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성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에 대하여
1. 성호르몬이란?
2.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1) 뇌하수체
1)전엽 호르몬
2)후엽호르몬
(2)고환
(3)난소
(4)부신
3. 남성의 성 호르몬
testosterone(테스토스테론)
1)화학적 특성
2)작용
3)인히빈
4.여성의 성 호르몬
(1)GTH
1) 난포자극 호르몬 (FSH)
2) 황체형성 호르몬 (LH)
3) 황체자극 호르몬 (LTH)
(2) 난소 호르몬 (Ovarian hormone)
1) estrogen(에스트로겐)
2) 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
5. 성호르몬이 끼치는 영향과 느낀점
6. 참고자료
1. 성호르몬이란?
2.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1) 뇌하수체
1)전엽 호르몬
2)후엽호르몬
(2)고환
(3)난소
(4)부신
3. 남성의 성 호르몬
testosterone(테스토스테론)
1)화학적 특성
2)작용
3)인히빈
4.여성의 성 호르몬
(1)GTH
1) 난포자극 호르몬 (FSH)
2) 황체형성 호르몬 (LH)
3) 황체자극 호르몬 (LTH)
(2) 난소 호르몬 (Ovarian hormone)
1) estrogen(에스트로겐)
2) 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
5. 성호르몬이 끼치는 영향과 느낀점
6. 참고자료
본문내용
자극하여 남성호르몬의 생산을 촉진한다. 이러한 이유로 LH를 간질세포자극호르몬이라고도 한다. 유즙분비호르몬은 유방에서 유즙을 분비하는 것이 주 기능이다. 이 호르몬은 유즙분비호르몬 억제인자에 의해 조절되며 학자들은 PIF가 바로 도파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유방의 자극, 약물, 스트레스, 운동 및 음식 등에 의해 유즙분비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무월경과 유즙과다를 초래하기도 한다. TSH는 시상하부의 갑상선자극호르몬유리호르몬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며, 갑상선으로부터 트리요오드타이로닌과 티록신 분비를 촉진함은 물론 유즙분비호르몬의 분비도 촉진시킨다. 분비된 T3 와 T4 놔하수체로부터의 TSH 분비를 음성피드백 기전으로 조절하게 되며, 갑상선 기능의 저하나 항진은 간혹 배란 이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ACTH는 주간변동을 나타내어 이른 아침에 최고치, 늦은 저녁에 최저치를 나타내며, 코티솔의 음성피드백 기전에 의해 조절된다. GH는 뇌하수체전엽 호르몬 중에서 최대량으로 생산되는데, 시상하부의 성장호르몬유리호르몬에 의해 분비가 조절되며, 갑상선 호르몬과 부신피질 호르몬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이 호르몬은 성선자극호르몬유리 호르몬과 같이 박동성으로 분비되지만 수면 중에 최고치에 달하며, 신장의 성장과 난소의 기능과도 관련이 있다.
2)후엽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와 연결된 시상하부와 연결된 신경조직만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며,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ADH)을 분비한다.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호르몬이며 자궁근육의 수축이나 수유중 유즙분비 반사시 일어나는 유관벽 평활근의 수축을 조절한다. 이 호르몬은 후각, 청각 및 시각 자극에 의해서도 분비될 수 있다.
ADH는 순환혈액량, 혈압 및 삼투압 조절이 중요한 기능이다. 혈압이나 혈액량 감소에 의해 분비되는 ADH는 즉시 동맥의 수축과 신장에서의 수분농축을 유발함으로써 혈압이나 수분의 양을 정상화시킨다.
(2)고환
주기능은 남성호르몬 분비와 정자를 생산하는 것이며, 인체조직 중에서 단위 무게당 뇌와 더불어 대사작용을 위해 가장 많은 산소와 영양을 필요로 하는 기관이다. 고환의 85%는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세정관으로 채워져 있으며, 고환의 크기와 경도가 생식능력을 평가하는 척도가 된다. 한개의 고환은 약 250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소엽에는 1~3개의 세정관이 있으므로 고환 전체에는 약 300~600개의 세정관이 들어 있다. 세정관은 직경이 약 0.2mm, 길이가 30CM인 관으로부터 내부에 존재하는 세포들은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감수분열을 통하여 정자를 생산한다. 고환 내의 생식세포는 세정관의 기저막으로부터 가장 안쪽을 향하여 정원세포, 1차 정모세포, 2차 정모세포, 정세포 및 정자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환의 세정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자형성과정은 정원세포로부터 시작된다. 정원세포는 유사분열을 통하여 숫자를 불리기도 하지만 그 중 일부는 일차 정모세포로 변환하여 일차 감수분열을 거치게 된다. 일차 감수분열을 통해 염색체 수가 일차 정모세포의 반으로 준 이차 정모세포는 염색체 수의 변화없이 이차감수분열을 함으로써 정세포가 되며, 정세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자로 변화하게 된다. 즉, 정자형성과정은 하나의 생식세포로부터 시작하여 반수체인 4개의 정자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세정관의 기저막에 존재하는 지주세포는 세포분열이 활발한 세정관을 보호하고, 정자형성에 필요한 물질의 공급을 최대한으로 보장햐며, 정자형성과정에 필요한 FSH 및 남성호르몬을 저장하거나 약간의 여성호르몬을 생산한다. 또한 간질세포는 세정관과 간질구역내에 위치하며,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LH에 의해 자극되어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한다. 테스토스테론은 표적세포에서 5AR에 의해 환원되어 강력한 활성형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변환되며, DHT는 세포내 수용체와 결합한 채 핵으로 들어가 단백질 활성을 유도한다. 이 호르몬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및 고환의 기능을 조절, 정자형성, 태아의 내외성기 분화와 발달, 사춘기의 성적 성숙과 촉진 등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생식기의 성장과 기능은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의 상호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시상하부는 Gn-RH를 맥동성으로 분비하여 뇌하수체로부터 LH와 FSH 분비를 조절하며 분비된 FSH 와 LH는 고환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의 대사활동에 관여한다.
(3)난소
난소는 여성 골반의 골반벽과 자궁사잉에 위치하는 인대에 의해 신체의 양쪽에 하나씩 매달려 있으며, 호르몬, 연령, 월경주기 등에 따라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난소는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질에는 다양한 크기의 여포가 위치하고, 수질은 섬유근육조직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성들은 모체 내에서는 약 600~700만 개의 미성숙 난자를 갖고 있지만, 그 중 많은 수가 퇴화되고, 태어날 당시에는 약 200만개의 난자만이 남게 된다. 난자의 퇴화는 사춘기까지 계속되어 실제로 임신이 가능한 시기가 되었을 때는 약 20~30만 개만이 남게 된다. 그러나 여성들은 사춘기에서 폐경까지의 가임기간동안 단지 약 400개의 난자만을 배란시키며, 이 중에서 겨우 수개의 난자만이 정자와 수정된다.
태아기에서 난원세포로부터 변화한 일차 난모세포는 일차 감수분열전기의 복사기에서 십 수년간을 머문 채 사춘기에 도달하게 된다. 사춘기가 되어 월경 주기가 시작되면 난자 성숙 억제가 해제되어, LH 가 폭발적으로 분비되면서 배란이 된다. 이때 오랫동안 성숙이 억제되어 있던 일차 난모세포는 다시 분열을 재개하여 이차 난모세포가 되며, 정자와 수정되면 감수분열을 마치고 수정란으로서 분열과 분화과정을 수정란으로서 이러한 난자형성과정은 하나의 난원세포에서 두 번의 분열과정을 통하여 반수체인 하나의 난자와 결국은 퇴화되는 역시 반수체인 세 개의 극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즉, 난원세포에서 변화한 일차 난모세포는 일차 감수분열을 통하여 반수체인 하나의 일차 난모세포와 역시 반수체인 하나의 극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극체는 분열하여 두개의 극체를 생산하을 재개하여 결국은 퇴화되고 만로서 분열과난모세포의
2)후엽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은 시상하부와 연결된 시상하부와 연결된 신경조직만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며,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ADH)을 분비한다.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호르몬이며 자궁근육의 수축이나 수유중 유즙분비 반사시 일어나는 유관벽 평활근의 수축을 조절한다. 이 호르몬은 후각, 청각 및 시각 자극에 의해서도 분비될 수 있다.
ADH는 순환혈액량, 혈압 및 삼투압 조절이 중요한 기능이다. 혈압이나 혈액량 감소에 의해 분비되는 ADH는 즉시 동맥의 수축과 신장에서의 수분농축을 유발함으로써 혈압이나 수분의 양을 정상화시킨다.
(2)고환
주기능은 남성호르몬 분비와 정자를 생산하는 것이며, 인체조직 중에서 단위 무게당 뇌와 더불어 대사작용을 위해 가장 많은 산소와 영양을 필요로 하는 기관이다. 고환의 85%는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세정관으로 채워져 있으며, 고환의 크기와 경도가 생식능력을 평가하는 척도가 된다. 한개의 고환은 약 250개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소엽에는 1~3개의 세정관이 있으므로 고환 전체에는 약 300~600개의 세정관이 들어 있다. 세정관은 직경이 약 0.2mm, 길이가 30CM인 관으로부터 내부에 존재하는 세포들은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감수분열을 통하여 정자를 생산한다. 고환 내의 생식세포는 세정관의 기저막으로부터 가장 안쪽을 향하여 정원세포, 1차 정모세포, 2차 정모세포, 정세포 및 정자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환의 세정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자형성과정은 정원세포로부터 시작된다. 정원세포는 유사분열을 통하여 숫자를 불리기도 하지만 그 중 일부는 일차 정모세포로 변환하여 일차 감수분열을 거치게 된다. 일차 감수분열을 통해 염색체 수가 일차 정모세포의 반으로 준 이차 정모세포는 염색체 수의 변화없이 이차감수분열을 함으로써 정세포가 되며, 정세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정자로 변화하게 된다. 즉, 정자형성과정은 하나의 생식세포로부터 시작하여 반수체인 4개의 정자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세정관의 기저막에 존재하는 지주세포는 세포분열이 활발한 세정관을 보호하고, 정자형성에 필요한 물질의 공급을 최대한으로 보장햐며, 정자형성과정에 필요한 FSH 및 남성호르몬을 저장하거나 약간의 여성호르몬을 생산한다. 또한 간질세포는 세정관과 간질구역내에 위치하며,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하는 LH에 의해 자극되어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한다. 테스토스테론은 표적세포에서 5AR에 의해 환원되어 강력한 활성형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 변환되며, DHT는 세포내 수용체와 결합한 채 핵으로 들어가 단백질 활성을 유도한다. 이 호르몬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및 고환의 기능을 조절, 정자형성, 태아의 내외성기 분화와 발달, 사춘기의 성적 성숙과 촉진 등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생식기의 성장과 기능은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의 상호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시상하부는 Gn-RH를 맥동성으로 분비하여 뇌하수체로부터 LH와 FSH 분비를 조절하며 분비된 FSH 와 LH는 고환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의 대사활동에 관여한다.
(3)난소
난소는 여성 골반의 골반벽과 자궁사잉에 위치하는 인대에 의해 신체의 양쪽에 하나씩 매달려 있으며, 호르몬, 연령, 월경주기 등에 따라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난소는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질에는 다양한 크기의 여포가 위치하고, 수질은 섬유근육조직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성들은 모체 내에서는 약 600~700만 개의 미성숙 난자를 갖고 있지만, 그 중 많은 수가 퇴화되고, 태어날 당시에는 약 200만개의 난자만이 남게 된다. 난자의 퇴화는 사춘기까지 계속되어 실제로 임신이 가능한 시기가 되었을 때는 약 20~30만 개만이 남게 된다. 그러나 여성들은 사춘기에서 폐경까지의 가임기간동안 단지 약 400개의 난자만을 배란시키며, 이 중에서 겨우 수개의 난자만이 정자와 수정된다.
태아기에서 난원세포로부터 변화한 일차 난모세포는 일차 감수분열전기의 복사기에서 십 수년간을 머문 채 사춘기에 도달하게 된다. 사춘기가 되어 월경 주기가 시작되면 난자 성숙 억제가 해제되어, LH 가 폭발적으로 분비되면서 배란이 된다. 이때 오랫동안 성숙이 억제되어 있던 일차 난모세포는 다시 분열을 재개하여 이차 난모세포가 되며, 정자와 수정되면 감수분열을 마치고 수정란으로서 분열과 분화과정을 수정란으로서 이러한 난자형성과정은 하나의 난원세포에서 두 번의 분열과정을 통하여 반수체인 하나의 난자와 결국은 퇴화되는 역시 반수체인 세 개의 극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즉, 난원세포에서 변화한 일차 난모세포는 일차 감수분열을 통하여 반수체인 하나의 일차 난모세포와 역시 반수체인 하나의 극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극체는 분열하여 두개의 극체를 생산하을 재개하여 결국은 퇴화되고 만로서 분열과난모세포의
소개글