이 적으면 혈액이 응고되므로 주의한다.
- 채혈 검사물에 공기가 섞이면 가스분석결과가 틀리게 나오므로 채혈 후 바늘 끝에 고무마개를 하여 공기를 차단시킨다.
- 보통 2.5ml의 혈액이면 충분히 검사할 수 있고 검사물은 채혈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내야한다. 주사기 내에 있는 검사물 속에서도 확산이 계속 일어나므로 이 확산을 억제시키기 위해 얼음 상자 안에 넣어야 한다. 완전하게 밀폐시켜 얼음상자에 넣은 검사물은 1시간정도는 안전하다.
ABGA의 천자후 처지
- 천자 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5~10분간 압박하여 천자 부위에서 출혈이 되지 않게 한다.
출혈 경향이 있거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대상자라면 더 오래 동안 압박한다.
- 요골동맥을 천자하여 채혈할 때 손의 동맥 순환을 차단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요골
동맥을 천자하기 전에 척골동맥을 통한 손의 측부순환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사
용되는 검사법이 Allen test이다.
* Allen test의 시행 방법
① 대상자에게 주먹을 꼭 쥐게 한다. 이렇게 하면 혈액이 손에서 나간다.
② 시술자가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장지를 사용하여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을 촉지한다.
③ 대상자에게 주먹을 약간 피게하는 동안 양쪽 동맥을 압박하여 혈액의 흐름을 차단시킨다. 대상자에게 4~5번 주먹을 쥐었다 폈다를 반복하게 한다.
④ 손바닥이 위로 가도록 쫙 펴게 한다. 손바닥은 희게 보여야 한다.
⑤ 척골 쪽의 압박을 풀어 주면서 손바닥, 손가락, 엄지손가락의 색깔을 살펴본다. 만일 척골 동맥의 측부순환이 충분하다면 손과 손가락은 10~15초 이내에 충혈 되어야 한다. 만일 손바닥이 그대로 희게 남아 있다면 순환이 좋지 않으므로 그 손에 요골동맥 천자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Allen test가 양성(색깔이 돌아옴) 일때는 동맥 천자를 해도 안전하다.
동맥혈가스분석 결과
- ABGA검사 결과정보로서 비정상적인 동맥혈가스의 원인이 대사성인지 호흡성인지 알 수 있다.
- 결과 정보에는 PaCO2와 산소포화도는 나타나있지 않는데 산소의 상태가 폐의 환기 상태를 나타내 주지는 않지만 고려하여야한다.
- 산소포화도는 ABGA의한 요소인데 헤모글로빈에 대한 O2의 친화력을 산소 해리곡선으로 볼 수 있다.
- 동맥혈가스 정상치
① PaO2(80~100mmHg)
- 동맥혈 산소 분압은 조직의 산화 상태를 반영하지 않는다.
- 보통 방안 공기(21%)로 숨을 쉴 때 80mmHg이하이면 저산소혈증이다.
- 저산소혈증은 산소로 치료한다. 이때 너무 많이 산소를 주지 않아도 정상치를 유지하게끔 조절한다.
- 동맥혈가스는 산소상태를 알아보는 유일한 방법이다. 생명을 위협하는 저산소혈증에는 산소를 중단하지 않는다.
② PaCO2(35~45mmHg)
- 일차적으로 환기 효율을 반영하며 환기 양식에 영향을 받는다. PaCO2의 증가는 과소환기 (과탄산증)의 결과이다.
- 정상보다 낮은 PaCO2는 과대환기의 결과이고 저탄산증을 의미한다. PaCO2가 점점 올라가고 대상자가 피로해하면 인공 기도를 설치하여 호흡을 도와준다.
③ pH (7.35~7.45)
- 혈액의 수소이온 농도는 7.45이상이면 알카로시스이고 7.35이하이면 acidosis 이다.
- 호흡성 산독증은 PaCO2가 증가하고 pH가 감소한다.
- 호흡성 알카로시스는 PaCO2가 감소하고 pH가 증가한다.
- pH, HCO3- 그리고 염기의 과잉 부족을 중재한다. 대사성 비정상이 발생되면 급히 교정해주어야 한다.
- 대사성 산독증은 중탄산 나트륨(NaHCO3-)을 투여해서 교정하고 대사성 알카로시스는 비정상전해질을 교정해주고 NH4Cl(ammonium chloride) 나 희석된 HCl을 투여해여 치료한다.
④ HCO3 (22~26mmEq/L)
- HCO3-는 혈액탄산의 양을 의미한다.
- 일차적으로 대사성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pH와 PCO2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 낮은 HCO3-는 대사성 산독증 의미하고 높은 HCO3-는 대사성 알카로시스를 의미한다.
⑤ Base exocess/deficit (+2 to~2mEq/L)
- 산염기 평형의 비호흡성 부분을 반영한다.
- pH와 PaCO2 그리고 Hematocrit으로 부터 계산해 낸다.
- 대사성 알카로시스에서 Base excess는 양의 값을 갖고 대사성 산독증에서는 음의 값을 갖는다.
⑥ SaO2(95~100%)
-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를 보여준다.
- 만일 PaO2가 50mmHg보다 밑으로 떨지면 산소포화도는 급하게 떨어진다.이것이 조직의 산화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의 능력은 온도, pH, PCO2혈액의 효소와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는다.
- 산소의 투여는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는 개선해 주지만 조직의 산화를 개선해 주지는 않는다.
중심정맥압측정(CVP)
정의
-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 또는 신체를 돌고 귀환하는 모든 혈
액이 지나가는 대정맥의 압력을 말하며, 중심정맥압 측정은 신체의 수분상태와 우심실 기능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우심방 혹은 신체를 돌고 귀환하는 모든 혈액이 지나가는 대정맥의 압력을 말하며, 중심
정맥압 측정은 신체의 수분상태와 우심실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중심정맥압은 순환과 관계가 깊어 혈액의 양과 증가된 혈액의 양을 견디는 심장의 능력
에 대한 정보를 주기
  • 가격5,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1.1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